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실상의 제3차 세계대전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당사국들이 직접 전쟁을 하는 방식이 아니다 보니 오늘을 사는 우리는 과연 3차세계대전인지 아닌지 파악하기 어렵다. 그러나 현재 일어나고 있는 현상들을 잘 관찰하면, 제3차세계대전이 발생했고 이미 중반을 향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현재 진행중인 제3차세계대전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두서없이 정리해 보았다.
첫째, 핵무기로 인해 교전당사국인 강대국각 직접적인 군사적 충돌은 하지 않는 대리전의 성격을 띤다.
예)
우크라이나,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레바논, 시리아, 필리핀
예외적으로 필리핀에서는 미국과 중국 해군간 직접적인 전자전이 수행되었다.
둘째, 교전당사국의 영토에서의 군사작전이나 전쟁은 최소화된다.
셋째, 군사작전 못지않게 정치공작이 치열하게 전개된다.
예)
조지아, 베네주엘라,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루마니아, 아르메니아, 필리핀, 북구3국의 나토가입
넷째, 군사과학적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의 전쟁수행 방식을 무력화시켰다.
예)
드론, 대공미사일, 대함미사일
러시아의 오레슈닉 : 재래식 탄두로 핵무기급 파괴력
오레슈닉 극초음속 중거리탄도미시일은 사실상 제2의 핵무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무기의 등장은 국제정치적 역학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 앞으로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는 추가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실질적인 교전당사국은 미국 대 러시아, 중국, 이란, 조선이다.
여섯째, 교전당사국의 변방에서 일어나는 군사적 충돌이 승패를 결정한다.
예)
1 미국 대 러시아의 경우
우크라이나, 시리아, 조지아, 루마니아, 아프리카 사헬제국, 한반도
2 미국 대 중국의 경우
대만, 일본, 필리핀, 남중국해, 남미국가, 태평양 도서국가, 한반도
3 미국 대 이란의 경우
이스라엘, 팔레스타인(하마스), 레바논(헤즈볼라), 시리아, 예멘(후티)
4 미국 대 조선의 경우
한반도, 일본
일곱번째, 군사전쟁과 경제전쟁이 동시에 일어나는 혼합전 양상
예)
브릭스 : 독자적인 국제교역체계 ‘브릭스 브릿지’와 브릭스 화파 ‘미르’로 달러체제 교란
미국 : 국제교역에서 달러를 쓰지 않는 국가에게 관세부과로 처벌
여덟번째, 정보조작으로 자국 대중들의 전쟁수행지지를 이끌어내고, 상대국가의 대중들에게 왜곡된 정보를 주입하여 합리적인 정책수행을 방해한다.
예)
부차의 러시아군 학살 가짜정보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가짜정보
아홉번째, 미국 제국의 외곽에서 이탈이 가속화된다.
예)
아프리카 사헬제국, 남미의 국가들,
서구 극우민족주의 정당의 부상
이렇게 현재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정리해보면 아무리봐도 미국이 지금의 상황을 역전하기는 어려운 것 같다.
한국정치권이 제정신을 차리고 있다면, 이번 제3차세계대전이 종식된 이후의 국제정치적 질서가 어떻게 재편될 것이며, 한국은 어떻게 해야하는가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을 해야 할 것 같다.
그런데 지금하는 것을 보면 기대가 난망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이 하는 짓을 보면 기도차지 않는다. 특활비 전액삭감하고 예산단독통과시키는 것을 보니 정치를 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양아치가 깽판치는 것 같다. 기분이야 누가 그렇게 하고 싶지 않을까? 그러나 속시원하게 조지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이후 어떤 일이 닥치고 벌어질것인가를 생각하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최소한의 생각조차 없는 무뇌아 정당인 것 같다.
현재 국가경제는 매우 심각하다. 이번 예산안으로 경제실패시 모든 책임을 더불어민주당이 다 떠안게 생겼다. 더불어민주당은 거의 자해를 하고 있는 것 같다. 이런 이를 보면서 이재명을 제거하고 더불어민주당을 혁신하지 않으면 한국의 미래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