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장센(mise-en-scene): 단일한 쇼트 안의 공간적 구도/배치 1

in kr •  3 years ago 

영화는 하나의 장면이 자아내는 의미에도 많은 신경을 쓸 때 완성도 있는 작품이 됩니다.
따라서 영화감독은 하나의 쇼트 안에서도 그 쇼트를 통해 전달하려는 의미를 위해 프레임(frame) 속에 담겨질 모든 조형적 요소들, 즉 세팅, 조명, 의상, 배열, 구도, 인물의 행위, 카메라의 각도와 움직임 등을 고려하게 되지요.
카메라에 찍히는 모든 움직임과 그 움직임을 배치할 공간적 구도를 구상하는 작업을 ‘미장센’이라고 합니다.
‘미장센’은 원래 ‘장면을 채운다’(putting in the scene)라는 뜻으로 무대연출에서 쓰이던 개념입니다.
따라서 시간적 의미창출기법이었던 몽타쥬와는 달리, 미장센은 공간적 의미 창출의 영화적 기법이라고 할 수 있지요. 이러한 미장센을 선호하는 감독들은쇼트를 쪼개지 않고 한 쇼트를 길게 찍는 ‘롱테이크’(long take)나 화면의 심도를 살린 ‘딥 포커스’(deep focus) 따위를 즐겨 사용합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