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래곤9] 밤늦게 신문 3줄 읽기, 2018년 5월 19일

in busy •  7 years ago 

안녕하세요. 마음편하게 부자되고 싶은 @sdaragon9 “다래곤9”입니다.

밤늦게 신문 3줄 읽기 시간입니다.

늦은 시간은 아니지만 어제 못 찾아 봬서 좀 이른 시간에 왔습니다. ^ㅡ^

IT투톱(삼성전자, 네이버), 배당 늘리느라 R&D 투자 줄였다

삼성전자와 네이버의 매출 대비 연구개발(R&D) 비중은 1년 새 나란히 0.4%p씩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거래소와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네이버 주가는 올 들어 17일까지 각각 3.2%, 21.2% 떨어졌다. 같은 기간 코스피(-1.3%)보다 하락폭이 크다.
글로벌D램 반도체 점유율 1위인 삼성전자는 분기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한 지난 1분기를 포함해 올해 영업이익이 64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작년보다(53조6450억원)보다 19.4%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검색과 온라인쇼팽의 '절대강자' 네이버 역시 같은 기난 영업이익이 10.8%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2년 새 배당이 2배(2015년, 3조687억원 > 2017년, 5조8263억원) 가까이 급증했으며, 네이버도 2년 새 32.3%(2015년, 321억원 > 2017년, 425억원) 증가했다.
이 같은 배당 확대는 실적 상승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외국인 지분율 때문이란 분석도 있다. 일단 배당을 늘려 사실상 '주인'노릇을 하고 있는 외국인 투자자들 불만을 잠재우겠다는 포석이다. 삼성전자와 네이버의 외국인 지분율은 각각 52.7%, 59.5%에 달한다.

삼성전자와 네이버의 외국인 지분율이 매우 놀랍습니다. 누가 뭐래도 우리나라 최고의 대기업과 최고의 포털사이트인데 50%가 넘은 지분이 외국인이 차지하고 있으니깐요.

바이오젠 "콜옵션" 삼바 주장 힘 받나

미국 다국적 제약회사인 바이오젠이 삼성바이오에피스에 대해 주식매수선택권(콜옵션)을 행사한다고 못을 박았다. 이로써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금융감독원이 벌이고 있는 분식회계 논란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것이란 전망이다.
'바이오젠 콜옵션 여부'는 삼바와 금감원이 벌이고 있는 분식회계 논란에서 쟁점 사항이다. 금감원은 당시 바이오젠 측 콜옵션 행사 의사가 약한 상황에서 삼바가 기업공개(IPO)를 준비하면서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 가치를 의도적으로 높였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삼바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바이오시밀러를 출시하면서 기업 가치가 올라감에 따라 바이오젠이 콜옵션을 행사할 가능성이 커졌고, 지배력 상실을 우려해 관계사로 전환했다"며 "이는 다수 회계자문사가 국제회계기준에 맞춰 권고한 것에 따른 것"이라고 맞섰다.
삼바는 18일 공시를 통해 "전날 바이오젠 측에서 콜옵션을 행사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서신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거 잘하면 금감원이 I'm sorry 할 수도 있겠네요. 삼바측 사실대로라면 다시 주가는 60만원 대를 회복할 수 있으려나요.

니켈값 상승에 전지주 울상, 황금에스티 주가만 '반짝반짝'

니켈가격 급등으로 원료 부담이 생긴 전기차 배터리 업체와 스테인리스강 생산 기업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전기차 배터리 관련 종목은 비용 부담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운 반면 스테인리스 제품을 생산하는 황금에스티는 제품 가격 인상으로 연결시켜 수익성이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황금에스티가 취급하는 스테인리스강은 니켈 함유량이 4~8% 정도 되는데 니켈이 스테인리스강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0%정도다. 스테인리스강은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니켈과 같은 원료 가격도 상승하며 몸값이 뛰고 있다.

제가 지금 보유하고 있는 종목이 뉴스에 나오고 있어서 넣어봤습니다. 왜 오르나 했는데 이런 이유가 ㅎㅎㅎ 보유비중은 적지만 신문에서 보니깐 설레네요. ^^

오늘은 영국 해리왕자와 미국배우 메건의 세기의 결혼식이 있는 날이었습니다.
유투브로 봤는데 어마어마 하네요. ^^;;

이상 오늘의 뉴스였습니다.

마음 편하게 부자되는 그 날까지 화이팅입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배당을 늘리려고 알앤디를 줄이기도 하는군요 ㄷ ㄷ

어차피 돈 나올 구멍은 정해져있으니깐요. ^^;;

주식에 관심이 많으신가봐요 ^^
R&D는 투자대비 재미를 못 보니 줄이나봅니다 ㅠ

관심이야 많지만. 재미는 못 보고 있습니다. ㅎㅎR&D는 확실히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같은 기분입니다. 하지만 또 안할 수도 없는 분야라 생각됩니다. 새로운 먹거리를 찾지 못하면 회사는 망하겠죠. ^^;;

좋은 정보 잘보고 갑니다 :)
저도 참고할 정보들이 많이 있네요 ㅎㅎ

칭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ㅡ^

짱짱맨 호출에 출동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