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연의 블록체인, 이 사람] 시리즈를 시작합니다! 첫 번째 주인공은 비트코인코어 개발자 '지미 송'

in kr-blockchain •  7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ryuhan18 (aka.블로터 한수연 기자)입니다.

[한수연의 블록체인, 이 사람]이라는 시리즈를 시작했습니다.
사실 이름 석 자를 내걸고 기사 시리즈를 낸다는 건 어떤 마음의 준비가 필요한 일입니다. 기사라는 게 본디 바이라인으로 '만든 이'의 정체가 민망하리만치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글이지만, 그 바이라인을 앞으로 빼고 하이라이트를 주는 건 또 다른 무게감으로 다가오더라고요. 앞으로 이 시리즈가 순항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첫 글을 띄웁니다.

시리즈 설명은 다음 내용으로 갈음할게요.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의 묘(妙)는 ‘사람’이 아닐까 싶습니다. 블록체인은 사람들의 참여를 엔진 삼아 작동합니다. 인간 개입을 배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기술 발달사에서 튀는 녀석이죠. 자동화 기술이 인간을 생산 프로세스 밖으로 밀어내고 인공지능(AI)이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블랙박스 영역을 넓혀갈 때, 블록체인은 사람을 끌어안습니다. [한수연의 블록체인, 이 사람] 시리즈는 블록체인을 특별하게 만드는 바로 그 요소, ‘사람’에 집중합니다. 블록체인 씬(scene)의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기록하겠습니다.


어떤 시리즈인지 설명이 잘 됐길 바라요 :)
첫 번째 [한수연의 블록체인, 이 사람]BTC 개발자 Jimmy Song입니다.

Jimmy Song is a Bitcoin Core Contributor and former VP of Engineering for Armory. He caught the Bitcoin bug back in 2011 and started contributing to Bitcoin open source projects since 2013. He’s a contributor to CoinDesk and has a popular Bitcoin blog. He’s been teaching blockchain to engineers for over 3 years. Jimmy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with a Bachelors of Science in Mathematics. (출처=코인데스크)

덧1) 아래 기사의 저작권은 블로터에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덧2) 앞으로 이 시리즈에서 만나고 싶은 블록체이너가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한수연의 블록체인, 이 사람]

지미 송, "진짜 탈중앙화는 비트코인뿐"

DSC09415-800x533.jpg

▲3월28일 비트코인코어(BTC) 개발자 지미 송을 만났다. 그는 1994년 이후 24년 만에 한국을 방문했다.

카우보이 모자, 거침없는 화법. 비트코인코어(BTC) 개발자 지미 송의 첫인상은 강렬했다. 지미 송은 <코인데스크> 기사에서 “비트코인에서 가장 존경받는 개발자 중 한 명”이라고 소개될 정도로 유능한 개발자다. 동시에 ‘비트코인 맥시멀리스트’로 유명한 인물이다. 그와 약 1시간가량 진행된 인터뷰를 마친 후 그의 이름 앞에 붙는 수식어가 와닿았다. 요컨대 지미 송은 이렇게 말했다.

“진짜 탈중앙화는 비트코인코어뿐이다. 다른 것들은 모두 어느 지점에서든 중앙화 성격을 갖는다.”

비트코인코어가 유일무이한 가치를 지녔다는 지미 송의 확신은 확고했다. 그에게 비트코인캐시(BCH)나 이더리움은 그저 탈중앙화를 연기하는, 그렇기에 블록체인으로서의 가치는 없는 프로젝트일 뿐이다.

연세대학교에서 여름 계절학기를 들었던 1994년 이후 24년 만에 한국을 찾은 지미 송을 만나 비트코인에 대한 그의 경험과 견해를 들었다.

‘희소성’에 매료돼 비트코인에 입문

한국에서 태어난 지미 송은 8살 때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미국에서 개발자로 성장한 그가 비트코인에 처음 관심을 가진 것은 지금으로부터 7년 전이다. 처음부터 기술 관점에서 관심을 가진 것은 아니었다. 시작은 투자자였다. 최대 발행량이 2100만개로 한정돼 있어 희소성을 갖는 비트코인 설계에 매료돼 비트코인을 구매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곤두박질치는 비트코인 가격을 보고 기술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2013년 일이다. 그는 2013년 10월 컬러드코인 프로젝트에 합류했다. 같은 시기, 당시 19세이던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창시자도 컬러드코인 팀에 있었다. 지미 송은 “비탈릭은 많은 논란을 만들었다. 우리가 하고 싶지 않은 걸 하고 싶어 했기 때문”이라면서 “결국 그는 지쳐서 떠났다”라고 비탈릭을 회상했다.

비탈릭 부테린이 이더리움을 만들기 위해 비트코인 진영을 떠났던 비슷한 시기, 지미 송은 본업을 그만두고 블록체인 개발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그는 컬러드코인 이외에도 팍소스, BTCD 등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했다. 또 지금까지 그의 기여로 비트코인코어 코드베이스가 14차례 개선됐다고 한다.

DSC09429-800x533.jpg

▲지미 송 비트코인코어 개발자.

진짜 탈중앙화, 그리고 자유

지미 송은 창시자가 사라져버린 비트코인코어야말로 진정한 탈중앙화 블록체인이자, 유일한 사례라는 입장이다.

“나카모토 사토시가 한 위대한 일 중 하나는 그가 사라져버렸다는 점이다. 누구도 사토시가 누군지 모른다. 완벽히 분산화된 시스템이고 그래서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 특정 지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지미 송에게 ‘이더리움’에 대한 견해를 물었다. 그의 반응은 ‘가당치도 않다’였다. “이더리움은 매우 중앙화돼 있다”는 것이다. 지미 송은 “누군가 비탈릭의 가족을 납치하고 협박해 이더리움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하라고 요구할 수도 있는 것 아닌가”라며 “더구나 이더(ETH)는 무한히 찍어낼 수 있다. 희소성이 없다”라고 말했다.

2017년 하드포크로 생긴 비트코인의 또 다른 버전, 비트코인캐시도 비판했다. 지미 송은 “비트코인캐시 역시 중앙화된 개발 팀이 존재한다”라며 “중앙화된 시스템이 있다면 블록체인을 하는 이유가 대체 무엇인가”라고 비판했다.

지미 송이 ‘탈중앙화’를 강조하는 것은 중앙화 시스템을 불신하기 때문이다. 자유주의자인 그에게 정부를 비롯해 중앙화된 조직은 “가치를 조작하고 개인의 자산을 몰수하거나 규제할 수 있으며, 세금을 걷는 존재”다. 그가 정부 등 중앙 조직으로부터 완벽하게 자유로운 비트코인코어를 열망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비트코인은 ‘자유’를 대변한다. 개인이 무엇을 하든 정부가 통제할 수 없다. 정부가 내 자산을 빼앗을 수 없다. 금융의 자유다. 나는 금융의 자유가 진정한 자유를 위한 첫 단추라고 생각한다.”

그는 또 ‘비트코인코어가 법정통화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다고 보느냐’라는 물음에 “가능할 수 있다. 비트코인코어의 가장 큰 가치는 ‘가치의 저장’ 기능을 한다는 것”이라면서 “사람들은 가치 저장을 생각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장기적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게 된다”라고 답했다.

물론 지미 송이 비트코인코어에 대해 장밋빛 전망만 내놓는 것은 아니다. 그는 비트코인코어가 성공하는 데 가장 큰 장애물로 ‘개발자 부족’을 꼽으며 “개발자가 부족하면 결국 프로젝트는 하향세를 탈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기사에 담지 못한 이야기들.

- PoW(Proof of Work)가 환경에 좋지 않다는 지적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
=환경?
사람들은 '나는 전기차를 운전하고 그래서 나는 좋은 사람이다. 왜냐면 나는 환경친화적이니까'라는 식으로 생각하길 좋아한다. 그런데 그 전기차에 쓰이는 배터리가 어디에서 만들어졌는지 그 사람들이 알까? 전기차를 굴리는 전기가 실제로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알까? 사람들은 모른다. 그냥 플러그를 꽂을 뿐이다.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그저 PoS 방식이 환경에 덜 해로울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를 좋아할 뿐이다.

'경제'는 눈에 잘 보이지 않는 모든 요소를 보여주는 과학이다. PoW는 '투명'하다. 투명성은 좋은 것이다. 어떤 요소가 어디에서 온 것인지 알 수 있다. 투명성 덕분에 누가 비트코인을 채굴했는지 알 수 있다는 것은 곧 채굴에 들어간 에너지의 원류가 어디인지 정확히 알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PoS는 조금 다르다. 알 수 없다. 그저 환경적으로 더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너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알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PoS가 환경에 덜 해로운 방식이라는 건 사실 아닌가?
=다 거짓(fake)이다. 우리는 우리가 볼 수 있는 것들만 계산하고 고려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우리가 헤아릴 수 없는 수많은 요소가 존재한다. 환경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계산할 수 없다.

-PoW가 환경에 좋지 않다는 지적이 말도 안 된다는 건가?
=첫 번째 레이어에 있는 요소들만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것들은 볼 수 없다. 모든 것들은 계산하고 연구하는 데는 몇 년이 걸릴 것이다. 모든 비용을 다 계산하는 건 어려운 일이다.

반면 마켓은 이것들을 계산하는 아주 좋은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이를 '가격'이라고 부른다. 마켓은 비용이 얼마인지 정확히 계산해 가격에 반영한다. 이 숫자들은 맞다(correct).

'PoW가 환경에 나쁘다'는건 무지한 이야기(ignorance statement)다.


Written by 한수연.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제가 무지했군요. 멋진 인터뷰 감사드립니다~

지미 송 이야기가 정답은 아니니까여 ㅋㅋㅋ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akeshi님 :)

!!! 힘찬 하루 보내요!
https://steemit.com/kr/@mmcartoon-kr/5r5d5c
어마어마합니다!! 상금이 2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