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소에선 고양이가 개보다 더 아프다?

in kr-pet •  6 years ago 

유기동물보호소에 들어온 개와 고양이 중에 누가 더 아플까요? 정말 차이는 있을까요? 지난 칼럼에서는 작년에 발생한 유기·유실동물 가운데 개 8만3천여 마리의 '특징'란에 기재된 텍스트데이터를 분석했는데요. 이번에는 고양이의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고양이는 같은 기간 발생한 유기·유실견보다 발생 두수 자체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지만(2018년 1월1일 ~ 11월30일, 2만6천여 마리), 자주 등장하는 단어의 빈도나 특징이 꽤 다른 양상을 보였습니다.  

위 그래프는 유기묘의 '특징'란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들인데요. '양호'라는 표현이 '불량'보다 훨씬 많이 등장하는 유기견과는 달리 '불량'의 출현빈도가 '양호'보다 2배 이상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외에도 ‘교통사고’, ‘탈진’, ‘허약’, ‘설사’, ‘의심’ 등 나쁜 건강상태를 시사하는 단어들이 훨씬 많이 등장했습니다.  또 고양이의 경우 일반적으로 목줄이나 가슴줄 등 악세서리를 잘 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신체적인 특징으로는 '검정', '흰색 등 피모의 색깔만을 주로 기재하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결과만 놓고 보면 '고양이가 더 아프구나'하는 생각을 가질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나라는 고양이에게 더 척박한 나라라고 볼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유기묘가 유기견보다 전반적으로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해석할 때는 주의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현재 동물보호법과 하위 지침인 동물보호센터 운영지침상 동물보호센터 보호 대상 동물의 범위에서 고양이는 제외되어 있습니다.  다만, '구조 신고된 고양이 중 다치거나 어미로부터 분리되어 스스로 살아가기 힘들다고 판단되는 3개월령 이하의 고양이는 포함'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즉, 동물보호시스템에 공고될 수 있는(보호 대상 동물에 해당하는) 고양이는 다쳤거나 아주 어린 고양이로 한정돼 있습니다.   

 그래서, '공공장소에서 소유자 등이 없이 배회하거나 종이상자 등에 담겨져 내버려진 동물'이 보호 대상이 되는 개와는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즉 현행 법률의 제도적인 영향이 실제 동물보호 현장에서 기입되는 데이터에도 나타나고 있다고 해석하는 편이 더 정확할 것입니다. 

※ 본 콘텐츠는 양이삭 수의사([email protected]) 가 노트펫에 기고한 칼럼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