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경제가 활성화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블럭체인의 가장 큰 문제점 두가지는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문제 1. 마이크로페이먼트를 해결하는 동시에 DDoS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내지는 못한다.
문제 2. 이중지불을 불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기 성립된 거래를 취소, 수정할 수 있게 하지는 못한다.
이 분야에서 오래 계신 분들은 위의 조건들이 상호 상충되는 것-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하나에 문제가 야기되는 식인데 마이크로페이먼트를 해결하고자 트랜잭션 피를 0원에 가깝게 줄이면 DDoS에 노출- 이라고 당연히 생각하실 거라 봅니다. 그만큼 어려운 문제라는 것이겠죠.
.
하지만 저는 이 두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IoT 및 공유경제에 뿌리를 두고 있는 코인경제의 활성화는 불가능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두 문제를 해결하는 메인 넷을 가진 코인이 다음 세대 블럭체인의 헤게모니를 차지하게 될 것입니다.
아래의 사진은 위 두가지 문제들을 풀어보려고 개인적으로 만들어보려는 메인넷의 개념도입니다. 오늘 한번 쓱싹쓱싹 그려봤습니다. 한달 넘게 생각한 것들을 한번에 정리하려니 .. 힘드네요.
탱글하고 비슷하게 생겼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음.. 이것은 제가 2007년에 만들었던 스핀크 알고리듬에 기반한 독자적인 체인시스템입니다.
아, 스핀크 알고리듬을 이용한 스핀크 퍼즐은 지난 번에 게시했으니 관심이 있으시다면 한번 봐주시기 바랍니다😍
스핀크 알고리듬은 흔히 볼 수 있는 블럭체인의 미니멀라이즈 버전으로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수월할 수도 있을 겁니다.
.
.
.
아래는 지난 스핀크 퍼즐의 해답입니다. 이거 좀 쌩뚱맞게 올린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제가 지난 번 쓴 게시물에 다 다음 게시물(그러니까 지금 이 포스트가 되겠죠?) 하단에 답을 올린다고 해서 그러는 것이니 양해바랍니다.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