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 관한 이야기 -정보, 저장, 생산으로서의 인쇄, 언어와 문자, 문자성, 글쓰기와 글읽기 : 열 번째 글

in bookstory •  7 years ago 

먼저 맛보기 글은 다음과 같이...

①<초기 고대 그리스 문장, 짝수 줄의 알파벳은 물구나무를 섰다>
②<12C까지 유럽은 묵독(默讀)하면 이상하게 쳐다봤다. 우리는?>
③<알파벳문자만이 문명문자라고 한 자 둘. 루소와 맥루한. 이런..>
④<한글은 문자. 찌아찌아어는 언어. 같이 가보려 했는데>
⑤<글로는 말을 다 전하지 못하고, 말로는 뜻을 다 전하지 못한다>
⑥<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발명은 왜? 면죄부 대량 판매로 돈벌려고>
⑦<중국에서 유럽 전래. 종이, 화약, 나침반. 금속활자는 빼야>
⑧<한자, 표의문자는 옛 인쇄술 발전에는 불리. 독특한 에크리튀르>
⑨<먹, 벼루, 붓과는 달리 종이는 기원 후에 발명되었다. 음...>
⑩<양피지는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 수출 금지땜에 탄생했다>
⑪<진시황은 분서갱유 당시 종이책을 불태우지 않았다>

1.∼8.

  1. 글쓰기와 글읽기

가) 흥미있는 서두 열기

이제는 뭘 쓰나? 이 글이 열번째 연작 글인데...
2016.10.1일 제가 올린 <시월이군요..시(詩)의 달이 되면 얼마나 좋을까요....

a) 뜬금없는 시에 관한 작은 얘기

시인,
글에 숨을 불어넣고
글로 음을 연주한다

시는 글로 공감각을 가져옵니다.
특이한 방법으로 공감각을 만는는 시인들이 있습니다.
구체시(구상시, concrete poem)
-일종의 시로 만든 조형물입니다.
-예로서 스테판 말라르메(Stéphane Mallarmé)의 《주사위 던지기 Un Coup de des》와
-기욤 아폴리네르(Giullaume Appollinaire)의 《칼리그람 Calligrammes》(1918) 등
-특히 기욤 아폴리네르는 《비가 내리네 Il pleut》라는 시를 구성하고 있는 글자들이 빗방울처럼 그 페이지로 조금씩 흘러내립니다.

그런데 한시(漢詩)에도 비슷한게 있지요. 보탑시(寶塔詩). 층시(層詩)는 옳은 말이 아니라고 는 하지만....

당근 한글시에도 가능하다는 것이지요.

b) 맨 윗글에 관한 작은 얘기

왜 시 이야기를 할까요?

① 아래의 시귀에 나오는 가시는 어디에 생길까?

입에, 말에, 글에, 마음에, 정신에, 혼에, 가슴에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
-일일부독서 구중생형극(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
-추구(推句)에 나오는 글귀를 안중근 의사가 인용

추구(推句)는 오언(五言)으로 된 시 중에서 좋은 대구(對句)들을 뽑아 만들었기 때문에, 그리고 초학(初學)들이 『천자문』,『사자소학』과 함께 가장 먼저 익힌다고 하여 『추구』라고 부른다. 저자는 미상이고 편찬연대는 조선후기인 듯하며 많은 필사본이 있다.

2016.9.27 화요일 제가 페북에 올린 글이다.
<12C까지 유럽은 묵독(默讀)하면 이상하게 쳐다봤다. 우리는?>
이를 아래에 해설해 본다.

② 한번 생각해 볼 만한 것 - 성독(聲讀)과 묵독(默讀)

추구에서 인용된 안중근님의 글에서 왜 책을 읽지 않으면 ‘입’에서 가시가 생긴다고 했을까요?
왜 하필 입이냐고요.
입, 말, 글, 마음, 정신, 혼, 가슴...도 있는데...

추구가 조선 후기에 편찬되었다고 한다면 조선 후기가지 우리나라도 묵독(黙讀)보다는 성독(聲讀)이 일반적이었다는 것이 아닐까요?

소리내어 읽기.

바로 입은 성독(聲讀)을 말하는거지요.
<소리내어 책을 읽다>
지금도 한문 고전 성독 대회가 열리듯이...

패러디합니다. -일일부독서 구중생형극(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
이렇게....
<가을에는 하루라도 시(詩)를 읊지 않으면 마음에 가시가 돋는다>
-추일부영시 심중생형극(秋日不咏詩 心中生荊棘)

c) 글은 말을 떠날 수 없고, 말은 뜻을 떠날 수 없다.

원전은 다음과 같다.
<글로는 말을 다 전하지 못하고 말로는 뜻을 다 전하지 못한다>
이 글은 2016.9.24일 내가 페북에 올린 글이다.
書不盡言, 言不盡意. 《주역》 계사전에 나오는 글이라고 이미 애기했다.
세세한 설명은 페이스북 <황야설수야설(黃也說竪也說)의 작은 인문(人文) 카페(58)>(2016.9.24)에서 자세히 설명했다.

직전 글들에서 언어와 문자에 대해 이것저것을 다뤘다.

첨언하면
말의 시간성, 글은 반시간성
말은 시간따라 가야하네.
글은 시간을 붙들어 맬 수 있네. 허니 책은 시간을 담아둘 수 있네.
언어는 우주이나, 문자는 지구이다.
언어는 청각 세계이나, 문자는 시각이다.

그런데, 직전 글에서는 두 가지 주제를 다뤘다.

① 문자가 있느냐 없느냐? 그게 뭣이 중한디?
② 문자가 ‘알파벳’이냐 아니냐가 후진성과 선진성의 기준일까?
거기에서 글쓰기와 글읽기도 다룰 것이라고 약속했다.

d) 글쓰기와 글읽기 - 어느 것이 먼저인가?

아니 그보다 먼저 이 둘은 문자를 전제로 하는가 아닌가?
도대체 쓰기와 읽기가 문자에 선행할 수 있는가?
말도 안되는 질문이지만 선행할 수 있다. 암튼...

쓰기는
ⓐ 글 자체를 쓰기가 있고
ⓑ 뜻을 쓰기가 있다.

읽기는
ⓐ 글 자체를 읽기가 있고
ⓑ 뜻을 읽기가 있다.

구분되시는가? 엄연히 다르다.
그러니 후자의 경우(ⓑ)는 뜻보다 언어가 선행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또한 두 가지로 나눠진다. 계속 나눠지는 구먼...
① 우선, 형이상학적이다. 철학적이라는 말이다.
이는 뜻>언어>문자의 선후행 관계를 다르게 보는 사유와 연결되어 있다.
현대 철학의 새로운 흐름과 관련이 있다.
② 첨언하여, 이렇게도 얘기할 수 있다. 인문학적이다 이것은.
<글자를 읽고 쓴다는 행위(literacy)는 단순히 문장을 읽고 쓰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쓰고 읽는’ 행위이다>

그래서 나는 이 둘(①과 ②)을 아직 다룰 능력이 없으니 앞의 것(ⓐ), 즉 ‘글 자체’만을 다룬다.
그래도 ①에 관해서는 조금은 페북에 <황야설수야설(黃也說竪也說)의 작은 인문(人文) 카페(59)> (2016.9.25)에 적어놓았다.

오늘 다루고자 하는 쓰기와 읽기는 문자에 선행하지 않는 바로 ‘글 자체’에 관한 글이다.
그러니 당연히 <쓰기>가 먼저, <읽기>가 나중이다.

그래서 페이스북에 이렇게 올렸다.
<초기 고대 그리스 문장, 짝수 줄의 알파벳은 물구나무를 섰다>(2016.9.27)
<12C까지 유럽은 묵독(默讀)하면 이상하게 쳐다봤다. 우리는?>(2016.9.27)

앞은 글쓰기, 뒤는 글읽기.

<글쓰기>에 대하여 먼저 다룬다.

그런데 오해하지 마실 것.
⒜ 글 <잘> 쓰는 법에 관한 글이 아니다.
언어(말)을 어떻게 표기하는가에 관한 글이다.
⒝ 그렇다고 문자학 일반에 관한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쓰는 법에 관한 글이다.

물구나무 쓰기법이나 소몰이 쓰기법(부스트로피돈, boustrophedon)이나 우횡서나 좌횡서나 우종서나 좌종서 등에 관한 얘기이다.

.........continued

목차

  1. 정보의 저장고
    가) DNA
    나) 대뇌피질
    다) 문자, 책, 도서관
  2. 뭘 더 알아볼 것인가? (이번 글)
  3. 정보의 저장 방법 - 소리 전달 이후의 글쓰기
    가) 어디에다 글을 썼을까?
    나) 책(冊, book)이란 낱말은 어디서?
    다) 책의 형태는?
  4. 정보의 대량 생산
    가) 인쇄 기술의 발전과 배경
    나) 종이와 인쇄술
  5. 인쇄가 역사적 의미를 가지려면 - 대량생산과 보급
  6. 무엇을 쓰고, 인쇄하나 - 언어와 문자의 구분
  7. 정리된 ‘언어’와 ‘문자’의 구분 기준과 ‘언어’의 외연
  8. 문자성과 문자의 우월성이란 실체인가 허상인가?
  9. 글쓰기와 글읽기
    .가) 흥미있는 서두 열기 (이번 글)
    나) 먼저, 글쓰기
    a) 서론
    b) 고대 그리스 글쓰기 시작 - 문자의 도입
    c) 고대 그리스 알파벳의 글쓰기 - ‘물구나무 쓰기’부터
    d) 고대 그리스 알파벳의 글쓰기 - 소몰이 쓰기법
    e) 로마자(라틴 문자)의 시작
    f) 로마자(라틴 문자)의 변화 - 소문자 등의 등장
    g) 로마자(라틴 문자)의 변화 - 오늘날의 글쓰기 시작
    h) 한자문화권의 우종서와 좌횡서
    다) 이어서 글읽기
    a) 글읽기와 관련된 몇 가지 개념
    b) 글읽기와 관련된 몇 가지 관점
    c) 성독과 묵독에 관한 맛보기 글
    d) 글읽기의 대상 – 문자의 종류
    e) 글읽기 – 성독
    f) 한자문화권의 글읽기
    g) 여담 몇 가지

image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