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일기] 12월 22일, 내 자산이 떡락한 날

in bitcoin •  7 years ago  (edited)

저는 12월 5일에 코인에 입문한 코린이 입니다.

그 후 2주 남짓한 시간에 굉장히 많은 것을 겪고 배웠습니다.

어제까지만 해도 수익을 올리고 있었기 때문에 자신만만하게 오늘도 즐거운 장투를 생각하며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저의 주 코인은 에이다(ADA)였는데 이게 휘청거리기 시작하는 것이었습니다. (1)

ADA, 12/22

최근 며칠 간 패닉셀에 대해 경험하고 버텨왔었기 때문에 '이 정도는 금방 회복하겠지' 라고 생각하고 무던하게 있었습니다.

그리고 생각대로 금세 회복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단시간에 계속 하락세를 타기 시작하자 불안해 졌습니다.

이제서야 비트코인을 확인해 봤습니다. 그리고 정신이 아득해졌죠...

'아 비트야 왜 나한테 이런 시련을 주느냐'

BTC, 12/22

그래도 일단 버텨보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유난히도 긴 하락세에 초조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가 2차 하락세가 오자 버티지 못하고 코인을 던져버리고야 말았습니다. (2)

어제에 비해서 많은 손해를 입었죠.

저는 그제서야 왜 이렇게 떨어졌을까 이유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그 이유로 추정되는 이야기들은 여러가지가 있었습니다.

  1. 미국에서의 세금 이야기
  2. 큰 손이 던졌다는 이야기
  3. 김프(김치 프리미엄)과 보따리상 이야기
  4. 기타

하나씩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1. 미국에서의 세금 이야기

아래의 기사에 따르면 암호화폐를 통해 수익을 얻을 경우 최대 37% 의 세금을 내야 하며, 1년 이상 보유했던 암호화폐로부터의 수익은 23.8%의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법령은 빠르게도,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는 내용입니다.

네, 충분히 악재입니다.

"Tax Cut Bill To Require Taxation Of Cryptocurrency Trades In US"

https://www.ethnews.com/tax-cut-bill-to-require-taxation-of-cryptocurrency-trades-in-us

Under current law, parties selling cryptocurrency that they acquired in exchange for other digital assets would owe CGTs at a rate of up to 37 percent. The maximum rate would drop to 23.8 percent for tokens they had been holding for at least a year.

2. 큰 손이 던졌다는 이야기

아마도 위의 법령으로 인해 나온 이야기겠지만, 곧 이런 기사가 떴습니다.

"비트코인 급락, 억만장자들 차익실현 나섰기 때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21&aid=0003114001

그래서인지 아래와 같은 근거없는 찌라시가 돌기 시작했습니다.

# 폭락이유~
어제 받은  미국 CCN (crypto coinNews) 가상화폐 뉴스 ᆞ 최고권위자 analyist 에 의하면  
1. 크리스마스전  미국과 중국 코인큰손들이  . 예를들면
라이트코인 창시자  홍콩의 찰리 리는  자기가진 라이트 코인 전체   670억달러에  매도3
그리고 미국 큰손몇몇은 30-50%  매도해서
 현금화하고  ᆞ그돈중일부는 새로운 비트코인 만드는데투자
가격 폭락시켜서
2. 폭락한 가격으로  25일부터
집중매수  한다
따라서 그들의 코인수는 그대로지키면서 차익 을 거둔다
3. 따라서  24일이 지나면
가격이다시  폭등한다
라는 시나리오인데  나도 무시했는데 다 맞아들어가네요
4.  우리의자세
자고나면  슬슬오르기 시작해서
며칠후는  폭등이 예상되니
지금이 왕창살때입니다
때라서 계속버티기÷ 더사기를 주장합니다~~

일단 저는 CCN에서 아래의 코멘트와 비슷한 기사를 찾지 못했습니다.

Litecoin의 Charllie Lee 에 대한 기사는 있긴 했습니다만...

"'Conflict of Interest': Litecoin Creator Charlie Lee Sells His Entire LTC Balance"

3. 김프(김치 프리미엄)과 보따리상 이야기

코인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한국의 과열 현상이 가져온 김프 현상 (국내 거래소에서의 코인 가격이 해외 거래소의 가격보다 비싼 현상)이 있습니다. 보통 20~30%, 오늘 리플(XRP)의 경우에는 40%가 넘어 50%에 육박했죠.

다시 말해서 해외에서 싸게 사와서 국내에서 팔면 20~30% 이득을 쉽게 얻을 수 있다는 것이죠.

최근 일주일 새 김프가 많이 올랐기 때문에 재정 거래를 하는 소위 보따리상이 물량을 풀었다는 해석이죠.

사실 이는 국내법 상으로는 환치기에 해당하는 불법 행위라고 합니다.

"환치기 등 비트코인 악용범죄 횡행...검찰, 현행법으로 일단 단속"

이것을 뒷받침 해줄만한 증거는 오늘 비트코인의 트랜잭션 수가 엄청 늘어났다는 겁니다.

"'비트코인 트랜잭션 지연' 발생, 미승인 및 출금 수수료 폭등"

http://m.fnnews.com/news/201712221634330318

이 트랜잭션들이 한국으로 오고있다고 확신할 수는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팔기 위해 개인지갑에서 거래소로 옮기고 있다는 증거로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가 초보라서 정확하지 않을 확률이 큽니다. 바로잡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 기타

기타 악재로 각 거래소 및 개인 기기의 해킹 문제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는 꾸준히 있어왔고, 앞으로도 있을 것이기 때문에 오늘 폭락의 악재로 보기에는 조금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이더델타도 해킹 공격 받아 (2017-12-22)

http://www.sedaily.com/NewsView/1OOYEXYL6X

빗썸, 해킹 의혹 해명... "개인 기기 감염 때문" (2017-12-22)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1067700&g_menu=022400&rrf=nv

경찰, '유빗' 거래소 해킹 사흘째 현장조사 (2017-12-22)

http://sbscnbc.sbs.co.kr/read.jsp?pmArticleId=10000886081

정리하자면, 악재는 충분했고... 이것들이 해소되기 위해 얼마만큼의 시간이 지나야 할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공격적인 투자는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렇게 된 이상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규제법령들이 '제대로' 만들어지길 바라봅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