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일반인을 대상으로 Dapp에서의 Airdrop의 의미.

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일반인을 대상으로 Dapp에서의 Airdrop의 의미.

in airdrop •  6 years ago 

생각을 해보니 굳이 transfer를 쓸 이유가 없습니다. 새로운 contract action을 만들고, 그 action을 홍보할수가 있습니다.

오직 필요한 건 약간의 CPU staking과 Network staking입니다.

예를 들어 tooknotice 라는 action을 만들고, action의 parameter로 홍보 문구를 넣으면 됩니다. transfer가 아니니 굳이 256자로 제한할 필요도 없습니다.

각 국가의 문구를 담으면 되겠죠.

거기에 매우 안전해야 하는 transaction일 필요도 없으니 bulk transfer를 해도 됩니다. 즉 transaction이 제대로 완료되었는지를 안 보고 best effort로 하는거죠.

생각을 확장해 보면 항상 CPU에 일부를 stake해 놓고, 누구나 이용하는 홍보방법으로 사용하게 해 줄수 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약간의 사용료는 내야 하겠죠. 다량의 CPU staking을 해 놓는 것과 개발한 code에 대한 수고료? 정도라고하 할까요?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