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이슈는 '블록체인>가상화폐>비트코인>'지금' 가격' 의 층으로 나눠져있다.
1.블록체인
블록체인 기술이 적어도 현재 기술로는 조작이 불가능한 기술로 알려졌다. 분산원장의 대다수를 조작하는 건 불가능하다(현재는). 이 시스템은 적어도 한 주체에 의해 시스템이 조작되진 않으리란 확신을 준다.
현재의 중앙집권적인 시스템이 블록체인으로 대체되야할지는 여전히 의문이지만.
- 법화의 신뢰문제
당장 2008년 같은 위기가 온다 가정하자. 향후 그런 위기가 온다면 나는 중앙은행이 또 양적완화를 하리라 확신한다. 2008년 위기를 극복하는데 양적완화가 효험을 발휘했기 때문이다. 1,2,3차 QE를 할 때마다 화폐가 너무 많다고 난리였지만 (지금까진)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또 시도할거라고 생각하고, 다수가 그렇게 예상한다.
앞으로 국가가 언제든 대규모 발권력을 동원해 법화를 찍어낼거라는 생각이 퍼진 것이다. 법화가 가치를 갖는건 화폐가 가져야할 신뢰를 국가가 보증해주기 때문인데, 국가가 이 돈의 가치를 보증하고 지켜주리란 확신이 줄어든다.
결국 화폐는 신뢰 그 자체인데, 지금까진 가장 믿을만하고 강하다 믿은 국가의 보증이 약해진다. 이건 달러 가치, 이런 문제라기보단 불태환화폐 자체에 금이 가고 있다는 생각이다.
- 대체가 아닌 병존
아직은 기술적으로 낯설어 대중이 '이해'한 상태는 아니지만 블록체인의 분산원장에 기록돼 조작되지 않는 코인과 정부 결정에 의해서 무제한으로 공급이 늘수있다는 게 증명된 법화. 블록체인의 신뢰가 정부의 보증에 버금갈 수 있다는 얘기. 미 재무부가 무시무시하지만 위기가 오면 사람들은 반짝반짝한 돌맹이를 사는데 혈안이다.
결국 코인이 자리잡느냐, 아니냐는 정부에 대한 신뢰와 블록체인 시스템의 신뢰, 이 둘이 경쟁한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이건 절대 갯수가 늘어나지도 않고, 사라지지도 않아"란 믿음이 코인의 근거다.
애초에 코인의 시작이 "왜 꼭 국가가 보증해야돼?"하는 아나키적인 발상.
가치의 하한, 금
그 역할을 하는 게 금인데, 금은 보관비용이 들고, 교환도 불편하며, 채굴되기 때문에 수량은 계속 늘어난다. 반면 코인은 보관, 교환비용이 거의 0이고, 공급은 계속해서 감소한다. 내가 자산 일부를 둔다면 금보단 코인이 낫다고 본다.
코인이 자리를 잡으면 그 가치의 하한은 금이라고 보는데, 금의 시가총액을 고려해 코인의 가치를 추정하면..(이하 생략)현재 가격은 부차적인 문제
가장 큰 관심인 가격문젠데, 지금 중학생부터 할머니들까지 뛰어든건 맞고, 과열인 것도 맞다. 하지만 몇차례 폭락 겪으며 먼지 털어내듯 사라질 수요다. 선물시장에 진입해 본격적으로 기관투자자가 들어온다면 예측가능성이 높아지리라고 본다. 결국 지금의 급등세가 문제냐 아니냐는 부차적인 문제고, 코인이 법화와의 경쟁에서 어느정도 자리잡느냐의 문제가 핵심이라는 생각.
선물시장에 진입하면 폭락하리라 보는 경우가 많은데(빅숏?), 결국 숏을 치려해도 일단 기관이 물량을 사야 장난도 칠수있다. 그 말은 이렇든 저렇든 기관이 이 시장에 들어오리란 얘기. 그렇게 대규모 기관이 들어오면서 만약 가치가 안정되면? 실제 써보면 교환과 거래가 매우 쉬워서 확실히 국제거래에선 유용하다. 이게 아마 코인이 자리잡는데는 가장 좋은 경로가 아닐까 싶다.
- 물론 비트코인이 갑자기 달러를 폐기하고 우위에 선다, 이런 얘기는 아니다. 그보다는 기성언론에 대한 불신으로 SNS라는 채널이 힘을 얻고, 마치 시소처럼 경쟁하듯 법화와 코인이 병존할거라는 얘기다.
블록체인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네요.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