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nited States should cease demanding excessive increases in defense funding and the creation of groundless "operational support" items.
The cost of deploying strategic platforms cannot be covered by the defense cost sharing.
It's time to slash, not increase costs, and the government must refuse unreasonable demands.
The sixth round of negotiations for the signing of the 10th Special Measures Agreement (SMA), which will be implemented starting from 2019, will take place in Seoul for two days starting from today (8/22). The U.S. has insisted during the negotiation process that South Korea should sharply increase its share of the costs and also bear the costs of developing strategic platforms. The fifth round of talks even led to an absurd demand for a new "operational assistance" item to impose the cost of developing strategic platforms onto Korea. As this is an unwarranted demand beyond the purpose and scope of this special agreement, it should be stopped immediately.
Both Korea and the U.S. acknowledged that Korea is paying more than half (up to 65% or more) of the cost of stationing U.S. forces in Korea, including direct and indirect support, in addition to the annual defense cost of 1 trillion won.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Yoo Joon-hyung, a senior researcher at the Korea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KIDA), Korea's total cost to U.S. troops in Korea exceeded 5 trillion won in 2015 alone. It has also been revealed that the U.S. military has accumulated some of the contributions provided by South Korea, illegally appropriated them for projects to relocate the U.S. military base in Pyeongtaek, and made interest profits. Aside from the illegality of the act, it is evidenced that South Korea is already paying for the full cost of the U.S. troops stationed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project to relocate the U.S. military base in Pyeongtaek, which cost Korea 11 trillion won over the past 10 years, was completed this year. This is expected to reduce the cost of building military facilities in the future. It is time to make a drastic cut, not increase.
According to media reports, the U.S. demanded support in the creation of a new "operational assistance" item during the fifth round of talks, including the cost of deploying strategic platforms. However, the agreement is an exception to the SOFA (South Korean Status of Forces Agreement), which requires the U.S. to pay U.S. military expenses other than the facility area, and aims to provide 'Support for U.S. Forces Stationed in Korea'. Support will also be limited to the cost of constructing military facilities, the labor cost of Korean workers, and the cost of military support expenses. The demand for sharing the cost of deploying strategic platforms is clearly deviating from the purpose of the defense cost contribution to support the U.S. military presence in Korea, and cannot be subject to the defense cost sharing item.
In the Panmunjom Declaratio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greed to halt all hostilities against their counterparts and realize gradual disarmament by establishing military confidence.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lso agreed to establish a new North-American relationship in the joint statement of the NK-U.S. Summit. The development of U.S. strategic platforms that can be regarded as military hostilities against North Korea is a violation of the Panmunjom Declaration and is a stumbling block to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creation of an "operational assistance" item is no more acceptable as it pushes ongoing costs onto future generations. Under such circumstances, on August 14, U.S. Ambassador to the Republic of Korea Harry Harris asked Moon Hee-sang, chairman of the National Assembly, to ratify the Parliament's swift treaty. In the situation where the position between Korea and the U.S. is sharply divided and negotiations are in progress, this action is like pressing the National Assembly with ratification consent. This should be criticized for neglecting the procedures of the negotiating partners.
It is no surprise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not responded to the U.S.’ request for the principle of "fair share of a reasonable level that the people can understand." But the U.S. is expected to exert its pressure even more as the talks have already passed the middle of the negotiations. The government must never accept the demand for excessive increases relating to the United States and the creation of groundless "operational support" items until the end of the negotiations. Furthermore, the government should make every effort to reduce excessive and unnecessary subsidies and to ensure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mands as well as the transparency of enforcement.
*http://www.peoplepower21.org/english
[Korean Version]
미국은 과도한 증액 요구와 근거 없는 ‘작전 지원’ 항목 신설 요구 중단하라
전략자산 전개비용은 방위비 분담금 대상 될 수 없어
증액 아니라 대폭 삭감할 시점, 정부 터무니없는 요구 거부해야
2019년부터 적용될 ‘주한미군 주둔 경비 지원금(방위비 분담금)’을 결정하는 제10차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6차 협상이 오늘(8/22)부터 이틀 동안 서울에서 열린다. 미국은 그간의 협상 과정에서 한국이 분담금을 대폭 증액하고 전략자산 전개 비용도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심지어 지난 5차 협상에서는 전략자산 전개 비용을 한국에 부담시키기 위해 ‘작전 지원’ 항목 신설을 요구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이는 본 특별협정의 목적과 범위를 벗어난 근거 없는 요구로, 즉각 중단해야 한다.
미국은 이번 10차 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이 시작되기도 전부터 한국의 분담금 대폭 증액을 고집스럽게 주장해왔다. 한국이 매년 1조 원에 달하는 방위비 분담금 외에도 직⋅간접지원까지 포함해 주한미군 주둔 경비의 절반 이상(최대 65% 이상)을 부담하고 있다는 것은 한⋅미 양측 모두 인정하는 사실이다. 한국국방연구원(KIDA) 유준형 선임연구원이 조사한 ‘주한미군 직간접지원 현황’에 따르면, 한국이 주한미군에 지원하는 총비용은 2015년 한 해 동안에만 5조 원이 넘는다. 미군이 한국이 제공하는 분담금 일부를 사용하지 않고 적립해 두었다가 평택 미군기지 이전 사업 등에 불법으로 전용하고 이자 수익까지 챙긴 사실도 드러난 바 있다. 행위의 불법성 여부는 차치하더라도, 이는 현재 한국이 주한미군 주둔 비용을 이미 충분히 부담하고 있다는 증거다. 특히 지난 10년여 간 한국이 총사업비 11조 원의 92%를 부담한 평택 미군기지 이전 사업도 올해 완료되어 향후 군사시설 건설비용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증액이 아니라 오히려 대폭 삭감해야 할 시점이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 5차 협상에서 전략자산 전개 비용 등이 포함된 ‘작전 지원’ 항목 신설을 요구했다. 그러나 본 협정은 시설⋅구역을 제외한 미군 경비를 미국이 부담하도록 규정한 SOFA(한미 주둔군지위협정)의 예외적인 규정으로, ‘주한미군 주둔 경비 지원’을 그 목적으로 한다. 지원 항목도 군사시설 건설 비용, 한국인 근로자 인건비, 군수지원비에 한한다. 전략자산 전개 비용 분담 요구는 ‘주한미군 주둔 경비를 지원’하는 방위비 분담금의 목적에서 명백히 벗어난 것으로 방위비 분담금 항목의 대상이 될 수 없다.
남과 북은 <판문점 선언>에서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행위 전면 중지, 군사적 신뢰 구축에 따른 단계적 군축 실현 등을 합의한 바 있으며 북미 역시 북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새로운 북미 관계 수립을 합의했다. 북한에 대한 군사적 적대행위로 간주될 수 있는 미국의 전략자산 전개는 <판문점 선언> 위반이며 한반도 평화체제에 걸림돌이 되는 행위로, 이를 위한 비용을 한국이 부담할 필요는 전혀 없다. 항목 신설은 미래 세대에게 지속적인 비용 부담을 지우는 것으로 더욱 받아들일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 8월 14일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 대사는 문희상 국회의장에게 국회의 신속한 비준을 부탁하기도 했다. 한⋅미간 입장이 첨예하고 실무 협상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비준 동의권을 가진 국회를 압박한 것과 다름없다. 협상 상대국의 절차를 무시한 행태로 비난 받아 마땅하다.
한국 정부가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 수준의 공평한 분담금”을 원칙으로 미국의 이같은 요구에 응하지 않은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이미 협상이 중반을 넘어선 시점에서 미국의 압박은 더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번 협상이 끝날 때까지 미국의 과도한 증액 요구나 근거 없는 ‘작전 지원’ 항목 신설 요구를 결코 수용해선 안 된다. 나아가 과도하고 불요불급한 지원금을 삭감하고, 소요 제기의 타당성과 집행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오스 계정이 없다면 마나마인에서 만든 계정생성툴을 사용해보는건 어떨까요?
https://steemit.com/kr/@virus707/2uepul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