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세번째 글입니다.
지난번에는 게임튜너에 대해서 두번에 걸처 이야기를 했습니다. 게임튜너는 시스템 튜닝을 통해서 게이머가 원하는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 어플리케이션이였습니다. 게임런처는 프리로드 게임 서비스 지원 어플리케이션으로 게임튜너와 다른 기능을 선보입니다.
Hello, this is my third post.
Last time I talked about the game tuner. The game tuner was an application that created a pleasant environment for gamers through system tuning. Game Launcher is a preloaded game service support application that features game tuner and other functions.
Figure 1. 게임튜너와 게임런처의 아이콘/Game Tuner icon vs. Game Launcher icon
Figure 2. 게임튜너와 게임런처의 메인 페이지/Main pages of Game Tuner and Game Launcher
우선 외관을 살펴보죠. Figure 1과 Figure 2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및 메인 페이지를 보여줍니다. 두 어플리케이션 모두 설치된 게임을 보여주고, 실행을 시킬 수 있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차이점은 게임튜너는 시스템 튜닝, 게임런처는 게임의 발견이라는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이죠.
First, let's take a look at the exterior. Figure 1 and Figure 2 show the icon and main page for each application. Both applications have commonality in showing installed games and allowing them to run. The difference is that the game tuner provides system tuning, and the game launcher provides a feature called game discovery.
Figure 3. 게임의 발견/Game Discovery
Figure 3은 게임의 발견 페이지를 보여줍니다. 메인에서 게임의 발견 버튼을 누르면 진입이 가능한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줍니다. 말 그대로, 신규 게임과 기존 게임들의 성격을 나눠서 상위 랭킹의 게임들을 보여주는 듯 하네요. 예를 들기 위해서 어제 출시한 리니지M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핫이슈라서인지 사용자가 가장 많은 게임에서 확인이 가능하네요.
Figure 3 shows the discovery page for the game. You can enter the game by clicking on the discovery button on the main menu. Literally, it seems to show the top ranking games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new games and existing games. For example, let's take a look at Lineage M released yesterday. Because it is hot, it is possible to check in the game where the user is the most.
- 새롭게 떠오르는 게임/Newly emerging games
- 사용자가 가장 많은 게임/The user has the most games
- 몰입감이 가장 높은 게임/The most immersive game
- 사용자가 가장 많은 게임: 신규/Most users are games: New
- 에디터 추천/Editors' recommendation
- 퍼즐게임/Puzzle Games
- 시뮬레이션 게임/Simulation Games
- 몰임감이 가장 높은 게임: 신규/The most immersive game: New
Figure 4. 리니지M에 대한 정보/Information about Lineage M
Figure 5. 유툽 영상/YouTube movie clip
Figure 6. Galaxy of Games
리니지M 아이콘을 터치하면, Figure 4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우선 플레이스토어로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해줬네요. 관심이 생기면 설치를 하라는 의도로 보입니다. 그 아래로 유툽에 올라와있는 관련 영상들을 볼 수 있습니다(Figure 5). 제가 관심있게 본 것은 갤럭시 게이머에 나온 플레이어입니다. 여기보면, 한달동안 게이머의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차트로 보여주고 있어서, 현재 게임에 얼마나 많은 유저들이 즐기고 있으며, 그 추세는 어떤지를 확인할 수 가 있겠네요. 그리고 인포메이션을 눌러보시면 'Galaxy of Games'라는 것이 나오네요(Figure 6). 베타로 되어 있는데, 각 게임들간의 유저 비율 등 빅데이터 분석을 보기좋게 시각화해서 보여줄 것으로 보이네요.
When you touch the Lineage M icon, the screen shown in Figure 4 appears. First of all, it allowed me to access the Play Store. If you are interested, it appears to be an installation. You can see the related video clips at YouTube (Figure 5). What I've been interested in is the player who came to Galaxy gamers. Here you can see the number of gamers in a month. It's easy to understand, so you can see how many users are enjoying the current game and what the trend is. And if you click on the information, you will see "Galaxy of Games" (Figure 6). It seems to have a good visualization of big data analysis, such as the ratio of users between each game.
요새는 게임을 잘 즐기지는 않지만, 현재 핫한 게임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게임의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어서 해당 게임제작사에 대한 투자 지표로 좋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아직 부족한 점이 있지요. 각 게임사별로 사용자수, 매출, 인앱결제수, 검색 탭이 없다는게 아쉽습니다. 그리고 정렬 방식을 유저가 할 수 있었으면 더 좋았겠네요. 랭킹순이 아니라 랜덤순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보이는데, 순위를 보여주면 한 눈에 '이 게임이 가장 핫하군'하고 쉽게 알 수 있었을테니까요.
I dis not enjoy the game very well these days, but I think it is good as an investment index for the game maker because I can see the current hot game and the information of the game at a glance. Of course there are still requirements to provide more information. I'm afraid there are no users, sales, in-app payments, or search tabs for each game and each game company. And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the user could do sorting. It seems to be showing in random order, not ranking, but if you show the rankings, you can easily see at a glance which games are hot.
게임런처가 더 완벽한 투자 지표로써 성장하기를 바라며,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I hope the game launcher will grow as a more complete investment indicator, and this post is just t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