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히 생각하지 마시고, 충분한 정보를 얻으신 후 시작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ICO (Initial Coin Offering)
ICO는 현재 기업 상장을 위한 IPO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IPO 같은 경우에는 그 발행을 위한 제약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ICO 경우에는 그 제약 조건이 거의 없다 보니, 투자하실 때 본인이 직접 챙기셔야 할 것이 많이 있습니다.
이를 도와주는 사이트/카페들도 많이 있으니 참고하셔야 합니다.
코코투(http://cafe.naver.com/ims330)
셀마코(http://cafe.naver.com/yohievery/286)
KR token(http://www.krtoken.com)
KR token cafe (http://cafe.naver.com/dhkswp232424)
(등등등 검색 및 정보들을 찾아보시면, 더욱 더 많은 사이트 들이 있습니다.)
- 현재 미국/중국 등은 ICO에 대한 규제를 하고 있고요,
우리나라 또한 ICO 규제, 암호화 화폐에 대한 규제 등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직 ICO에 대한 SCAM 우려도 있구요. 투자하실 때 많은 고민을 하셔야 합니다.
막상 ICO를 시작하다보면 용어랑 절차 등이 간단하지는 않는데요, 몇 번 하면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시작하시는 분에 대해 도움이 좀 되기위해 부족하지만, 제가 알고 있는 것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ICO 절차는 통상 pre-ICO (pre-Sale), ICO 의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물론, pre-Sale 없이 ICO를 바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요.) - 프로젝트 별 백서를 확인하시면 일정 및 내용을 잘 파악하셔야 합니다.
(cloud-sale 이라는 용어도 사용하는데요, 일반적인 관점에서 ICO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반 대중에게 투자금을 유치하는 것이니까요.)
(ICO라는 것이 근본적으로 사업/프로젝트를 시작 및 확장을 하기 위해 자금을 모으는 것으로 그 취지에서는 유사하다 생각됩니다.)
pre-ICO vs ICO
pre-ICO는 ICO 이전에 시작하는 것으로 좀 더 High-risk High-return의 관점에서 생각하시면 됩니다.
ICO 보다 bonus 라든가 조건이 많이 유리합니다. (토큰의 수량이 ICO 때보다 10%, 50%... 추가 제공 등)
투자금의 최소치가 설정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ICO는 본격적으로 일반인들에게 투자를 받는 단계입니다.
ICO 진행 중에도 시간별로 bonus 제공을 달리하여 진행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24시간동안 20%, 48시간 동안 10% ... 이라든가 1000ETH까지는 20%, 3000ETH 까지는 10%, 그후 0%...)
GAP
ICO 진행시 모이는 투자금에 따른 갭(GAP)이 설정되는 게 일반적인데요.
- Soft-Gap : 프로젝트 및 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최소의 투자금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Soft-Gap 까지 모이게 되지 않으면, 받은 투자금을 돌려준다든지 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Hard-GaP : 프로젝트 및 사업을 하기 위한 최대 투자금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투자금에 따른 Token의 수량이 한정되어 그 이상의 투자금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고요, 그 이외의 경우도 있습니다. 정해진 규칙은 없으니까요.) - Hidden-Gap의 경우에는 Soft-Gap 이후에 투자금의 유치 상황에 따라 조건 변경을 위한 시점이 있을 수 있다고 공지하는 경우인데요, 일반적이지는 않은 상황인 것 같습니다. ( 현재 KICKICO, https://www.kickico.com/ko/ 참고)
투자금 형태
ICO 진행시 투자금의 형태도 여러가지입니다. (백서 내용 꼼꼼히 Check...)
- BTC, ETH, LTC 등 암호화 화폐 및 US-dollar 를 받는 경우
- 특정 암호화 화폐만 받는 경우
ICO 진행에 따른 Token 지급 방식
스마트 컨트랙에 의해서 지급받은 투자금에 비례해서 자동으로 자신의 지갑으로 Token이 들어오는 방식입니다.
(자신의 지갑에서 Token을 추가할 수 있는데요, 커스텀 Token 추가에서 "주소", "토큰기호", "Decimal" 의 정보를 입력하면 들어 온 것을 본인의 지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정보는 투자 받는 사이트에서 공지하게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STeX의 경우에는 (https://stex.exchange/faq 의 8번 항목)
Address: 0xaE5652Ea226BFaE00B8d542e58231362aF836Fda
Symbol: STE
Decimals: 8
공지 되어 있습니다.
*암호화 화폐로 투자하는 경우에는 스마트 컨트랙을 지원하는 지갑에서 보내셔야 상기 과정으로 Token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암호화 화폐 거래소의 지갑은 스마트 컨트랙을 지원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거래소의 지갑에서 투자금을 보내시면, Token을 못 받습니다.(!!!주의!!! 하셔야 합니다.)
*보통 MyEitherWallet, Mist 등이 있고요, 투자 사이트에서 사용 지갑을 공지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셔야 합니다.투자금을 모두 받고 난 다음, 즉 ICO 종료 후에 투자금에 비례해서 Token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사이트내에 Dashboard가 있습니다. 그리고, Token 배포 일시는 보통 7~14일 정도로 설정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이 경우는 본인 계정의 설정에서 토큰을 받을 주소나, 배포 후에 토큰을 보낼 수 있도록 공지를 하게됩니다.
Token의 사용
- ICO를 통해서 분배된 Token은 주식과 같이 프로젝트/사업에 대한 값어치로 매겨져서 2차 거래소 ( 암호화 화폐 거래소)에서 거래에 의해 값어치가 올라가고, 내려가게 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분배된 토큰은 Coin(화폐)으로써의 개념을 가지게 되는 게 아닐까 합니다.
- 분배된 Token은 프로젝트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그 프로젝트 내에서 활용되어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물론 이러한 Token도 2차 거래시장에서 거래가 되면 값어치가 매겨지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거래에 사용되는 Token, 의료 기구 구입에 사용되는 Token 등 프로젝트에 따라서 다양하게 활용되어지게 됩니다.) - Token의 수량에 비례하여, 프로젝트에서 이익을 얻게된 이익금을 분배하는 배당 형식의 Token 도 있습니다.
(카지노, 거래소, 물품 판매 수익 등 수익금에 대한 배당이 해당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