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 자막없이 영화보기의 원리 (나는 이제껏 700편이 넘는 영화를 보았다.)

in kr •  7 years ago 



내가 실천하고 있는 자막없이 영화보기의 원리는 무엇일까?
나는 이제껏 무슨 뜻인지 모두 알아듣지 못해도 2015년부터 약 1400시간 가량 자막없이 영미권 영화를 보아 왔다.

그것은 영어를 '외국어'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또 하나의 '모국어'로 접근하는 방법이다.
우리가 신생아도 아닌데, 성인이 된 나이에 제2모국어를 만들어 Bilingual이 되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가능하다.

우리가 한국어를 배웠을 때의 과정을 떠올려보자.
한글이라는 문자를 배워서 과연 한국말을 잘 하게 되었을까?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무슨 뜻인 지도 모른 채 (이것이 핵심이다) 한국어의 '소리'를 듣는다.
갓 태어난 아기에게 말을 해 보라고 하는 부모가 있던가?
아이는 그렇게 약 2년 여의 시간동안 언어의 소리를 들은 후 한글이라는 '문자'를 배우기 시작한다.
이 시기는 만 3세인데, 이 마저도 최소한의 빠른 시기이고, 뇌과학자들은 문자교육에 적당한 나이를 만 5세 이후라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어쨌든 개인 차가 있겠지만 분명한 건 소리를 충분히 들은 후에야 문자를 배우기 시작한다는 사실이다.

듣기다음문자.png



소리를 다 들을 수 있게 된 후에야 문자를 배워야 한다.

처음에는 무슨 뜻인지 몰라도 아이는 소리환경에 노출되어 약 2년이 지난 후(약 두 돌 즈음 되었을 때)에는 "엄마," "아빠"와 같은 단어를 말하기 시작한다. 말문이 터진 것이다.
이 때에는 소리의 음가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 시점이다.
즉, 들을 수 있어야 말할 수 있고, 속도에 관계 없이 아무리 빨리 말해도 그 소리의 음가를 구별할 줄 알면, 말문은 저절로 터지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외국어를 배울 때 보통 '문자'를 먼저 학습하게 된다.
파닉스를 먼저 익힌 후, 글자를 읽는 법부터 배우게 되는데, 이 과정이 지나면 소리를 들으려고 해도 굉장히 힘들어진다.
그 이유는 문자가 소리보다 파워가 더 세기 때문이다.


소리보다문자.png


소리와 문자의 파워게임에서 문자가 이기게 된다.



이렇게 문자를 먼저 아는 상태에서는 소리를 들으려고 해도, 문자를 모를 때보다 몇 배 이상 힘들게 된다.
그 이유는 방금 내가 들은 것이 무슨 소리였는지 '생각'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단어를 외우고 문법을 배운 상태라면 자꾸 그 뜻을 떠올리려 한다.

자막없이 영화를 보려고 해도, 아이는 무슨 뜻인지 몰라도 스트레스가 없지만 성인은 처음에 굉장히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내가 아는 단어가 들리는 것 같고, 그 뜻을 떠올리는 순간 다음 소리를 놓쳐버리기 때문에 절대로 온전히 있는 그대로를 들을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자막없이 영화보기를 실천하려면, 내가 마치 갓 태어난 신생아인 것처럼 아는 것을 내려놓는 훈련이 필요하다.
처음엔 불편하겠지만, 이내 적응이 된다.

성인은 아이가 아닌데, 이 방법으로 성공할 수 있을까?

그렇다. 실제로 우리가 접하지 못했던 무수한 성공사례들이 존재한다.
다음에는 이 방법으로 성공한 사례를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너무 흥미로운 주제네요 핵심은 아이처럼 단어를 몰라도 계속 흥미를갖고 들어야하는데 약 얼마나 들어야 느낌을 받을수있을까요?(학습이되고있다는 느낌...?)

신생아가 말문이 트일 시점이 약 만 3세입니다. 즉, 2년 동안은 듣기를 해야한다는 거죠 ^^
그런데 영화를 생각 없이 보다 보면.. 처음엔 답답했던 것이 금새 사라지고 어느새 영화에 푹 빠져 보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ㅎㅎ 꼭 '듣기'를 한다고 생각하기보다, '영화를 본다'고 생각하시면 장기적으로 좋습니다!

듣기가 아닌 영화를 본다.
그 조언 꼭 깊이 새겨듣겠습니다.ㅎㅎ
거짓말안치고 이번주 주말부터 바로 실행하려구요. 이포스팅을 보고 희망을 얻어갑니다...^^

nosubtitle 님ㅎㅎㅎ
포스팅에 용기 얻어서 도전해보려고 하는데~
추천해주실만한 영화 있을까요~?
장르는 로맨틱이요~ㅎㅎ

너~~무 많죠 ^^ ㅎㅎ 가만있어보자..
<노트북>, <세렌디피티>, <10일만에 남자친구에게 차이는 법>, <사랑의 레시피>, <블루라군>, <브릿짓존스의 일기>, <내 남자의 아내도 좋아>

정도가 있겠네요 ^^

하나, 하나 검색해서 봤는데 영알못이었는데 딱 제가 매력느낄만한 영화입니다ㅋㅋㅋ
감사합니다ㅋㅋㅋ
우선 10일만의 남자친구에게 차이는 법, 사랑의 레시피, 블루 라군, 브릿짓존스의 일기 을 주말부터 하나씩 클리어 해야겠습니다ㅋㅋㅋ


그리고 좋은 글 꾸준히 포스팅해주시면 금새 많은 분들이 보시는 스팀잇입니다~ㅎㅎ
Keep Going !!

감사해용~~ :D 앞으로 차근차근 포스팅하도록 할게요!! 야호 신난다~
아, 그리고 영알못일수록 자막없이 영화보기를 실천하는 데에 유리한 조건입니다 ㅎㅎ

그런가요??
평소에 영화를 너무 안 봐서..
올 해부터는 문화인 좀 되보려구요ㅋㅋㅋㅋ

그리고 학교 다닐 때 학교에서 listen&repeat 이거 할 때..남자 목소리가 별로 없어서(제 기억엔 다수가 여성으로 기억합니다ㅠㅠ) 저도 모르게 음을 약간 올리는 경향이 있더라구요ㅎㅎ성인되고나서 인지 했습니다ㅠㅠㅠ

영화보면서 억양하고 음도 본래 제 음으로 찾아가보려구요ㅎㅎㅋㅋㅋㅋ
도전 가즈앗 ~!!ㅋㅋㅋ

그리고 명작 추천해주셨으니 조금 늦더라도 하나씩 클리어하고 후기 남겨놓겠습니당ㅋㅋㅋ

넵!! ㅎㅎㅎ 감사합니다! 저도 원래 영화관 잘 안 가는 편이었는데... 영미권 영화는 보다보면 세계관의 변화까지 함께 찾아오빈다 ㅋㅋ 영화의 참 맛을 알게 되었어용

즐겁게 영화보셔요~~ :)

오~~~
저도 요즘 실천하고 있는 방법인데요, 쉽진 않더라구요!
같은것을 반복해서 보는건 어떤가요? 저는 같은 영화를 반복 시청중이거든요...
그리고 성공 사례 기대합니다^^

같은 것을 반복한다고 해서 듣기 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는가? 에 대해서 오늘 포스팅 해 드리겠습니다 ^^
결론은 No입니다.
감사합니다~~

흥미로운글 잘보았어요.
보팅 및 팔로우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맞팔했습니다~ :)

그러니까, 영어가 유창한 상태가 아닌데 자막없는 영화보기를 통해 듣기를 향상시키는 게 가능했다는 얘긴가요? ^^ 무척 흥미롭네요.

네 그렇습니다 ^^ 매일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자를 모를수록 유리합니다.

  ·  7 years ago (edited)

보통 다른 사람들은 이정도 컨텐츠면 책을 내더라구요. 한 문장으로 요역 가능한 500쪽짜리. 499페이지는 동기부여에 할애하구요.
귀중한 노하우를 그냥 맨입으로 익히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흥미로운 주제네요! 자막 없이 미드 보면 정말 편하겠어요. 팔로우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