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는 중앙거래, 블록체인이 아니다
맞습니다. 거래소는 거래소 서버에서 관리하죠. 블록체인이 아니에요.
그런데 그럼 거래소가 분산원장이 아니니까 이건 모순이고 사기다?
여기서 많은 분들이 오해가 시작됩니다.
기본적으로 블록체인 시스템들에는 화폐 거래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블록체인 시스템마다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어요. 비트코인은 화폐 거래 기능만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클라우드 서버 기능을 해요. 계속 말하지만 가상화폐는 이 블록체인 시스템을 운영하는데에 도움을 주는 사람들에게 지급하는 월급같은 거에요. 이걸 현재 거래되는 화폐로 바꾸려니 거래소가 필요한거죠. 그래서 거래소와 블록체인은 기술에서 연결되는게 아니에요. 경제시스템 상으로 얽히는 거지. 그런데 거래소를 폐쇄한다? 그럼 블록체인 시스템 운영으로 받은 월급을 현지 통화로 바꿀 수 없으니까 결과적으로 블록체인 시스템은 운영이 힘들어집니다. 그럼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하는 회사는 여기서 사업하기가 힘들죠.
더욱 문제는 거래소가 해킹으로 뚫렸을 때, 가상화폐의 보안을 문제삼는 다는 겁니다.
저도 거래소의 보안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수많은 사람들의 수많은 돈을 가지고 있는 회사가 그 관리를 소홀히 한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죠. 하지만 그 거래소가 해킹되었다고 해서 가상화폐의 보안을 문제삼는 다는 건, 도둑이 금고를 통째로 들고 갔다고 금고의 암호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거래소는 왜 그럼 블록체인으로 안만드는거냐?
속도가 가장 문제입니다. 지금 비트코인으로 거래시에는 수수료를 많이 낼수록 빨리 거래가 되는데 보내는 쪽에서는 보냈다고 해도 받는 쪽에서 확실히 받았다고 하기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건 비트코인 거래상의 특징인데요 요새는 그런일이 자주 있지는 않습니다만 옛날에 시스템의 초기에는 이쪽에서 분명 보냈다는 거래 기록을 올려서 채굴자들에게 이 보냈다는 거래를 인증해주길 요청해도 수수료가 적거나 금액이 적거나하면 인증을 안해주거나 다른 기록들에 밀려서 거래가 취소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더이상 취소 확률이 없다고 여겨지는 상태를 6confirm이라고 합니다. 제가 올린 거래 기록이 채굴된 이후에도 6번의 거래블록(거래기록들을 모아서 거래 블록으로 만들어집니다.)이 채굴되었다는 뜻이죠. 거래소는 돈을 직접 빠르게 다루는 곳인 만큼 블록체인으로 인증을 하면서 거래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거래소에서의 거래는 몇초, 아니 몇분의1초만에도 큰 돈이 움직이는 곳이죠. 주식 거래소에서도 주식증서를 들고가서 구매자에게 보여주고 확인받지 않는 것처럼 거래소의 거래에도 블록체인 거래는 너무 과도한 인증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도 금KRX라는 곳이 있습니다. 금거래소인데 금을 직접 사지 않고 거래할 수 있어요.(나중에 실물로 받을 수도 있지만 그럼 양도세를 내야합니다. 그냥 거래시에는 양도세를 안내요.) 금을 직접 주고 받으며서 거래하기에는 문제점도 크고 느려서 만들어진거라고 하는데 가상화폐 거래소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금도 있고 구리도 있고 아연도 있고 어디서 듣도보도못한 것도 있고 그런거죠.
그래서 저는 거래소의 보안과 상장하는 코인에 대해 거래소에서 책임을 지는 시스템은 꼭 필요한 규제라고 생각합니다만 거래 자체를 제한하는 건 그 이유에 대해 거꾸로 물어보고 싶습니다. 거래 자체를 줄이면 사기 거래가 줄어드나요?
대박사건!!
거래소에 블록체인 기술적용은
너무 느려져 힘들겠죠?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물론 가능은 하죠. 하지만 암호화를 많이 하면 할수록 느려지는 대신 보안이 좋아지는거라서.. 거래소에는 좀 애매한 것 같습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