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과 관찰의 균형

in avle-pool •  7 months ago  (edited)

쿰바카.jpg
Monier-Williams defined Pranayama in terms of the elements of Kumbhaka, breath retention

힌두계열의 호흡 명상은 호흡 과정의 요소들-들숨(Puraka), 지식(들숨 후 Kumbhaka), 날숨(Rechaka), 지식(날숨 후 Kumbhaka)-을 인위적으로 조절한다. 지도자의 주의 아래서 각 요소들의 지속 시간(비율)을 조절하면서 몸에 대한 느낌을 미세하게 관찰하다 보면 고요함에 이르게 된다. 불교의 호흡 명상은 그것의 인위적 조정 없이 각 요소가 작용하는 그대로 관찰하여 더 이상 관찰이 불가능할 정도의 느낌까지 관찰을 궁극으로 밀고 간다. 그러다 보면 느낌의 경계가 사라진다. 여기서 관찰을 더 진행하여 느낌이 없는 의식의 영역으로 관찰을 침투해 들어간다. 그러다 보니 명상에서 궁극의 고요함(즐거움도 괴로움도 없는 무덤덤한 상태)이라고 부르는 선정에 대한 단계를 불교에서 좀 더 자세하게 정의한다. 숙련된 명상자로 체험하지 못한 이상 그 깊이를 알 수없지만 1) 느끼기 위해 관찰하는지 혹은 2)현존하는 느낌을 관찰하는지에 따라서 두 명상의 방법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호흡에 동반된 몸의 감각을 정교하게 관찰할 수 있는 효율성 측면에서 힌두 계열의 요가가 탁월하다. 다만 개인적으로 이것이 홀로 수행하기에 부담스럽긴 하다.


호흡 과학


시작하며 | 요가 수행 디피카 메모 | Samskara | 호흡의 모습 | 호흡 명상에 관한 두 관점 | 느낌과 관찰의 균형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