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커>2022

in broker •  2 years ago  (edited)

고레에다의 영화는 인기가 항상 많다. 하지만 <브로커>의 경우 그는 자신의 스타일을 고집하는 대신 한국 영화 배우, 스텝들에게 많은 부분을 양보하거나 기대고 있다.
이 영화에서 드러나는 주제 의식은 브로커라는 제목에서 이미 암시되듯이 매개자라는 존재의 중요성이다.
브로커라는 일종의 직업은 주식, 부동산 등 화폐경제가 급발전하는 시기에 한층 중요해졌다. 감독은 스스로 한국과 일본을 중개하는 브로커로서 자신의 역할을 자초하고 있다.
영화는 고레에다 영화가 대부분 그러하듯이 타자에 대한 이해를 촉구한다. 분명 흥미로운 영화지만 웬지 동일시가 잘 안되는 이야기같았다. 오늘날의 사회는 영화 속의 현실처럼 착잡하고 복잡하기만 한 사회인 것일까.
그럼에도 이 영화는 후기 자본주의 체제의 물화와 모순적 구조에 대해 지금 사유해야할 점들을 여러 면에서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