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이며 절대적인 Tworld 사전]
Steemit의 화려한 비상을 꿈꾸는 @tworld 입니다.
대문을 만들어주신 woolgom 작가님 너무 감사 드립니다.

클라우드의 길은 멀고도 험한....

클라우드 시스템 ? 클라우드 구축에서 무엇이 중요한가 ? 공부하는 입장에서 이것저것 찾아보고 하다 보니 클라우드 네이티브 라고 불리우는 게 눈에 들어 왔다.
네이티브라는 것을 잘 이해 하려면 우리가 흔이 외국인을 네이티브 스피커(Native Speaker) 라고 하는 것처럼 클라우드에서? 클라우드를 위해서 태어났다고 생각 하면 된다.
내용은 즉슨,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장점을 모두 살릴수 있도록 구성되고 최적화 된 시스템 또는 서비스라고 생각 하면 된다.
공감을 하는 것은 Application이 클라우드에 적합하게 되어 있어야만 클라우드의 장점인 저비용 고효율 또는 사용량에 따라서 비용을 관리 할수 있는 것을 정말 효율적으로 사용 할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오토 스케일링 이다.
오토스케일링?
오토스케일링은 똑같은 구성의 서버를 (컨테이너 라는 것도 해당) 사용량에 따라서 자동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것을 말한다. 설명해서 이야기를 하자면 네이버 서비스가 있고, 네이버 서비스는 IT시스템인 서버 등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서버 1대를 가지고 10명이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었는데, 갑자기 100명이 한꺼번에 붙어서 사용하려고 하니 서비스가 제대로 안되는 경우가 발생 할때, 오토스케일링을 사용 하게 되면 자동으로 서버를 늘려준다는 개념으로 받아 들이면 된다. 말은 쉽지만 .. 정말 어려운 것이다.

오토스케일링이라고 하지만 이렇게 서버를 늘릴때는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유지 해야하는 조건 그리고 늘려야하는 조건 등이 존재 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건을 맞게 튜닝 하는건 여러가지를 고려해야 하는 부분인 것 같다.
- 시스템( Sever, Database 등)
-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구성하는 Software 등 )
- 그외 운영적인 부분 등 여러가지
아직 개념을 제대로 잡지는 못했지만, 여러 조직 과 R&R에 걸쳐서 많은 역활의 변화가 필요한 부분으로 생각 된다. 아직도 갈길이 멀구나…
매일 항상 감사하면서 지내고 있는, @tworld 입니다
Sponsored ( Powered by dclick )
매직다이스하러 가자!
스팀 블록체인 기반 주사위 게임
제가 클라우드 시스템을 알아야 할 이유가 없어서 내용은 패쑤~ 합니다!ㅋㅋㅋ 오늘도 즐겁게 하루 보내세요~~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