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 대한 사담 - 정재승교수는 틀리지 않았다.

in cryptocurrency •  7 years ago 

이낙연 총리는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을 분리해서 볼 것이라며 지금의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말을 하였다.
하지만 정말 분리가 가능할까.
우선 4차 산업혁명에 핵심 기술로 불려지는 ‘블록체인’이라는 건 정확히 알아야 하지 않을까.
블록체인은 전에도 말했듯이, 사토시 나카모토-개인인지 단체인지 불분명-라는 익명의 개발자가 만들어낸 세계 최초의 암호화폐’비트코인’을 통해 세상에 모습을 보였다.
이 암호화폐는 중앙은행이 존재하지 않으며 일정한 주기로 블록(block)을 찾아내어 보상을 받아가는 형태로서 이 ‘보상’이 암호화폐가 되는 것이다. 블록은 해시 함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컴퓨터 연산을 통해 수를 일일이 대입하는 하여 해시값을 찾았을때 그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찾은 블록은 그 블록을 찾기 이전의 모든 블록에 기록되고 ,이것은 블록체인의 탈중앙화를 이끄는 p2p 방식으로서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것이다. 즉, 비트코인은 중앙서버가 없이 모든 사용자가 모든 거래 기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변조의 위험성이 거의 제로에 가까워 진다.
블록의 연산을 푸는 과정은 채굴(mining)이라고 하는데 블록에 기록하는 과정에서 비트코인 네트워크(장부)에는 이미 존재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에 새로운 트랜잭션을 기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새로운 트랜잭션과 기입하고 검증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모든 트랜잭션을 같이 하기 때문에 이것을 처리하는데에는 엄청난 양의 연산 능력이 필요하다.
여기서 부터 블록체인을 사용하는데 있어 암호화폐가 왜 필요한지에 대한 의문을 지울 수 있는 이야기가 나온다.
과연 누가 트랙잭션을 입력해 주는가. 이 엄청난 연산의 과정을 누가 책임지는가.
바로 채굴자들이 하는 것이다. 정확히는 엄청난 성능의 컴퓨터를 통하여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들이 그 전기세와 장비값 등을 공짜로 하겠는가. 아니다.
신규 트랜잭션을 성공적으로 해낸 제공자들은 그에 상응하는 대가(fee)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대사는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확인하는 과정에 기여하였기 때문은 받는 것은 물론이고 이 탈중앙화 시스템의 유지에 대한 보상이라는 뜻도 있다.
보상금에 상응하는 대가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비트코인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고 이러한 채굴을 통해 통화발행의 기능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블록체인의 노드(통신망)은 바로 이렇게 이루어 지는 것이다.
물론 모든 가상화폐가 이러한 POW(Proof-of-Work, 작업 증명)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다. Peercoin을 통해 처음 나온 POS(Proof-of-Stake,지분 증명)과 같이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의 양에 따라 발행되는 암호화폐의 일정량을 가져가는 것도 있고, NEM(뉴이코 무브먼트)를 통해 처음 나온 POI(proof-of-Importance)처럼 거래를 할수록 거래속도와 보상을 많이 가져갈 수 있는 형식도 있다. 이외에도 몇개의 노드를 유지하고 암호화폐를 발행하기위한 방식이 더 있다.
그 중 가장 화두가 되는 거래 증명 시스템은 리플의 컨센서스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이다. 뉴스를 통해 은행권이 리플을 쓰네 마네 하는 것은 암호화폐에 관심이 있다면 들어봤을 것이다. 사실 그것은 ‘리플 네트워크’를 쓰고 싶다는 것이지 정확히는 리플(XRP)를 쓰는 것은 아니다.
리플은 기본적으로 비트코인과 나머지 코인들로 대두되는 퍼블릭 블록체인에 반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다. 리플의 블록체인 시스템은 노드를 운영하는 것 자체가 다르며 채굴은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미 모든 리플이 발행되었다.
노드에 참여할 수 있는 조건은 리플 네트워크에서 검증받은 사람(혹은 기업)이다. 하지만 반대로 결국 리플사의 중앙집중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암호화폐와는 큰 차이를 가지는 것이다. 현재 진행되는 은행과 리플네트워크의 협업은 여기서 큰 문제를 가지는 것이고, 은행 입장에서는 현재의 해외 송금 시스템(SWIFT)를 대체하기 위해,리플사라는 중앙집권 사기업이 가지는 이 네트워크에 리스크를 가지고 들어가야하는데 이 과정이 현재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리플사도 결국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드에 참여하는 사람(혹은 기업)을 외부의 신뢰성있는 기관들로 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리플은 사기업이라는 것이다. 이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리플이라는 것을 굳이 써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도권의 은행들이 리플 네트워크라는 중앙화된 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분리해서 바라보는 시각은 가능하지만 암호화폐에 대한 전체적인 폄하는 너무나도 불합리적이라는 말을 하고 싶다.
현재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POW형식으로 발행되고 있는 와중에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을 분리해서 본다는 것도 사실 어불성설같지만 비트코인이 모든 암호화폐가 아니기에 국가의 입장에서는 그럴 수 있다. 하지만 국가가 모든 노드를 책임지지 않는다면 이것을 떨어뜨려서 보겠다 관점은 위험하지 않을까.
공짜로 노드를 운영해줄 채굴자는 세상에 단 한명도 없을 것이다. 그것을 바라는 것이라면 할 말이 더 이상 없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Congratulations @nohsu!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1 year!

Click here to view your Board

Support SteemitBoard's project! Vote for its witness and get one more award!

Congratulations @nohsu!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2 years!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