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득 1분위(하위 0~20%) 가입자의 평균 가입 기간은 10.2년에 불과했다. 연금을 수령하기 위한 최소 가입 기간(10년)을 겨우 넘기는 수준이다. 반면 5분위(소득 하위 80~100%)의 평균 가입 기간은 19.5년으로 1분위의 2배에 육박했다.
"
기사에 따르면 과거에 오래 가입한 사람들은 긴 기간 가입할수 있어서
가입기간을 길게 가져갈수 있었는데
최소 가입기간 10년을 만족하면 소득대체율이 소득대체율 20%
그리고 가입기간이 30년이 되면 소득대체율 40%가 되기 때문에
긴 기간 가입할수록 실질적인 소득보장이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여기에서 현실은 저소득층은 평균 가입 기간이 짧기 때문에 명목
소득대체율(2028년 기준 40%)을 올려도 소득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밖에 없다는게 문제입니다
즉 가입기간을 늘리는게 중요한데....
현재 연금 가입 상한 연령이 만 59세로 되어 있어서 기존에
가입기간이 짧아서 연금이 적은 사람의 경우 기간을 늘이기도
어렵고...
또한 연금수급을 개시한 노령층의 경우에도 소득이 발생하면
연금을 삭감하는 정책을 쓰는데...
앞으로는 인구 감소로 인해 노령층의 노동력도 계속 더 많이
필요로 하게 될텐데 말이죠
그 이후에는 그 방식은 문제가 될것 같습니다
이른바 노령 인력의 노동에 대해서 연금 삭감보다는 국민연금을
추가 납부할수 있게 해주되 해당 납입금을 절반은 국민연금
다음 세대 즉 자신의 친인척이나 손자세대에게 국민연금 크레딧을
이전하는 방식인거죠
물론 부의 이전이라는 측면에서 국민연금 크레딧의 세대이전이
있는쪽에 더 유리할수도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크레딧의 이전으로 국민연금의 지속가능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https://www.npsonair.kr/expert_institution/1154
"
크레딧 제도란,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행위에 대한 보상으로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추가 인정해주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정부는 오랜 실직, 늦은 취업 등의 사정으로 보험료를 내기 힘든데
노후소득을 지원받아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까지 포함해
크레딧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요.
"
국민연금에는 크레딧이라는 제도가 있는데요
기본적으로는 사회적 가치가 있는 행위에 대한 국가의 보상
같은 느낌으로 인정해주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크레딧이라는 제도도 잘 확장하면....
국민연금의 세대간 갈등을 줄이고 노인인력이 일할때의
일부 금액을 연금 가입기간 증대로 인한 소득대체율
확보와 일부 금액을 다음세대로 넘기는 크레딧 이전을
통해서 세대간 갈등도 줄이고 국민연금의 지속가능성도
늘이는 효과가 있지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