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 EOSIX, 벧엘님)
들어가며
약 1주 전에 발행한 version 0.1을 revise하려고 합니다. 이번엔 version 0.2입니다.
역시 그동안 의견 주신 것들에 대한 수렴과, 그동안의 고민, 그리고 로고의 contribution을 받았습니다.
[드위터(Dwitter) Dapp Version 0.1]
전에는 어디에 쓸지가 참 고민이었는데요, 이제는 좀 더 명확해 졌습니다.
- Worker proposal
- 해커톤(홍콩은 지나갔고, 다음 해커톤을 노립니다.)
Codename : 머큐리
이전 대비 변경된 부분은 italic체로 표시하였습니다. 주로 그 부분을 위주로 읽어주세요. UI에 대한 부분은 예전 글에 남겼고, 이번 글에서는 주로 글로 표현되어야 하는 것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Context
기존에 우리가 twitter는 참 많이 썼었는데요..사실 요즘은 시들해졌고..
트럼프 아저씨 때문에 다시 유명세를 타는 분위기 입니다.
그런데..트위터에 쓰는 글로 누가 이득을 얻을까요? 물론 우리도 소통의 이득을 얻기는 합니다.
하지만 그보다 정말 경제적인 이득은 트위터가 가져가고 있습니다.
잠시 볼까요?
33.52 USD +0.095 (0.28%)
헐 입니다. 무려 3만 4천원정도 되는 가격입니다. 다 우리가 만들어 준거죠.
그 밖에도 트위터의 치명적인 단점은 FUD의 온상이 될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그 글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이죠.
그래서 제가 제안하는 것은 decentralized twitter입니다. 이름하여 "드위터" 입니다.
기존에도 twitter를 탈피하여 탈 중앙화를 하자는 twitter의 대안 플랫폼들이 있었습니다.
그들과의 가장 큰 차이는 마치 신 중심의 세계에서 인간 중심의 세계를 르네상스를 통해서 이룩한 것 처럼, 중앙의 플랫폼을 장악한 사람이 돈을 버는 구조에서,
실제 contents를 만드는 사람들이 돈을 버는 탈 중앙화화에 있습니다.
Problem statement
기존의 twitter에 글을 씀으로써 발생하는 수익의 대부분은 플랫폼을 제공하는 twitter가 가지고 갑니다.
글, 이모티콘, 인디음악등의 창작자들이 수입이, 창작을 하기에 충분한 환경이 주어지지 않음.
또한, 기존의 플랫폼은 온라인으로 소비되고 끝나버리는 한계성을 가짐.
블록체인에 남겨진다고 할지라고, 그 내용을 다시 찾아서 소비하지는 않음.
마치 예전에 인화해서 보던 사진과, 클라우드에 저장된 사진과의 관계와 비슷함.
Solution
이 2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플랫폼의 대부분의 수익을 플랫폼 제공자가 아니가, 플랫폼 사용자에게 되돌려 주는 시스템을 제안함. 또한 플랫폼에 창작자들이 충분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함.
또한 기록으로 영구보존되기 어렵다는 점에 착안하여, 특정 주제의 글들 혹은 태그에 대해서 하나의 책으로 출판하는 시스템과 연동함. Markdown형식의 글을 예쁘게 포멧팅하여 하나의 책으로 만들어줌
플랫폼
EOS 메인넷 : 선정의 사유는 EOS에서는 송금 수수료가 들지 않기 때문이고, 현재 알려진 바로 충분한 transaction의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Telegram : 추가적인 interface로 telegram chatbot platform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어떤 platform위에서도 돌아갈수 있도록 확장성을 제공함.
즉 blockchain transaction상에 무언가 기록할수 있는 기능만 있다면, 이 모든 platform을 지원함.
또한 다른 platform의 dapp으로 쉽게 이식 가능하고, 혹은 다른 dapp의 sub dapp이 될수도 있음.
Basic operation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30분이 지나면 데이터의 영구보존. 30분 안에 취소 못하면 이불킥 해야 합니다.
글의 양에 따라서 영구 보존 시간을 비례하게 조정하는 것이 어떨지 제안합니다.
예를 들어 80자면 30분, 800자면 300시간? 이렇게 양을 달리 하는 것은 어떨지요?
글을 쓸때마다 토큰을 글쓴이에게 제공.
제공하는 토큰은 특정 토큰으로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토큰으로 제공
글이 좋아요를 받을때마다 글쓴이에게 토큰 제공.
좋아요 누르는 사람에게도 토큰 제공
광고로 들어오는 수익은 모두 토큰 구매 및 소각으로 토큰 가치 상승 유도
출판으로 들어오는 수익도 광고 수익과 같은 용도로 사용
어떻게 광고를 보여줄 것인지
플랫폼의 주요한 수익원 중의 하나는 일차적으로 광고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외에도 창작자들의 창작품으로 얻어지는 수익도 일부있겠으나, 이 부분또한 대부분의 창작자에게 돌려줄려고 합니다.
수익이 얻어져야 하는 이유는 그래야 토큰의 가치와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이익을 돌려줄수 있기 때문입니다.
생각하는 광고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배너 형식
사용자가 작성하는 드위터 글과 같은 형식으로 관심이 있는 것을 능동적으로 제안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 로션 써볼래?"
"제주로도 여행 가는 건 어때?"
" 요즘 같은 날씨에는 황사 마스크가 필요해."
이런 단문의 문구들인데, 사용자의 환경이나 글을 분석해서 제안하는 형태의 광고이고,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위의 문구의 추가적인 링크를 눌러서 제품을 보거나 구매할수 있습니다.
또한 광고는 선택 가능해야 합니다. 광고를 보지 않은 권리도 존중합니다. 다만 광고를 보는 경우와 보지 않는 경우에 플랫폼의 참여도가 달라지므로 이에 대해서 보상을 달리할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광고를 아예 없애는 것에 대해서 심각히 고민중입니다.
적어도 눈에 보이거나, 도움 안되는 광고에 대해서는요..
인공지능의 접목
드위터 dapp이 가져야 하는 궁극적인 수익 시스템입니다. 즉 인공지능의 처리를 위해서는 대용량의 잘 만들어진 입력 데이터가 필요하고, 드위터는 드위터의 글을 통해서 이 인공지능의 입력을 처리하려고 합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런 데이터는 아주 비싼 값에 팔리고 있고, 애석하게도 아직까지는 이 데이터를 사용자들이 무료로 제공해 왔거나 혹은 특정 회사들을 통해서 인위적으로 조성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형태였지만, 드위터에서는 이를 만드는 사람들이 수익을 가져가도록 하려고 합니다.
감정 분석과 클러스터링은 통해서 타겟 광고 + 사용자가 정말 관심있는 것만 광고하도록 하는 것도 제안합니다.
게시판의 구성
네이버와 같이 간추려서 보여주는 기능
오늘의 베스트글과 같이 하루에 일정 숫자의 베스트 글을 보여줌
일반적으로 모든 주제의 글을 보여줌. 글에는 반드시 태그가 필요함
Medium.
Joomla. ...
Drupal. ...
Jekyll. ...
Tumblr. ...
CMS Made Simple. ...
Wix.
이런 수많은 플랫폼이 있음. 목적은 가볍고 예쁘게!
잊혀질 권리와 잊지 않을 권리의 보장
이를 출판과 연계할수 있지 않을지?
예전의 사진을 보면, 연인이 서로 사귈때, 사진을 찍고 사진을 인화함.
서로 한장씩 나누어 가졌다면? 헤어질때 돌려달라고 할 것인지?
대부분은 그렇지 않고 서로의 추억으로 간직하거나, 내가 소유한 것에 대해서 화장식을 진행함.
마찬가지로 blockchain에 남겨지는 데이터에 대해서도 유사한 메타포를 적용한다면?
다만 이 때에는 블록체인에 남겨진 것이 하나이고, 누구의 소유인지가 문제가 될 것임. 애초에 다수의 소유권 혹은 다수의 카피를 만들어 준다면?
1인 1계정으로 제한해야 하는지?
Steemit과 같이 부계정을 허락하는 것이 좋겠음.
특히 전화번호로 인증을 한다는 것은 내연적으로 사용자가 누군지 유추할수 있는 힌트가 될 수 있음.
이모티콘의 도입
새로운 세대에게 있어서 이모티콘은 하나의 트렌드 입니다. 트위터에는 이런 것이 없죠. 그래서 드위터에는 이모티콘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합니다. 또만 이모티콘 작가들에게 더 많은 수익을 배분하려고 합니다.
구상을 해보아야 겠으나 작가에게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무조건 작가가 더 많이 가져가고, 작가가 더 많이 수익을 낼 수있는 체계를 구축하려고 합니다. (현재 이모티콘의 수익 생태계를 잘 모릅니다. 이에 대해서 도움 주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이벤트를 만들어서 드위터가 일정량을 선구매하고 이를 사용자들에게 배포하는 등의 일정 이상의 고정적인 수입을 보장하는 방법도 고려. 즉 작가들이 팔리는 것에 대해서 수익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드위터가 고정된 월급처럼 일정량을 항상 선구매하고, 그 수량을 초과하는 것은 수익을 배분하는 인센티브 구조를 가져감.
즉 A작가가 만드는 이모티콘이 B라면, 드위터는 B 이모티콘을 매달 400백만원씩 선구매 하고, 이를 드위터에 일정량은 무료로 배포하고, 일정량은 판매를 합니다. 이 비율은 플랫폼에 수익에 따라서 달라지고, 플랫폼이 충분한 재원을 가지고 있다면 전체 이모티콘을 모두 무료로 배포 합니다.
어떤 이모티콘을 선구매 할지는 투표로 결정하려고 합니다.
기존 시스템의 좋은 점을 차용
스팀처럼 대세글, 최신글, 인기글을 구분해서 보여주고 아예 광고 section을 만들되...광고는 자신과 관계된 것이 보이도록 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확장 계획
처음에는 트위터와 같은 짧은 text기반, 이후에는
UI의 확장
Restful API를 통한 Dapp의 플랫폼화
이모티콘의 접목
인디음악의 접목 등, 다양한 창작자를 위한 플랫폼으로 확장하고자 합니다.
그 밖에 다수의 멀티 플랫폼으로 확장
음란물의 방지
인공지능의 텍스트 및 이미지 분석을 사용하여, 음란물로 평가되는 것에 대해서는 영구적으로 계정 정지 및 삭제를 수행함.
대규모 Macro abuse의 방지
TBA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것 방지 - 토큰의 소유 규모와 voting power에 대한 논의
(여기에는 우선 생각만을 남기겠습니다.)
그리고 아무리 많은 토큰을 가지고 있어도..편의상 전 시나몬토큰이라고 하겠습니다.
시나몬 토큰 100만개가 있어도 그 사람의 vote는 그냥 좋아요 하나로 그치도록 할까 합니다.
다만 100만개를 가진 good holder에 대한 보상과, 더욱이 bandwidth측면에서는 더 많은 기회를 부여하려고 합니다.
EOS의 staking기능과 엮는다면 good holder를 구분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닌것으로 보이니까요.
보상의 방법
신규로 발행하는 드위터 코인으로 보상
기존의 코인들로 보상. 초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코인으로 받아갈수 있도록 하고, 해당 코인은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수익으로 구매하여 제공.
이렇게 된다면 드위터는 EOS 메인넷 뿐만 아니라 다른 블록체인과도 연계하는 부분을 가져야 합니다.
혹은 EOS기반의 기축통화 거래소가 있으니, 그 곳을 이용해서 제공할수도 있겠습니다.
다만 단일 코인을 제공하고 이를 사용자가 알아서 거래소와 연계하여 구매하게 할것인지, 자동으로 구매하여 플랫폼이 제공할지는 어느 것이 에코 시스템에 더 도움이 되는지를 고려후에 결정할 내용으로 보입니다.
개발해야 할 것들
Dapp main platform
User Interface - 로그인, 글쓰기, 글보기, 글검색
광고 시스템과 연동
인공지능 시스템과 연동
보상 알고리즘
EOS 메인넷 기반 smart contract과 token 발행
EOS transaction 기능 연동
(필요시) EOS transaction restful API
이모티콘 DRM 및 구매 시스템
이모티콘 및 창작 콘텐츠 연동 시스템
텔레그램 챗봇 API
UX Scenario
GUI
마치며..
문서를 쓰는 것은 참 어려운 작업인 것 같습니다. 생각도 정리해야 하고 이야기도 해야하고 정말로 어려운 작업임에 분명하지만, 그에 반해 더 많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사람이 문서를 쓰는 것이겠죠?
정리해야 할 생각이 만다는 건 그 만큼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기에, 매우 긍정적인 신호라고 생각을 합니다.
조만간 해커톤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를 바라며..
마치겠습니다.
Hi! I am a robot. I just upvoted you! Readers might be interested in similar content by the same author:
https://steemit.com/eos/@jeaimetu/dwitter-dapp-version-0-1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Thanks for your remind. This is the incremental version. Later, I will only upload diff. part. But it will decrease the readability, though.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광고 부분
광고 부분은 크롬브라우저와 좀 비슷한 경향이 보이는듯하네요.
사용자가 접속했던 사이트와 봐온 제품들을 분석해서 광고로 추천하는 기능...
근데 광고 자체가 사실 사용자에겐 불편한점이라 드위터에 필요한 기능일지는 좀 더 고민이 필요할거 같습니다.
토큰 교환
토큰을 직접 제공보다는 게임머니처럼 드위터만의 화폐를 만들고 그걸 교환해 갈수있는 방식이 좋지않을까 싶습니다.
기프토의 방식이였던거같은데.. 글 작성시에 선택을 하게하면 나중에 변경이 어렵고 보팅이 들어왔을때 선택이라면 매번 다르게 설정해야하니 본인이 원할때 원하는 토큰, 코인으로 변경할수있는게 가장 좋은게 아닐까 합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