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그림자색 크레파스'입니다.
얼마전 크립토 트위터에서 우연히 골드만삭스에서 발간 예정인 암호화폐 관련 보고서를 일부 읽어볼 수 있었습니다. 골드만삭스 측은 해당 보고서를 며칠 안에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하니,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수 일 내에 열람해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https://www.goldmansachs.com/insights/series/top-of-mind/index.html
제가 읽어볼 수 있는 보고서 일부분 중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중에 과연 어떤 암호화폐가 가치저장 수단으로서 적절한지 비교한 대목이 있었는데요, 매우 흥미로운 부분이여서 여러분과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영어 원문과 제가 직접한 번역본입니다, 독해에 도움이 되시라고 교차로 보여드립니다:
Given the importance of real uses in determining store of value, ether has high chance of overtaking bitcoin as the dominant digital store of value. The ethereum ecosystem supports smart contracts and provides developers a way to create new applications on its platform. Most decentralized finance (DeFi) applications are being built on the Ethereum network, and most non-fungible tokens (NFTs) issued today are purchased using ether. The greater number of transactions in ether versus bitcoin reflects this dominance. As cryptocurrency use in DeFi and NFTs becomes more widespread, ether will build its own first-mover advantage in applied crypto technology.
가치저장 수단으로서 적합성을 판단할 때 실용성의 중요도를 감안하면, 주요한(dominant) 디지털 가치저장 수단으로 이더리움이 비트코인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 이더리움 생태계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하고, 개발자로 하여금 이더리움 플랫폼을 활용하여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또한, 대부분의 탈중앙화 금융(DeFi) 어플리케이션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조성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체불가토큰(NFT)은 이더리움으로 구매할 수 있다. 비트코인보다 높은 이더리움의 트랜잭션 수는 이러한 이더리움의 높은 실용성을 방증한다. 향후 DeFi와 NFT 분야에서 암호화폐 사용이 늘어나면서, 이더리움은 응용 암호화폐 기술 분야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을 것이다.
Ethereum can also be used to store almost any information securely and privately on a decentralized ledger. And this information can be tokenized and traded. This means that the Ethereum platform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large market for trusted information. We are seeing glimpses of that today with the sale of digital art and collectibles online through the use of NFTs. But this is a tiny peek at its actual practical uses. For example, individuals can store and sell their medical data through Ethereum to pharma research companies. A digital profile on Ethereum could contain personal data including asset ownership, medical history and even IP rights. Ethereum also has the benefit of running on a decentralized global server base rather than a centralized one like Amazon or Microsoft, possibly providing a solution to concerns about sharing personal data.
이더리움은 탈중앙화된 원장(ledger)에 대부분의 정보를 안전하고 프라이빗하게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정보는 토큰화하거나 거래할 수 있고, 이는 이더리움 플랫폼이 신뢰된 정보를 사고 파는 대규모 시장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날 디지털 예술작품과 소장품 거래에서 NFT가 사용되는 것은 이미 이러한 움직임의 일부분이다. 한 예로, 미래에는 개인들이 의료정보를 저장하여 이더리움을 통해 제약회사에 판매할 수 있다. 이더리움에서 디지털 프로필을 생성하면 자산 소유내역, 메디컬 히스토리와 같은 개인정보와 심지어는 지식재산권까지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더리움은 탈중앙화된 글로벌 서버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아마존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처럼 중앙화된 서버보다 개인정보 공유와 관련된 우려에 대해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
A major argument in favor of bitcoin as a store of value is its limited supply. But demand, not scarcity, drives the success of stores of value. No other store of value has a fixed supply. Gold supply has grown nearly ~2% pa for centuries, and it has remained an accepted store of value. Plenty of scarce elements like osmium are not stores of value. In fact, a fixed and limited supply risks driving up price volatility by incentivizing hoarding and forcing new buyers to outbid existing holders, potentially creating financial bubbles. More important than having a limited supply to preserve value is having a low risk of dramatic and unpredictable increases in new supply. And ether, for which the total supply is not capped, but annual supply growth is, meets this criterion.
비트코인을 가치저장 수단으로 선호하는 큰 이유중 하나가 제한된 공급량이다. 그러나 가치저장 수단으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척도는 희소성이 아니라 수요다. 현존하는 가치저장 수단 중에 공급량이 정해져 있는 것은 없다. 금 공급량도 지난 수백 년 동안 연평균 약 2% 상승했고, 그 동안 가치저장 수단으로서 인정받아왔다. 반대로 오스뮴과 같이 희소성이 높은 광물들이라고 해서 가치저장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고정되거나 제한된 공급량은 사재기를 부추기고 신규 매입자가 더 높은 가격을 부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버블을 일으킬 수 있다. 가치를 지키기 위해 공급량을 제한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드라마틱하고 예측 불가능한 가격 상승과 같은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그러한 맥락에서 이더리움은 총 공급량은 제한되지 않지만 연 공급량 증가율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러한 기준에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이 대목만 본다면 이더리움이 앞으로 대장 코인의 자리도 넘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비트코인이 금을 대체하는 가치저장 수단으로서 인정받지 못한다면, 비트코인의 미래가 굉장히 불투명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의 라이벌 관계는 이미 예전부터 크립토 트위터나 SNS상에서 몇번 화제가 된적이 있었는데, 이번 보고서가 마르지 않은 도화선에 다시금 불을 지필 것 같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골드만삭스 보고서의 주장을 좀 더 심도있게 파헤쳐 보고, 반박도 해보자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