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M ICO분석보고서] 하버드생이 아이디어로 뭉쳤다! All star ICO team! (feat. Twitter 설립자)

in icogemgemtokengems •  7 years ago  (edited)

하버드생이 블록체인 아이디어로 뭉쳤다!

ALL STAR ICO TEAM

GEM Token 분석보고서

image5.png

INDEX

GEM Introduction Video

GEM 개괄

GEM의 용도

GEM과 기존 경쟁자와의 비교

GEM Founders

GEM Advisors

GEM 상용화가능성

GEM Whitepaper

GEM의 해외평가, 주의사항

GEM의 마케팅, 운영

GEM의 Alphanet

ICO 참가방법과 일정

총평

Reference

=================================

Prologue

안녕하세요, CryptoDreamers입니다.

ICO는 성공적인 투자율이 약 한자릿수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는 통계치가 있습니다.

(물론 이 투자율은 지난 11월~올해 1월의 엄청난 상승장에서 많이 갱신이 되었을 것이라 추측합니다.)

이런 상황속에서, ICO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으로 분석하며 좀 더 명확한 정보에 근거한 현명한 판단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ICO투자에 앞서, 고려할 사항들을 간략히 정리해보면...

팀의 구성, 어드바이저의 구성, 유사코인(사업 아이템)의 존재 유뮤, 코인의 기반 기술(알고리즘의 종류, 지갑의 완성도, 메인넷의 유무 등), 발행량, 거래소 상장 가능성, 프로젝트의 진행상태,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의 평판, 코인의 배분비율(프리세일, 크라우드세일, 개발자, 어드바이저 등) 등...

======================================================================

<참고>

ICO투자에 앞서 어떤 것을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 잘 정리해놓은 글이 있어 소개드립니다.

https://cryptopotato.com/10-keys-evaluating-initial-coin-offering-ico-investments/

======================================================================

위와 같이 정말 많은 부분들을 모두 고려해야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관계자가 아닌 상황에서 모든 부분을 다 알 수 있기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더욱 더 시장의 상황과 ICO에 대해 더 공부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ICO에 투자하시기에 앞서 최대한 많은 부분들에 대해 알아보시고, 고민후에 본인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투자를 해야할 것입니다.

모든 부분에 대해서 고려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해봤을 때, 추천드릴만한 코인이 있습니다.

GEM Token! 함께 한 번 살펴볼까요?!

image3.png

  1. GEM Introduction Video

  1. GEM 개괄

1.토큰 & 프로젝트명 : GEM (Symbol : GEM)

2.기반 플래폼 : Ethereum (ERC20 기반)

3.창업자 : Rory O’reily, Kieran O’reily (Havard university 출신)

4.어드바이저 : Twitter 공동창업자 (Biz stone), Augur coin 공동창업자 (Joey Krug)

                  Aragon coin 창업자 (Luis Cuende) 등

5.토큰 활용 용도 : 아마존 Mechanical Turk, Crowdflower 서비스의 탈중앙화

Micro task를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Dencentralized M Turk

6.유사 코인 : Storm, 이외에 노동시장과 관련해서는 Chronobank, matchpool과 흡사

인력을 구한다는 부분에서는 크로노뱅크, 매치풀과 유사점이 있으나, 가장 흡사한 비지니스 모델은 Storm코인

  1. 발행량 : 8,000,000,000개

8.ICO일정 : 연기

  1. GEM의 용도 : Micro task에 대한 댓가를 돌려줍니다

GEM Token의 용도에 대해 알기전에, 사전 지식이 필요한 부분이 있습니다.

Mechanical Turk를 블록체인에서 Decentralized된 버젼으로 만들어 내겠다는 GEM Token,

대체하겠다는 아마존의 Mechanical Turk, Crowdflower란 무엇을 하는 플랫폼인가?

이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은 머지않아, AI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고성능의 인공지능이 인간의 역할을 대체해 갈 것이라는 믿음이 있습니다. 2016년 3월 9일 알파고가 이세돌에 승리하며, 인공지능의 능력을 증명해보였듯 분야별로 점차 AI는 인간의 기능들을 대체해 갈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고성능의 AI를 만들어내는 것은 쉬운일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AI는 인간처럼 효율적으로 상상력을 발휘하여 학습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인간처럼 경험을 기반하여 겪어보지 못한 것들을 상상해내는 능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image17.png

이 능력을 키워주고자 나온 최근의 기술이 바로 Machine Learning인데요, 수 없이 많은 판단사례를 학습하여 AI가 올바른 정답을 추론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가장 놀라운 사실은 AI의 개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 바로 이 머신러닝을 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건비라고 합니다.

Mckinsey에 따르면 2016년에 구글, 아마존 등 대형 IT기업이 AI개발을 위해 머신러닝을 시키는 이 과정에서 발생한 비용이 연간 20~30조원이라고 합니다.

AI의 개발을 위한 이 시장은 굉장히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이며, 이로인한 Micro task의 시장도 굉장히 빠르게 커질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입니다.

image19.png
<어느 것이 고양이이며, 어느 것이 개인가?>

이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구체적으로 한 번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구글에서 고양이를 식별하는 AI를 개발하고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구글에서는 AI에게 수 없이 많은 고양이 사진을 보여주며, 개와 고양이를 구분하는 방법을 학습시키고, 사진에서 고양이가 어디있는지에 대해 알려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AI가 학습을 하는 과정이 인간처럼 한 두장의 사진을 학습을 한다고 되는 부분이 아니라는 것이죠. 수 만장, 많게는 수 백만장을 학습시켜야만 합니다.

AI의 개발에서 가장 많은 비용이 드는 부분이기도 한데요, 학습을 위해 사람이 사진을 판별해줘야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사람은 쉽게 고양이와 개를 구분하지만, AI는 그렇지 않다는 점.

인간이 한 장씩 사진을 구별해주고, 그 정답을 알도록 인간의 노동력(Micro Task)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바로 GEM Token의 시장이 발생합니다.

아마존의 Mechanical Turk는 위와 같은 AI의 학습을 저렴한 노동력을 활용하기 위해 만든 구인시장입니다. 학습을 시켜줄 단순노동을 반복해줄 저가의 노동력을 찾는 시장인 것이죠.

AI를 개발하는 사람들은 플랫폼에 수수료를 지불하고, 구인을 합니다. 노동자들은 간단한 작업을 해주는 대신에 돈을 받습니다. 여기서 플랫폼, 노동자(작업자), 작업의뢰자(개발자)가 존재합니다. 아시다시피, 중앙집권화된 플랫폼에서는 당연히 노동자와 작업의뢰자가 가져가야할 이익잉여가 줄어들죠.

즉, 구인을 할 수 있는 시장을 만들어준 대신, 중개수수료로 20% 가량을 아마존이 취해갑니다.

자, 이제 감이 오시나요?

Mechanical Turk같은 중앙화된 플랫폼을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분산화 시키고,

노동자가 Micro Task를 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노동의 댓가중 아마존이 받아가는 20%에 달하는 수수료를 다시 노동자에게 돌려주겠다!

바로 이 멋진 일을 Gem Token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참고>

Mechanical Turk에 대해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신 분은 위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blog.daum.net/buzzweb/710

  1. GEM과 기존경쟁자와의 비교 : 중앙집권화된 플랫폼의 해체!

image21.png
<GEM Protocol을 Mturk와 Crowdflower와 비교>

  • White paper에 있는 위의 표는 왜 Gem Token이 유용한지에 대해 가장 명확하게 설명해줍니다.

  • Mechanical Turk, Crowdflower등의 플랫폼이 취하던 권력과 이윤을 micro task를 하는

    노동자들에게 다시 돌려주겠다는 의미입니다.

*Gem Token을 활용한 비지니스 플랫폼에는 수수료도 없고, 리서처(작업의뢰자)의 등록수수료도 없고,

계좌가 없어도 사용가능하며, 오픈소스로 되어있습니다.

사람들이 GEM의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Micro task를 하고, 즉시 그 댓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

그것이 바로 GEM의 목표입니다.

  1. GEM의 Founders

image6.png

Rory O’reily는 하버드에서 경제학과 심리학을 전공했으며, 하버드 대학교의 신문이나 Forbes에서 소개되기도 한 타고난 사업가입니다. 하버드의 비지니스 인사이드(교내신문)에서 19명의 유망한 청년으로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gifs.com의 공동창업자로 4년간 일한 경력도 있습니다.

image22.png
Co-founder인 Kieran O’reily 는 구글, 넷플릭스를 고객으로 두고 있는 gif.com의 공동 창업자이자, Forbes에 30세 이하 30인의 사업가로 뽑힌적이 있는 GEM Token팀의 CTO입니다. AI와 관련된 일을 하다보니 GEM Token의 시장에 대해 자연스럽게 생각할 수 있었지 않았나 짐작을 해봅니다.

물론 IT산업에서 학벌이 그렇게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학벌과 무관하게 굉장한 성공을 만들어낸 사업가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스타트업, 벤처기업의 사회는 철저히 네트워킹으로 이루어진 열대 아마존같은 곳이죠. 이렇게 미국의 명문대에서 주목받던 두 청년은 확실히 네트워킹을 갖고 있었나 봅니다. GEM Token의 아이디어와 그들의 네트워킹이 만나 엄청난 어드바이저를 만나게 되는 핵심원동력이 됩니다.

  1. GEM의 Advisors

image4.png

  • Biz stone은 Twitter의 공동창업자입니다.

  • Joey Krugs는 예측플랫폼 코인으로 유명한 Augur의 공동창업자입니다.

  • Ben MAurer는 구글이 성공적으로 인수한 IT기업이라고 평가하는 reCAPCHA의 공동창업자입니다.

  • Aragon OS, coin을 개발&창업한 Luis cuende도 어드바이저로 들어가 있습니다.

  • district0x의 공동창업자 Joe Urgo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Cryptocurrency Industry의 거물급 인사는 없지만, 어거나 아라곤같이 성공적으로 ICO를 실시한 CEO들과 AI와 관련된 분야에서 특출한 어드바이저들을 모시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1. GEM의 상용화가능성

필자의 개인적으로 AI의 파생시장에서도, Micro Task의 플랫폼이라는 특수한 이 니치마켓을 활용하기에는 가장 최적화된 블록체인 비지니스 모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노동자들이 원격으로 Micro task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큰 돈도 아닌 것을 현금으로 해외송금을 주고 받기엔 너무 번거롭습니다. 코인을 통해서 수수료없이 노동의 댓가를 즉시 돌려받을 수 있다는 점은 정말 매력적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Gem Protocol이 실제로 사용될 수 있을까요?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image12.png
<Gem 트위터에 올라온 테스트넷의 결과 : 참여자수, 업로드된 작업수>

현재 모의로 작업을 할 수 있는 테스트넷이 열리고 나서, 수십만개 이상의 microtask가 올라왔으며, 수 만명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twitter.com/gems/status/950971822442389504

사실 이런 니치마켓을 타게팅한 플랫폼은 사람들이 사용하기 시작하면 수요자와 공급자가 명확하여 빠르게 성장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점을 고려해보면 GEM의 비지니스는 상용화 부분에서 상당한 메리트가 있음은 분명한 사실인 것 같습니다.

  1. GEM White paper

투자에 앞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무래도 백서라고 할 수 있는데요,

GEM의 백서는 간단명료하고, 설득적인 형태로 잘 만들어진 비지니스 레포트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아무래도 ERC기반으로 만들어지는 토큰이다 보니, 기술적인 측면보다는 사업적인 측면 (플랫폼을 어떻게 만들고 운영할 것인가, 그리고 이 사업이 왜 수익성이 나는가, 기존의 경쟁자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등에 대해 설득력있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백서에 대한 분석을 한 Zaid Mohomedy (Blockchain Advisory CTO)의 평가를 한 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백서의 구성은 Micro Task의 시장에 대해 설명하고, GEM 프로토콜의 작동방식(운영)에 대해 설명한 후, 기존의 경쟁사(M Turk나 Crowdflower)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GEM이 그것을 해결해 줄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난해한 수학공식이나 경제이론들이 등장하지만, 기술적인 부분은 전혀 언급되지 않습니다.

  1. GEM의 해외평가, 주의사항

https://www.reddit.com/r/GemsProtocol/

저는 레딧을 통해 해외 리뷰를 자주 보는데요, 위의 레딧싸이트에서 어떻게 평가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현재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은 발행량의 배분비율과 방식에 대한 문제입니다.

타 ICO에서는 쉽게 보기힘든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바로 No-cap dutch auction(네덜란드식 역경매)방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보통 채권매각에서나 활용되는 이 방식은, 판매자가 높은 가격을 먼저 부르고 수요자가 있으면 팔고, 없으면 가격을 조금씩 내려가는 형태로 진행됩니다.

이하의 그림을 참고해보시면, 가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떨어지게 되는 것이죠.

먼저 비싼 가격에 산 사람인만큼, 보너스를 더 주겠다는 의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image10.png

이와 같은 역경매 방식은 일반적인 투자자들에게는 상당히 혼동이 될 수 있는 부분으로 판단됩니다.

경제적인 관점에서 판단했을 때, 역경매 방식을 채택한 분배는 효율적일 수 있지만,

일반적인 관점에서는 과도한 Sales marketing이 아니냐, 시간 제한을 두고 더 비싼 가격에 사도록 만드는 일종의 상술이 아닌가 하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독특한 분배방식을 채택한 것은 해당 방식에 대해 익숙하지 못한 일반 투자자들에게 지나친 경제적 이득을 취하려는 목적이 아닌가하는 스캠의혹을 주고 있는 상황이라 양날의 검이 되고 있는 부분입니다.

<Pre-sale의 독특한 분배방식 : 시간에 따라 보너스의 비율이 감소>

해당 내용에 대한 링크를 첨부해드립니다.

https://blog.gems.org/the-gems-token-sale-37fa8a48f062

*Red Flag - 주의사항

레딧을 통해 많은 투자자들의 관점을 리뷰를 했을 때, 판단되었던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 명확하게 판단을 하시고 의사결정하시기 바랍니다.

Red Flag #1 - no hard cap (하드캡이 없다)

Red Flag #2 - dutch auction (역경매 방식을 채택)

Red Flag #3 - 75% funds to team (75%가 팀으로 분배)

Red Flag #4 - no smart contract for funds/token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없다)

Red Flag #5 - non communication by team (Rory나 Kiren이 직접 소통하지 않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Distribution정책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image20.png
<GEM Token의 Distribution Policy>

다만, 한 가지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플랫폼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양의 Reserve가 필요합니다. GEM측에서 보유한 양도 상당히 있어야만, 새로운 노동자(micro task를 하며 코인을 받기 위해 일을 할 사람)들을 불러올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고, 또 플랫폼을 운영하며 발생하는 여러 비용들에 대해서 순차적인 지출이 가능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75%의 다소 많은 팀 보유량에 대해서 장기적인 비지니스 관점에서 판단한다면, 어느정도는 납득이 가능한 부분이라고도 판단이 됩니다.

(즉, 무조건 팀이 발행토큰에 대해 많은 보유량을 가진다고 해서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1. GEM의 마케팅, 운영 등

image11.png
현재 GEM측에서 운영중인 텔레그램에는 약 14000명이 가입되어 있습니다. 트위터 팔로워는 19,000명으로 ICO 진행중인 타 프로젝트에 비해서 잘 운영되고 있습니다.

웹싸이트, 텔레그램, 블로그, 트위터 등은 모두 체계적으로 잘 운영되고 있는 편입니다.

상당히 능력있는 웹 퍼블리셔를 활용했는지, GEM만의 귀엽고, 아기자기한 컨셉이 잘 유지되고 있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1. GEM의 알파넷 : 실제로 GEM을 통해 일을 해볼 수 있다.

http://portal.gems.org/

http://portal.gems.org/ 에 접속

구글 크롬 메타마스크(지갑 어플리케이션) 설치 후 지갑에 접속

메타마스크 지갑을 통해 Sign In

이메일을 등록하고, Verification E-mail로 Confirm실시

GEM의 Deposit 인증 후 작업 실시

실제로 GEM측에서는 알파넷을 활용하여 모의로 GEM토큰을 벌 수 있는데요,

구글 크롬 Metamask라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셔서, 지갑을 통해 GEM토큰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image8.png

위의 사진과 같이, Job을 브라우징해서, 원하는 일을 하고 GEM 토큰을 이더리움 지갑으로 받을 수 있게 됩니다.
image2.png

다만, Task를 하고 그 댓가로 GEM을 받기 위해서는 Task별로 reserve를 제출해야합니다.

이 GEM은 소모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왜곡된 참여자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는 보증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image1.png

작업이 수락되면, 작업을 실시하고 그에 상응하는 GEM코인을 댓가로 지불받을 수 있습니다.

그 결과는 위의 Stat창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ICO 참여방법과 일정
    image20.png

Whitelist에 이메일을 입력하고, GEM측으로부터 이메일을 받으세요. KYC를 진행하시고, 세부일정은 추후에 다시 공지될 예정입니다.

위처럼 공지되었던 1월 30일의 예정된 세일은 잠정적으로 연기되었습니다.

배분비율, 시간 등에 대해 추가적인 검토를 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1. 총평 : 7.5 / 10.0

이상으로 GEM ICO를 분석해보았습니다.

GEM코인은 Micro task를 하는 구인 중개플랫폼으로 아마존의 Mechanical Turk를 대체하고자 하는 큰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을 통해 탈중앙화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독특한 Business Idea와 비젼을 갖고 있으며, 실제로 상용화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니치마켓을 노리는 플랫폼입니다. 실제로 상용화가 된다면, 많은 사람들이 활용할 수 밖에 없는 높은 사업성을 갖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또, 이를 뒷받침하는 설립자의 역량과 어드바이저를 보유하고 있어 매우 관심이 가는 ICO입니다.

투자를 하시기에 앞서 해외 평가에서 많은 이야기가 되고 있는 GEM 토큰의 발행량의 배분비율, 배분방법 등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니 이 부분에 대해 잘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1월 30일부터 시작되기로 했던 ICO일정이 연기되었으므로, 추후의 일정과 향후 진행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찰하시고, 참여해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 Reference

GEM토큰 웹페이지 주소

http://gems.org

GEM 트위터

https://twitter.com/gems

GEM 소개영상

GEM White Paper

https://gems.org/whitepaper.pdf

GEM 블로그

https://blog.gems.org

GEM의 알파넷 포털

http://portal.gems.org/

GEM의 distribution policy

https://blog.gems.org/the-gems-token-sale-37fa8a48f062

유사 코인 크로노뱅크 (구인구직 플래폼)

https://chronobank.io/

아마존의 Mechanical Turk란

http://blog.daum.net/buzzweb/710

ICO투자시 유의사항

https://cryptopotato.com/10-keys-evaluating-initial-coin-offering-ico-investments/

Gem 토큰을 평가&분석한 싸이트

https://icobench.com/ico/gems

https://icolink.com/finance-ico-list/ad/gems,530.html

https://www.trackico.io/ico/gems/

https://www.icomarks.com/ico/gems

https://medium.com/research-center/gems-gem-ico-analysis-the-protocol-for-decentralized-mechanical-turk-654210a0754c

https://bitcoinexchangeguide.com/gems-gem-token/

https://bitcointalk.org/index.php?topic=2700804.0

by Blockdreamers ([email protected])

무단 Copy 및 저작권 침해를 금지합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