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은 4차산업혁명을 이끌 핵심 축 중에 하나이다.
지금 시장에서 블록체인의 본질은 보지 못하고 암호화폐 가격을 보고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으니 답답할 따름이다.
튤립버블과 비교를 하는 JP모건의 다이먼은 정말 스튜핏!! 이다.
이런 것들을 알고 있기에 글로벌 기업들은 앞다투어 블록체인 기술을 연마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정부도 동참하여 이러한 기술들을 받아드리려고 노력하는 모습이다.
그런데 정말 정부는 블록체인에 관심이 있을까? 난...솔직히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물론 블록체인 기술에 따른 경제 성장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건 기업들이 잘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블록체인 기술을 빨리 습득해야지 하는 압박 보다는 암호화폐때문에 발생하는 자본이탈, 자금 추적이 불가피하다는 것에 더욱 스트레스를 받는다. 블록체인 만큼은 정부 입장에서 성장의 영역 보다는 통제를 먼저 해야 하는 존재인 것이다.
정부의 암호화폐 통제가 그럼 잘못 되었는가? 난 어쩔수 없다고 본다. Decentralized world를 꿈꾸는 블록체인 기술, 그리고 암호화폐의 정신이지만, 정작 사람들은 Decentralized 된 국가에서는 혼돈을 느낀다. 중앙집권적인 세력에 거부감을 느끼지만 중앙정부가 없으면 불안함을 더 느낀다. 무정부주의에 살고 있다고 생각해보라. 세상은 카오스에 빠질 것이다.
중앙정부는 블록체인 기술, 암호화폐가 거스를 수 없는 메가 트렌드 인것을 알고 있다. 다만, 너무 빨리 변하기 때문에 통제를 하려고 해도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못하는 것이다. 그래서 내린 첫번째 결론이 무작정 규제다. 중국의 무작정 규제. 이건 시장에서 충격으로 다가왔지만 그만큼 급했다는 것이다. 공산당 회의, 시진핑의 2기 집권기, 시진핑의 장기 집권을 위해 안정화를 위한 시기인 것은 맞지만, 너무 말도 안되게 규제를 했다. 그 이유는 몰랐기 때문이다.
100% 확신하지만 중국은 차차 규제를 풀어나갈 것이다. 합리적으로. 중국은 위안화 국제화를 위해 엄청나게 노력을 하고 있다. 전세계의 기축통화를 꿈꾸는 위안화는 달러, 유로, 엔화가 있기에 쉽지 않다. 이런 야망을 가진 중국은 분명 점점 커져가는 암호화폐시장에서 역할을 하려고 할 것이다. CNYT는 분명 나올 것이다. 중국 정부가 이름을 안걸더라도 회사 어디를 앞세워서 CNYT를 만들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 전세계는 다시 한번 화폐전쟁이 될 듯 하다.
각 국 정부는 결국 각국 통화의 테더화를 통해 자금을 통제하려 들 것이다. 그럼 시장은 통제 될 것인가? 효과적으로 통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안하는 것보다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테더화를 만들면서 테더를 사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유인책을 내놓을 것이다. CNYT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암호화폐를 통해 다른 화폐를 사면 불법이라든지, 벌금이라던지 등.
중앙은행은 블록체인을 경제 성장의 축으로 보지 않는다. 통제의 수단으로 바라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