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주변 아랍국에 재정착시키고 가자지구를 미국이 장악해 개발한다는 구상을 내놓자 적절성과 윤리성, 실현 가능성 등을 놓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파나마운하와 덴마크령 그린란드에 이어 가자지구까지 눈독을 들이면서 트럼프의 ‘영토 확장주의’에 대한 비판도 커질 전망이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한 뒤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지 않는 것이냐는 질문에 “두 국가든, 한 국가든, 어떤 다른 국가든 그것과 관련된 게 아니다”며 “이는 삶을 살 기회를 한 번도 가지지 못한 사람들에게 삶의 기회를 주고 싶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답했다. 영구 점령을 의미하는 것인지 묻는 말에는 “장기적인 (가자지구) 소유권을 확보하는 것이 중동지역 전체에 큰 안정감을 가져다줄 것”이라며 “가볍게 내린 결정이 아니다. 내가 이야기해본 모든 사람이 미국이 그 땅을 소유하고 개발해 수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주장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트럼프의 가자지구 개발 구상에 대해 “진정으로 추진할 가치가 있다. 역사를 바꿀 무엇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는 “대통령은 이 문제를 인도주의적 의무이자 경제 발전의 기회로 포장했지만 사실상 중동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정학적 판도라의 상자를 다시 열었다”고 지적했다. 폴리티코도 “트럼프는 가자지구 공격을 지휘한 지도자(네타냐후) 옆에서 부동산 개발업자처럼 말했다”며 “트럼프가 파나마운하나 그린란드의 지배권을 미국이 얻는 것에 대해 표명했던 것과 비슷한 야망이 반영돼 있지만 수세기 동안 혼란의 근원이 돼온 땅의 지배권을 장악한다는 것은 훨씬 더 폭발적인 문제”라고 꼬집었다.
트럼프는 전쟁 해결을 위해선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가자지구를 떠나는 것 외에 방법이 없다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가자지구는 사람들이 살기에 적합한 곳이 아니다. 그들이 어떻게 머무르고 싶어하는지 모르겠다. 그곳은 철거 현장일 뿐”이라면서 “우리가 적절한 땅을 찾고 그 지역에 많은 돈을 투자해서 정말 훌륭한 장소를 만들 수 있다면 그건 좋은 방법”이라며 “가자지구로 돌아가는 것보다 훨씬 낫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 요르단,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등 주변 아랍권 5개국은 이미 트럼프의 가자지구 주민 이주 구상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당사자인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제3국으로의 이주를 반길지도 의문이다.
하마스는 트럼프 회견 전 성명에서 “가자지구의 우리 주민들은 이런 (이주) 계획이 실현되는 걸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필요한 것은 점령과 침략의 종식이지 그들을 그들의 땅에서 추방하는 것이 아니다”고 밝혔다.
이정도면 이스라엘보다 더한 미국이 될것 같네요
뭘 주장하더라도 정도껏 해야지,
이런 막가파 주장을 분쟁해결이라고 하는 수준이면
바이든의 말실수가 그리워질 지경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