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논문 번역 (2) : 거래

in bitcoin •  7 years ago  (edited)

2. 거래

우리는 전자화폐를 일련의 연결된 전자인증이라고 정의했습니다. 각 화폐 소지자(이후 송신인)는 이 전 거래에서 만들어진 해쉬와 수신인(돈을 받을 사람)의 공개된 키(지갑주소)를 건넬 돈의 뒤에 붙여서 전자인증을 함으로서 다른 사람과 거래하게 됩니다. 수신인(돈 받는 사람)은 송신인(돈 주는 사람)의 공개키(지갑주소)와 그 이전거래의 해쉬를 알 수 있으므로 이 둘을 통해 이 거래가 진짜 거래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의 문제점은 수신인이 이 전 거래들의 송신인들이 이중지불을 했는지를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런 이중지불에 대한 일반적인 해결책은 중앙신용기관이 있거나 조폐국(화폐주조소)이 모든 거래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각 거래 이후에 모든 돈은 조폐국으로 돌아가고, 조폐국은 새로운 돈을 만들어 냅니다. 조폐국에서 직접 만들어진 화폐만이 이중지불되지 않았다고 믿을 수 있는 것이죠. 이런 해결책의 문제점은 이렇게 만들어진 화폐 시스템의 운명이 모든 거래를 확인하는 조폐국에게 달려있다는 것입니다. 마치 은행처럼 말이죠.

우리는 수신인이 이전 거래의 송신인들이 이전 거래들에 대해 승인을 했는지를 확인하게 해줄 방법이 필요합니다. 그렇게만 된다면 가장 최근의 거래만 중요해져서 다른 이중지불 시도는 신경쓸 필요가 없어집니다. 연속되는 이 거래들 중에서 비어있는 거래(이중 지불)를 찾는 방법은 모든 거래를 아는 것입니다. 조폐국이 있는 화폐시스템에서는 조폐국이 모든 걸 알아야하고 이중으로 거래된 거래기록 중 어떤 거래가 먼저인지 결정해야합니다. 이런 것을 신용기관 없이 가능하게 하려면 거래가 공공적으로 알려져야하고, 모든 거래 기록이 하나의 과정(라인)으로만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해줄 참여자들(비트코인 서버들)이 필요합니다.

본 논문 번역은 원 논문의 의도를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 의역이 다분히 포함되어 있습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Congratulations @monfac!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1 year!

Click here to view your Board

Support SteemitBoard's project! Vote for its witness and get one more award!

Congratulations @monfac!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2 years!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