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혐오발언, 주디스 버틀러

in judith •  7 years ago  (edited)

책_<혐오 발언>, 주디스 버틀러 지음, 1997년 작, 2016년 번역 출판

image

책이 참 어렵다. 책 끝에 '주요 개념/용어' 정리와 적지 않은 분량(p.305 - 348)의 옮긴이 해제가 없었다면 아마 이런 글조차 적지 못했을 것이다. 그래서 읽기 전과 읽고 난 후가 별로 달라지진 않았지만, 적어도 후반부에 있는 옮긴이의 배려 덕분으로 아래와 같은 짤막한 생각을 가져 볼 수 있었다. 서장 부분('우리는 왜 언어에 상처받는 걸까' - p.10 ~p.86) 정도를 읽어보고 너무 어렵다고 느낀다면 포기하지 말고 뒷부분의 '주요 개념/용어'와 옮긴이 해제만 읽기를 권한다. 참고 끝까지 읽어 봤지만 책을 덮고 나니 결국 남는 건 뒷부분의 저 두 챕터뿐이라 처음부터 이것만 볼 걸 하는 생각도 들었다.

언어, 표현과 행위 사이의 애매한 거리, 그로 인한 가능성

언어는 표현이지만 말하는 화자가 그가 표현한 대로 행동할 가능성으로 인해 행위를 전제한 표현, 즉 미래의 행위 가능성으로 인해 언어행위라는 용어를 쓸 수 있다. 그러니까 언어에서 표현과 행위를 완전히 분리해서 생각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혐오 발언을 다루는 데 있어 표현과 행위를 분리하지 않는 입장에서는 표현이 곧 행위이므로 혐오 발언은 규제 대상이며 정부의 개입을 정당화한다.

다른 입장에서는 표현과 행위는 구별되어야 하며, 표현의 영역에 있는 것만으로는 처벌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는 상위의 가치가 훼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표현이 명백히 위협 혹은 행위적이라고 간주된다고 생각할 충분한 정황이 있을 때만 규제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그들 입장에서 규제 옹호의 입장을 어느 정도 수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언어라는 것이 표현과 행위가 완벽히 구별되지도 그렇다고 표현이 곧 행위라고 할 수도 없는 애매할 수 있는 특성에서 비롯된다. 그런 맥락 아래에서 주디스 버틀러는 언어 사용자의 역할을 더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바라보는 것 같다. 사용자의 의지나 노력에 따라 얼마든지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그러므로 국가 권력에 의지하여 혐오 발언을 막아달라고 하는 것보다 우리 스스로 그런 혐오 발언이 힘을 가지지 못하도록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고 말하는 것 같다. 이를 설명하고 논증하기 위해, 언어(특히, 발화)에 대해 다양한 방면으로 고찰하며, 언어가 가진 그러한 특질들이 버틀러 자신이 주장하는 방식의 저항이 가능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주장하고 있는 듯하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