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tledot
목적
- 기존에 Notion 을 사용하면서 필요한 내용을 Memo하는 용도로 사용해왔었다. (Evernote 같은 용도로)
- 웹에서 동작하는 notion을 메모용도 뿐 아니라 메모 내용을 공유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지만...
- 노션 정리 페이지 : Notion_gentledot
- 공개 설정을 통해 public으로 설정할 수 있음 (누구나 접속 가능) 이라 되어 있는데 내 경우에는 공개 링크를 복사하여 접근하면 로그인을 요청하는 페이지가 나타난다. (Notion 계정으로 접속한 이력이 있는 경우 로그인을 요청하는 듯 하다.)
- 일반적인 블로그와 같이 댓글을 달 수 있는 기능이 없어 내가 생산한 내용이 잘못된 내용인 경우 피드백을 받을 수 없는게 문제라고 생각했다.
- notion에 입력된 내용은 markdown이나 html로 export가 가능하지만 기껏 입력한 내용을 내보내고 다시 정리하고 새로운 블로그에 입력하는 것은 매우 난감한 일이란 생각이 들었다.
- 대안으로 notion page를 blog로 쓸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하고 싶다! 여건이 된다면 시간을 천천히 들여서 나만의 블로그를 만들어보고자 한다. (Notion 페이지를 Blog로 사용하기)
결론
- 기존에 개발과 관련된 정보, 내용은 notion에 계속 기록
- 개발자로 경험한 내용, 머리를 싸매도 도저히 답을 모르겠다 생각되는 내용, 실패한 경험, 결과는 성공이지만 피드백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 등을 정리할 블로그가 필요하다.
- notion blog의 공사가 끝나기 전까지 일단 여기에 정착! (markdown으로 작성한 내용이 복붙되니까!)
첫 글이시군요. 반갑습니다.
이 글을 한번 살펴보시면 스팀잇에 적응하는데 도움이 되실겁니다.
#kr 태그를 달지 않으시면 한국어 사용자에게 글이 잘 노출되지 않습니다.
#hive-196917 태그를 제일 앞에 달면 한국어 사용자 커뮤니티에 글이 노출됩니다.
스팀잇에 익숙해지실 때까지 #kr-newbie 태그를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개발 관련 글은 #kr-dev 태그를 주로 쓰는 것 같습니다.
#kr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태그 목록은 @myfan 님의 태그 정리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유용한 정보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링크해주신 내용을 읽어보면서 이곳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가볼께요. :)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