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후의 투자][STEEM] #능력 : 2가지 의문과 1가지 본질

in sct •  6 years ago  (edited)

# 의문 2, @gsr-io@ned

스팀재단의 계정 @steemit은 2019년 8월 19일 기준, 2,950만 스팀파워와 166만 스팀을 보유하고 있으며, 파워다운중입니다.

재단.png
정신.png
차려.png

2019년에만 금일까지 @steemit계정을 통해 송금된 스팀의 큰 내역은 두가지 입니다.

@gsr-io 계정에게 지급되었다는 프로그램 구입비 명목 532만 스팀(예상 20억원), 그리고 ② @bittrex로 송금된 스팀 626만스팀(예상19억원)입니다.

비트렉스로 송금된 스팀은 1~3월 스팀가격이 200~300원일때 대부분, 송금되었기에, 추정 예상금액이 @gsr-io 전송금액보다 낮습니다. @gsr-io에게는 5월을 제외하고는 매월 2억원~5억원의 스팀이 송금되고 있습니다.

@steemit 입출금내역

의문.png
자료: @lovelyyeon+남치니, @steemit

첫번째 의문사항은 @gsr-io의 송금에 대한 실체와 성과입니다. 과연 8월까지 매월 2억원 전후로 지급된 약 20억원 이상의 소프트웨어 구입비는 정확히 어떤 역할의 프로그램 구입에 사용되었고, 어떤성과를 내고 있는 걸까요?

의문2.png

홈페이지(https://www.gsr.io/)에 가보면 저비용으로 마켓을 조성하는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이라는 비전을 소개하고 있는데, 약력이나 본인들이 보여준 공식 글을 읽어봐도 스팀잇과의 정확한 접점과 방향성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회사 정체성 파악이 어렵네요.

두번째 의문은 @gsr-io로 간 송금 스팀이, 왜아직도, @ned와 관련 있는 계정으로 추정되는 @brixtong이 송금한 계좌들과 같은 곳으로 재전송 되고 있는가 입니다.

@gsr-io 입출금내역

gsr-io.png
자료: @gsr-io 스팀잇 계좌

2019년에 @steemit으로부터 @gsr-io에 입금된 530만 스팀중 현재 남은 54만 스팀을 제외한 480만 스팀은 대부분 후오비와 바이낸스 계좌로 재출금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두 출금주소로는 @brixtongg이라는 계정이 출금을 한 이력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brixtongg@ned에 의해 테스트를 거쳐 출금계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brixtongg 입출금내역

브릭스2.png
브릭스.png
자료: @btixtongg 스팀잇 계좌

요약하면,

  • 2019년 8월까지, 정체가 모호하며 성과가 없는 gsr-io 프로그램 구입비로, 최소 530만 스팀(출금시점 환산, 20억원 추정)이 지출되었다.

  • 이중 480만 스팀은 과거 네드가 출금계정으로 사용된 계좌로 보내졌다.

  • 2019년 초 출금된 620만 스팀(당시 환산, 19억원)은 비트렉스로 직접 출금되었으며, 정확한 정체는 알수없다.

상식적으로, 스팀잇 재단의 파워다운 물량 상당량을 지급한 프로그램 구입계정(@gsr-io)이 다시 거래소 출금계좌로, 한발 물러난 경영진의 계좌를 쓴다는 게 잘 이해는 가지 않습니다.

또한, 스팀운영진이 준비중인 SMT와, 유동성/마켓 조성에(본인들말로는) 일가견이 있다는 회사가 어떻게 연결되는 건지는 더더욱 갸우뚱입니다.

법적인 제재와 공시의 의무가 명확한 주식회사였다면, 당장 나머지 주주들이 들고 일어나서

명확한 비용 책정의 이유, 선정회사 내용 및 관계, 향후 추가 지급계획 등을 요구하고도 남았을 것입니다.

뭐, 어쩌고저쩌고 네드가 대신 비용을 지급하려고 본인계좌로 보내서 주었다고 치고(상당히 찝찝하지만)

그럼 앞으로 남은 2,950만 중 얼마가 추가 지급될 것인지(시장에 얼마나 더팔거야!!)정도는 알려줘야 한다고 봅니다. 세상에 재화/서비스 계약을 하면서 일자와 금액이 명시되지 않은 정식계약이 있나요? 잘모르겠습니다.

향후, @steemit계정의 파워다운과 잔량을 감안할 때, 상기 프로그램 비용지급(2019년 8월까지, 최소 500만~1,000만 스팀)이 지속된다면, 연말(16주)까지 남은 @steemit물량(2,950만)이 정체성이 모호한 프로그램 지급에 소진되기까지는 여전히 2년~3년은 팔 시간이 남았다는 계산이 나옵니다.(물론 추가로 더 모호한 프로그램에 한번에 크게 지급될 수도 있겠죠...T.T)

재단은 적어도,

①현재까지의 gsr-io 관련 성과, ②향후 추가지급계획, ③네드계좌로 지급한 이유 등에 대해서는 명확히 답변을 해주었으면 합니다. 신규 자본을 유치할 생각이 있다면..


# 본질1, STEEM 자원

1가지 본질은 스팀 자원 자체에 대한 것입니다.

많은 이들에게 희망회로를 심어서 장기 홀딩하게 만든 OP(동작/작업개념, 이전에는 트랜잭션)와 CUI(총 용량중, 현재 사용량)의 암호화폐별 순위입니다.

https://www.blocktivity.info/

기초.png

현재 BTC의 CUI는 느낌표로 나옵니다. 그만큼 트랜잭션이 몰려서 현재 자원사용 버퍼가 별로 없다는 의미이며, 1위인 EOS 36%대, STEEM은 0.07%입니다.(난 내capa의 1%도 안쓰고/못쓰고 있다규~! ^^;)

스팀의 본질로 참 체력이 좋은 아이, 혹은 머리가 참 좋은데 자기 능력 발휘를 다 못해본 아이라는 비유가 있습니다.

저비용/회수가능 자원이 있음에도 SNS형 채굴 코인이라는 이미지가 강하여, 개인/기업 수요자들이 찾지 않았습니다. 또한, 13주의 락, 25%의 자원배분율 그리고 무엇보다 경영진의 불투명한 정책과 지속매도 정책에 자본의 외면을 받아왔습니다.

네드가 2년동안 더팔든말든 그게 스팀의 본질을 바꾸지는 않습니다. 여전히 확장성이 부여될시 가장 큰 자원 소화력이 있는 고성능 저비용 블록체인인건 그대로라 생각합니다. (만일, 도저히 스팀계의 개혁이 힘들다면, 운용체제/계정만 스팀을 활용하고, 자본의 통로 혹은 단위로는, 기축으로 스팀을 쓰지 않는 별개토큰의 활용방안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스팀 자원을 활용한 토큰이코노미로 성공하는 케이스들이 나와줘야, 그리고 경영진의 투명성 확보 혹은 교체가 있어줘야, 대형자본이 집중할 것입니다.

자기 살 파먹는 식인아이가 아닌, 부디정신좀차리자 운영진으로 각성 혹은 능력있는 경영진/자본으로 교체되어, 그동안 억제되었던 능력이 마음껏 발휘되는 날이 왔으면 합니다.

그렇게, 본질이 시간을 만나 의문을 이겨내기를..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궁금한부분 알려주셔서 감사요 ~

미흡한 내용인데, 감사합니다~ 조근조근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힘찬 한주되세요~

오늘도 흥미롭게 봤습니다 ^^
재미있네요 ㅎㅎ

아네~ 저는 정리할수록 좀 마음이 안좋았다는.. T.T 의문을 이겨내고, 본질이 힘을 내는 날이 왔으면 하네요..편안한 밤되세요~^^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아마 스팀잇 재단 계정이 뭘 하는지에 대해서는 네드는 이거 private이라서 공시할 의무 없어, 라는 말만 할겁니다 (이미 그랬던듯).

저게 프로그램 구입비였나요? 저는 저거 전부 다 재단 운영비인줄 알았는데...

부족한 글에 말씀 감사합니다~ private하게 남으려면 public한 거래소에는 왜 상장해서 이 많은 사람들 애먹이는건지. 이런부분은 법적으로도 국내 거래소들이 슬슬 도입하듯이 상장유지조건으로 공시 의무가 있었으면 하네요.

일련의 흐름 원천에는 이제는 20위밖으로 밀려나버린 증인 @jesta가 올해초 제기했던 프리마이닝 된 스팀물량에 대한 동결 논의가 있는 듯합니다.

뒤이어, 1월 steemit계정의 파워다운이 시작되었고, @gsr-io라는 계정(이마저도 정말 gsr-io회사 관련인지 의문입니다.)에게 스팀을 보내며 프로그램 구입비라며 메모에 적고, 이후 주기적으로 보낸 걸로 봐서는, 순수하게 재단 운영비로 다 봐주기가 참 애매하네요.(굳이 gsr-io계정을 거쳐, 네드 출금계좌로 쓴 옛계좌로 보낼 필요가 있는건지..)

문제는 이물량 후에도 blocktrades나 misterdelegation등 운영과 증인에 대한 재단 영향력이 여전히 막강하다는데 있는 듯 합니다. SCT와 AAA등 SCOT팀들의 출범과 운영을 스팀재단과 비교해보면, 지극히 정상적 수순임에도 도인처럼 보일 지경입니다. T.T

실상, 판을 바꾸려면 2,500만 스팀 이상은 필요할 듯하기에, 긴 승부가 될 것 같습니다. 글로리님도 기왕지사, 뜻과 힘을 모으셔서 증인 출마를 진지 생각해보심이 어떨까 합니다. (뭇 많은 분들의 신망을 고려시, 털고나가기는 늦으신 듯하셔서..^^;;)

정말 답답합니다. 명확한분석 감사합니다.

미흡한 내용인데, 감사합니다~ 현재 할 수 있는 곳에 역량을 모으며, 시간을 이겨내야 할 듯하네요. 기운내세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앗~ 부족한 글에 격려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하루되세요!(즐몬하세요~ 할뻔..^^;)

현황을 간접적으로나마 파악할수 있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아이구~ 따뜻한 말씀 감사합니다~ 무더위가 한풀 꺽이네요. 편안한 오후 보내세요~^^

오늘도 매우 스팀을 파헤치셨군요...
아.... 진짜.... 그냥 물량 블럭딜로 어디서 사줬으면 좋겠네요.
진짜 스팀 떡상은 일도 아닐듯한데말이죠.. ㅠㅠ

꾸준히 저렇게 팔아 제끼니.... 올라갈수가 없긴 없죠.. ㅠㅠ 답답합니다...
만..!! 기회로 봐야하려나... 더 살돈도 없는데 ㅠㅠ

그래도 기다려보는수 밖에요!!! 채굴이나 더 해야죠!!! ㅋㅋㅋ

오늘도 좋은 분석글 감사드립니다!!!

테스트로 따봉드렸어요!! ^^

앗~ 감사합니다! ^^ 근데, 정말 볼수록 더 답답하면서, 아니 왜 이리로 이렇게 보내서 요렇게 밖에 성과를 못내는걸까 싶더라구요. 10분의 1만 햅뽀이님과 리얼맨님 제이콥님 등 드림팀이 받으셔도, 훨씬 잘하실것 같다는 생각이.. ㅎㅎ 푹 쉬시고 내일도 화이팅입니다!!! ^^

지금도 스팀가격이 낮아서 힘들어하는데 아직도 팔물량이 많다는게 큰일이네요.

한동안은 주기적으로 지속 매도할 듯 하네요. 스팀에만 기대기보다는 변화의 폭이 클 수있는 SCOT의 활동에 더 기대해봅니다.

Congratulations! I just stopped by to say that your post has been selected as a daily Featured Post of my personal curation project! You can find the daily Featured Post HERE.
I upvoted your contribution and I put it on the list because to my mind your post is what I call a quality content!
I am @miti, a manual curator that shall make available all his Steem Power to authors deserving of support. Let's make STEEM great again!
Have a nice day and keep up the good work!

Thank you~ Have a great day!

You're welcome... and you as well!

진짜 이런 조사들을 다 어떻게 하고 어떻게 정리하시는지ㅎㅎ
러블리연님과 남친분 두 분의 분석력과 정보력에 박수 천만번!! 'ㅡ' ㅎㅎㅎ
오늘도 두 주먹 부들부들 떨면서 재미있게 읽고갑니다!! ㅎㅎ

아~말씀감사합니다. 얼마나 파는지 너무 궁금해서 찾다가 그리되었네요~^^ 다음에는 좋은소식으로 말씀 나누게 되었음하는데...언제일지..T.T 힘찬 하루 보내세요!!

@gsr-io 계정에게 지급되었다는 프로그램 구입비 명목 532만 스팀(예상 20억원)

이건 아쉽게도 사실 관계를 잘 못 아신 글인 것 같습니다ㅠㅠ 이따 시간날때 따로 글 적어드리겠습니다.

물론, 다른 비용이 포함되었을 수 있는데, 굳이 이렇게 gsr-io 계정을 통해서 네드 옛계좌로 재송금하는 처리를 해야했을까 합니다~ 특히, gsr-io의 정체성과 비용집행의 성과는 여전히 의문입니다.

댓글 쓰고 나니 궁금해하실까봐 그냥 바로 적었습니다: gsr-io에 대한 오해 - 스팀에게 gsr-io는 programmatic 매도 대행업체입니다.

"물론, 다른 비용이 포함되었을 수 있는데"

라면 저렇게 확정적으로 적으면 안되지 않을까요?

본인께서도 그렇게 단정을 지으시니 더 이해가 안되셨던 겁니다. 그냥 매도대행을 해주는 곳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 곳인데 즉 해당 매도 자체에 성과가 있어야할 이유가 없는 것이죠.

그냥 늘 우리가 하곤 하는 아 스팀잇 또 파네 그냥 거기까지입니다^^ 일부는 IT비용으로도 나갈테고, 인건비 기타 운영비 비축분 등 알아서 할 일이죠. 프로그램에 20억이나 썼고 그래서 성과가 뭐나고 물을 부분은 아니라는 겁니다.

아네~ 블스님 말씀도 일리가 있습니다. 다만, 매도대행그이상그이하도 아닌곳이라는 생각역시 블스님 추정이시기에 뭐라 말씀드리기가...^^;;

또파네 그냥 그렇게 생각하고 말기에는 여전히 비용집행의 많은부분이 불투명/이차 송금 등 의뭉스럽게 이루어지는 부분이 많고,(지금까지 그냥 냅둬서 더 그렇게 간도크게 하는거라봅니다.)

따라서 그럼 프로그램 20억원 아니면 뭔데? 답변해보세요~ 그리고 언제까지 그럼 파시고 어디까지 가실건가요? 가 글의 요지였습니다.

십분의 일만 SCOT개발진들과 많은 분들에게 집행되면 다르지 않을까 생각도 드는군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미흡한 글에 말씀감사합니다~ 더열심히 노력하려구요~ 편안한 오후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