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렵네요. ^^ P 는 아마도 Profitability 일거구요. skew 는 일반적으로 가우시안 분포에서 특정 부분으로 치우치는 양상을 말합니다. Mean 은 산술적 평균값을 이야기 하구요. 저도 저 그래프를 정확히 설명하는건 어렵겠네요. 시간에 따라서 블록증명율의 분포 양상이 10분에서 노드상에서 가장 이상적인 가우시안 분포를 보인다 정도로만 이해할 수 있겠네요.
저기 두번째 그래프의
mean=10 이 블럭타임이 10분일 경우를 얘기하는거 같은데 맞나요?
mean=10의 그래프가 제일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거 같아서 그렇게 [추측]중입니다.
다만 아랫 number of occurances의 숫자는 또 무슨뜻인지 모르겠으니..
0일떄 그래프가 왜 발생되는지 이해가 안가는중이네요.
저게 뭘뜻하든 0이면 아무것도 안생겨야 되는거 아닌가라고 막연히 생각중이거든요
저 인간 트윗내용이 대부분은 내가 하는밀 보고 좀 배워라 말투인데,
배워 볼래도 기본지식이 없어서 어렵네요.
저 사람은 10분이라는 블럭타임을 굉장히
좋게 보고있고 그에대한 기술적 사안들을
늘어놓은거고 앞으로도 계속 늘어놓을득 한데
진짜 하나라도 알아먹을수 있을런지...
빅블록으로 갈때 utxo검증이 큰 문제입니다. 각노드들이 이것을 검증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고성능 서버를 사용해야 빅블록을 감당할수 있어요. 비캐는 빅블록으로 가면서 분산화를 일부 포기하는것 같습니다. 라즈베파이 같은걸로 돌리는 노드는 앞으로 버티기 힘들것입니다. 서버는 적어도 쿼드코어 수준이 되야죠.
비캐에 빅블록으로 가면서 동시에 라이트닝네트웍도 동시에 도입해야죠. 앞으로 언젠가 블록늘리기 한계에 접근할때 라넷도입이 현실화 될것입니다.
비캐후원자들은 급한게 블록확장이라 생각하고 라넷도입거부는 아닌걸로 압니다.
앞으로 일년에 2회 하드포크 한다고하는데 이러면 반대파 나올텐데 이런거 무서워 하지 않나봐요. 포크로 갈라질테면 가라는 전략입니다. 이번에 eda에서 dda난이도 포크에서 보듯이 하드포크 무서워할 이유 없는것 같습니다.
어렵네요. ^^ P 는 아마도 Profitability 일거구요. skew 는 일반적으로 가우시안 분포에서 특정 부분으로 치우치는 양상을 말합니다. Mean 은 산술적 평균값을 이야기 하구요. 저도 저 그래프를 정확히 설명하는건 어렵겠네요. 시간에 따라서 블록증명율의 분포 양상이 10분에서 노드상에서 가장 이상적인 가우시안 분포를 보인다 정도로만 이해할 수 있겠네요.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저기 두번째 그래프의
mean=10 이 블럭타임이 10분일 경우를 얘기하는거 같은데 맞나요?
mean=10의 그래프가 제일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거 같아서 그렇게 [추측]중입니다.
다만 아랫 number of occurances의 숫자는 또 무슨뜻인지 모르겠으니..
0일떄 그래프가 왜 발생되는지 이해가 안가는중이네요.
저게 뭘뜻하든 0이면 아무것도 안생겨야 되는거 아닌가라고 막연히 생각중이거든요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이항분포를 설명하는것임
p 성공확률 (1회당)
x x회 나올확률
n 시행횟수
기대값평균은 np
평균값이 높을수록 좌우 대칭분포에 가까와지고, 작은 마이닝풀이 블럭발견에 불리하지 않다는것 설명하는것 같음.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이게 블록타임 10분이 좋다는것을 설명하는지 알수없음. 발견확률이 10분 주위로 쫙 퍼진다는 의미는될수 있지만 소형마이너가 덜 불리하다는 근거는 잘 모르겠네요. 전문가만 알만한 내용입니다.
이것보다 네트웍 전파속도가 있으므로 너무 빠르게 블록이 발견된다면 해시가 높은쪽이 더 유리할것이라 봅니다. 예를들면 네트웍 전파속도가 1초라하고 블럭타이밍이 600초와 100초는 한쪽이 1/600만큼 1/100만큼 손해봅니다. 소형풀이 덜 손해보는 조합은 블럭타임이 긴쪽이겠죠.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블럭타임이 10분인경우 가끔 30~40분에 블럭을 발견하는상황이 나오므로 2분 정도가 적당합니다. 늦으면 6~8분에 블럭을 발견하죠. 이것도 비캐처럼 빅블럭으로 가는경우 함부로 줄이기 힘듭니다. 커진만큼 전파속도가 느려질수 있습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저 인간 트윗내용이 대부분은 내가 하는밀 보고 좀 배워라 말투인데,
배워 볼래도 기본지식이 없어서 어렵네요.
저 사람은 10분이라는 블럭타임을 굉장히
좋게 보고있고 그에대한 기술적 사안들을
늘어놓은거고 앞으로도 계속 늘어놓을득 한데
진짜 하나라도 알아먹을수 있을런지...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모두가 노드를 돌릴필요는 없다라는 입장에
전파속도문제도 포함되어서 주장하는걸로 압니다.
괜히 네트워크의 발목을 잡는 노드들이 늘어난다는
주장이었던거 같네요.
그러면 중앙집중화 되지 않느냐는 의견에는
노드만을 파워로 여기기에 그런 의견이
나온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커뮤니티파워가 충분히 균형을
이뤄줄것이라면서요.
뭐 사실 문제라는게 항상 터지기 전까지는
우려에 불과하기에 문제가 터지기 전에는
답을 내리기가 힘들기도 합니다.
XRP도 창립자가 먹튀한거 말고는 딱히
중앙집중화로 문제 된것이 없으니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빅블록으로 갈때 utxo검증이 큰 문제입니다. 각노드들이 이것을 검증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고성능 서버를 사용해야 빅블록을 감당할수 있어요. 비캐는 빅블록으로 가면서 분산화를 일부 포기하는것 같습니다. 라즈베파이 같은걸로 돌리는 노드는 앞으로 버티기 힘들것입니다. 서버는 적어도 쿼드코어 수준이 되야죠.
비캐에 빅블록으로 가면서 동시에 라이트닝네트웍도 동시에 도입해야죠. 앞으로 언젠가 블록늘리기 한계에 접근할때 라넷도입이 현실화 될것입니다.
비캐후원자들은 급한게 블록확장이라 생각하고 라넷도입거부는 아닌걸로 압니다.
앞으로 일년에 2회 하드포크 한다고하는데 이러면 반대파 나올텐데 이런거 무서워 하지 않나봐요. 포크로 갈라질테면 가라는 전략입니다. 이번에 eda에서 dda난이도 포크에서 보듯이 하드포크 무서워할 이유 없는것 같습니다.
비캐가 기존에 시도하다가 좌절된것들을 도입하고 활동적으로 저변을 확장하는게 흥미롭습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이번에 나온 테라바이트 블럭 프로젝트에도
그 UTXO문제 해결이 하나의 목표로 되어있더군요.
그리고 아마 BCH가 사토시가 한말을 꽤나 따르는애들이다 보니 결국 훗날에는 대형데이터 센터 중심의 노드가 이뤄지리라 보는건지도 모르겠습니다.
EDA는 사실 비트코인에서 포크되다보니 비트코인 난이도에서 그냥 끌어내릴려면 한세월이니 임시조치로 넣어진 난이도알고다 보니 DAA로 바뀔때도 별말이 없었지 않나 싶네요.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