[aaa 번역] 『영화를 무릅쓰고 보다, 말하다, 생각하다』 2

in aaa •  5 years ago  (edited)

내게 영화란 계기 혹은 응용의 영역이 아니었다. 철학은 다른 영역에 대한 외부의 성찰에 대한 상황이 아니다(...) 나는 영화에 대해서 철학을 하라고 주장하지는 않았다. 2RF, p. 114.
이 언명은 “-에 대해서 숙고하는” 힘으로 고려되는 들뢰즈의 철학 개념의 비평에 참여한다. 이 부정적인, 오늘날에 획득된 듯 보이는 비평; 그것은 빈번히 평범하게 인용함을 증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환이 실질적으로 들뢰즈가 어떻게 영화 예술에 접근하였는가와 어떻게 자신의 주제 속에서 두 권의 “철학서”들을 썼는가를 알게 하는 다른 긍정의 측면을 정의하지 않는다면 즉자에게 여전히 비옥하지 않은 상태에 머물 것이다. 오직 이 조작에 자격을 부여할 수 있는 탐색만이 (그것이 방법과 들뢰즈의 개념 자체에서 요구사항의 조약을 가진 것처럼) 언급된 수수께기를 해결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볼 수 있게 도울 것이다.
들뢰즈가 고찰한 대로 철학과 영화를 결정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배타적인 검토가 아닌 이상, 이 연구는 들뢰즈가 고찰한 철학과 영화의 관계를 결정하기에 충분한 경우를 제외하고 두 텍스트들의 전유적인 검토가 일반적인 경제 속에서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를 기입함을 전제한다. 두 번째 권의 “결론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규율들 사이에서 “개입 interférence” 의 아이디어를 상기하면서 간과할 수 없는 정확성들을 가지고 온다: “그것은 사물들이 여러 실행들, 존재들, 이미지들, 개념들, 모든 종류의 사건들을 만드는 많은 실행들의 개입에 대한 계획에서이다”, 그리고 “영화가 선동한다는 개념들” IT, p. 365.을 이해하기 적합한 개입에 대한 깨달음에서이다. 이 생각은 상대적으로 직접적인 교섭의 규율 개념이 명확하게 남지 않도록 더 발전되지 않는다. 이 명백한 미확정은 분석의 결함이 아니다; 그것은 자신의 방식의 “내적인 조건들”에게 돌려주는 만큼 그리고 그와 같이 언술되지 않은 만큼 존재할 수조차 없을 만큼 심오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조건들”이란 “생각하기, 사유를 사용하기, 사유 속에서 나아가기” QqP, p. 39-41.
이다. 거기에 “사유의 이미지”라는 표현의 의미가 있다; 철학이 주거나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은 바로 그것이다. 연속적인 파사주, 1988년 인터뷰의 발췌를 뒤따르는 파사주는 이 “이미지” 자체를 고려해서 포착해야만 한다: “철학자들은 새로운 개념들을 가져오고 그것들을 진술하지만, 그 개념들이 응답하는 문제들에 대해서는 그러한 문제들이 정확하게 그들의 실행에 앞서는 “전철학적인(pré-philosophique)” 요소들을 초래함을 알면서도 말하지 않거나 완전하게 말하지 않는다.” P, p. 186 (우리는 강조한다; 이 작업 이후 그것들은 작가들이 인용에서 단지 강조했던 단어들 혹은 표현들만을 특기할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들뢰즈가 영화-철학의 관계를 생각하는 방법을 명백히 진술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이 이야기가 그의 고유한 철학을 생기있게 만드는 “사유의 이미지”를 근본적으로 드러 내기 때문이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