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직 더 개더링은 카드 교환 게임의 원조로 이미 출시된 지 20년이 넘었다. 반면 갓즈 언체인드는 올해 말 출시할 예정으로 아직 세상에 선을 보이지도 않은 게임이다. 갓즈 언체인드 관계자들은 이런 카드가 이렇게 고가에 거래된 이유로 게임 자체에 대한 기대뿐 아니라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관심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한다.
이 게임을 개발한 호주 스타트업 퓨엘 게임스(Fuel Games)의 CEO 제임스 퍼거슨은 “암호화폐와 아무런 상관이 없는 사람들도 얼마든지 즐길 수 있는 아주 매력적인 게임”이라고 갓즈 언체인드를 소개했다. 퍼거슨은 갓즈 언체인드를 매직 더 개더링의 후속작이자 매직 더 개더링과 비슷한 게임 방식과 판타지 배경을 채택한 디지털 카드 교환 게임 하스스톤(Magic and Hearthstone)과 비교했다.
“게임의 복잡성이나 전략 면에서 하스스톤보다는 한 단계 더 높다. 또 매직 더 개더링 원작보다는 좀 더 단순하고 간편한 게임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가장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면,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는 실제 종이로 된 카드라는 점. 카드 주인은 비싸고 귀한 카드를 직접 들고 다녀야만 게임을 할 수 있다. 하스스톤은 디지털로 하는 게임이지만 여전히 게임 진행방식은 중앙에서 관리한다.
퍼거슨은 중앙에서 관리하는 게임은 게이머가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고 말한다.
“게이머가 게임에서 어떤 아이템을 얻어냈다고 해도 중앙 관리자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다시 뺏어갈 수 있다. 기본적으로 게임 안에서 어떤 복장이든 아이템이든 그 서버를 이용하는 게이머가 중앙의 관리자에게 허락을 받고 빌리는 것이나 다름없다. 게임회사는 언제든 확률이나 통계를 바꿔 게임 방식을 바꿀 수 있다.”
갓즈 언체인드의 게임 방식은 다르다. 우선 수집하는 카드부터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만든 ERC-721 토큰 방식을 따르는 대체 불가능 토큰이다. 이는 곧 갓즈 언체인드의 카드를 가진 사람은 그 카드를 게임회사가 만든 서버에서 잠시 빌리는 것이 아니라 온전히 소유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누구도 그 카드를 뺏어가거나 카드의 내용을 임의로 바꿀 수 없다. (다만 특정 카드가 너무 강력한 무적의 카드가 되어버려 게임의 균형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게임회사가 전체 카드의 균형을 조정하는 기간을 정할 수는 있다.)
퍼거슨은 암호화폐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라도 중앙의 관리자가 없는 완전히 분산화된 카드 교환 게임이라는 점을 매력으로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요즘은 게임이 사람들의 일상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매우 높아졌다. 나아가 게임은 일종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도 영향을 미친다. 프로게이머도 있는 세상 아닌가. 카드 교환 게임을 업으로 하는 사람에게 내 카드가 약해지는 것은 그냥 넘어가서는 안 되는 일이다.”심지어 갓즈 언체인드의 하이페리온(Hyperion) 카드를 146 이더에 산 사람이 자신의 게임 영상을 방송하는 프로 스트리머라는 소문도 있다.
주류에 들어갈 수 있을까?
출범 당시 갓즈 언체인드의 야심찬 목표는 10만, 아니 100만 명에 이르는 게이머를 확보해 갓즈 언체인드 게임은 물론이고 이더리움과 암호화폐 생태계의 지평을 넓히는 데 이바지하는 것이었다.퍼거슨은 이를 위해 “처음에 갓즈 언체인드의 카드를 사면 5달러 혹은 10달러어치 암호화폐를 주고 이를 얼마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퓨엘 게임스는 “최고 수준의 그래픽과 균형 잡힌 카드들로 치열한 경쟁을 펼 수 있는 균형 잡힌 게임”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이용자들은 또한, 대체 불가능 토큰인 카드를 오롯이 소유할 수 있다.퍼거슨은 블록체인 기술이 게임 산업의 판 자체를 뒤흔들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다고 말했다.
사실 지금은 모든 게임회사 하나하나가 마치 중앙은행처럼 게임에 관한 모든 요소를 통제하고 관리하고 있다.
게임 이용자가 블록체인을 통해 누구도 함부로 바꿀 수 없는 자산(게임 아이템, 복장 등)을 온전히 소유할 수 있다는 건 분명 매력적인 일이다. 하지만 이더리움의 현실은 게이머들에게 너무 큰 걸림돌이다. 네트워크의 처리 속도가 너무 느려 실시간으로 무언가를 하는 것은 엄두도 내지 못하는 수준에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을 바탕으로 한 게임을 진행하려면 거래 수수료 등 비용도 너무 많이 든다. 탈중앙화 게임 업계 전체가 여전히 풀지 못한 숙제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꽤 인기 있는 이더레몬(Etheremon)이라는 포켓몬의 이더리움 버전 게임은 최근 곧 출범할 질리카(Zilliqa) 블록체인으로 옮기기로 했다. 포켓몬을 닮은 게임 캐릭터 몬스(mons)들은 그대로 ERC-721 방식을 기반으로 한 이더리움 토큰으로 남겨두지만, 게임 운영은 질리카에서 하기로 한 것이다.
갓즈 언체인드의 경우 게임 진행은 아예 블록체인 밖에서 한다. 퍼거슨은 “지금처럼 복잡한 블록체인 위에서 게임을 운영하는 건 한마디로 불가능한 미션”이라고 말했다.갓즈 언체인드 개발팀은 블록체인에서 게임을 운영해본 경험이 있다. 앞서 퓨엘 게임스는 처음 선보인 이더봇(Etherbots)이란 게임을 온전히 이더리움 상에서만 운영했으며, 최근에는 앤서블 채널(ansible channels)이라는 확장성을 높이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벤처캐피털의 이목을 끌다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벤처캐피털 팀인 코인베이스 벤처스(Coinbase Ventures)를 비롯해 몇몇 블록체인 관련 투자회사들이 이미 퓨엘 게임스의 지분에 투자했다. 지난 5월에는 콘티뉴 캐피털(Cointinue Capital)과 너바나 캐피털(Nirvana Capital)을 비롯한 투자자들이 총 240만 달러를 퓨엘 게임스에 투자했고, 이 외에 소라 벤처스(Sora Ventures)도 퓨엘 게임스에 투자했다.
“갓즈 언체인드는 높은 수준의 게임 인터페이스를 지닌, 즉 잘 만든 게임이다. 동시에 게임 내 자산을 게이머들이 온전히 소유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라고 할 수 있다.”
콘티뉴 캐피털의 창업자이자 대표인 샤홍 린은 퓨엘 게임스에 투자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그는 특히 대체 불가능 토큰을 직접 게임에 도입한 점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갓즈 언체인드도 채택한 이더리움의 ERC-721 토큰 표준은 앞서 크립토키티가 사용하면서 주목받게 됐다. 크립토키티는 지난 3월 앤드리센 호로비츠와 유니온스퀘어 벤처스를 비롯해 유명한 벤처캐피털 투자자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
그러나 크립토키티의 이용자 수는 지난해 최고점보다 무려 98%나 줄어드는 등 인기가 급격히 식자 대체 불가능 토큰 자체에 대한 의혹의 시선도 커졌다.갓즈 언체인드는 그러한 의혹의 눈초리를 잠재울 수 있는 게임으로 평가받는다. 퓨엘 게임스는 이미 갓즈 언체인드에 쓰이는 카드를 5천 이더, 우리돈으로 17억원 가까이 팔았다.
6만 달러에 거래된 하이페리온 카드의 가격은 분명 놀라운 기록이지만, 지난해 12월 11만 1천 달러에 거래된 크립토키티의 고양이 가격에 비하면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투자자 중에는 게임을 넘어 부동산, 귀금속 등 여러 가지 자산을 토큰화한 뒤 이를 훨씬 간편하게 소량으로 거래하는 데 대체 불가능 토큰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는 이들도 있다. 실제로 대체 불가능 토큰 거래 장터인 오픈씨(OpenSea)에도 투자했던 코인베이스 벤처스는 대체 불가능 토큰의 쓰임새가 귀여운 디지털 고양이를 넘어 소셜미디어, 디지털 신원, 뉴스와 정보 교환 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벌써 ERC-721 토큰 표준이 보편화된 미래를 그리는 건 분명 지나친 비약이자 과장일 것이다. 하지만 퍼거슨은 당장 게임 분야에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쓰임새만으로도 투자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2016년 하스스톤의 매출이 4억 달러였다는 점을 예로 들며 이렇게 말했다.
한창 유행인 게임 업계에 발을 담그고 있다는 건 분명 좋은 일이다. 업계에 돈이 많이 몰리는 만큼 개발과 발전 속도도 빠르고 우리도 돈을 많이 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