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daum.net/v/20241011093731583
"
"독학해 번역하더니 노벨상까지"…한강 수상 일등공신 영국 번역가
"한글과 한국어는 번역이 힘들어 해외 문학상을 타기는 어려울 것이다"
한국 소설가가 노벨문학상이나 맨부커상 등을 타지 못했을 때 주로 나오던 말이다. 때때로 이 말은 국 문학이나 소설가를 비판할 때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던 중 한강이 장편소설 '채식주의자'로 2016년 영국의 유명 문학상인 맨부커상 인터내셔널부문 수상작으로 선정되며 앞선 문장을 부정했다. 이 호평에 한강과 그의 책 '채식주의자'뿐 아니라 20대 영국인 초보 번역가 데보라 스미스 또한 문학계가 주목하기 시작했다.
소설 '채식주의자'를 번역한 데버러 스미스(왼쪽)와 저자 한강(오른쪽). [사진=아시아경제DB]
소설 '채식주의자'를 번역한 데버러 스미스(왼쪽)와 저자 한강(오른쪽). [사진=아시아경제DB]
10일 BBC 방송 등 외신은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의 소식을 전하면서 번역가인 데모라 스미스를 재조명했다. 데보라 스미스는 영국 중부의 소도시 동커스터 출신으로 2009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번역가가 되기로 결심한 후, 영국에 한국어를 전문으로 하는 번역가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 독학으로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했다.
본격적으로 한국어 번역가가 되기로 결정한 후 스미스는 런던대 SOAS 한국문학 박사과정을 마쳤다. 2014년 당시 26세의 젊은 번역가였다. 데보라 스미스가 처음엔 한국이나 한국 문학에 대해 전혀 모르는 채로 한국 작품 번역에 뛰어들었다. "내가 책을 읽어본 적이 없는 나라 중에서도 한국이 상대적으로 부유한 선진국인 것으로 보아 문학계가 활발할 것"이라는 이유였다.
박사 과정 2년째에 들어서야 더듬더듬 한국 소설을 읽을 수 있게 됐다는 데보라 스미스는 2014년 영국 런던 도서전을 계기로 번역 전문가로 자리를 잡았다. 한국이 당시 행사의 주빈국으로 지정되면서 관계자들이 영국에서 활동하는 한국 문학 번역자를 급히 수소문했는데, 마침 이전에 그가 '채식주의자' 번역 샘플을 현지 출판사에 보냈던 일이 알려져 출간이 성사됐다.
"
한국말은 표현이 다양하고 그 단어마다 느낌이 다르기 때문에
제대로된 번역을 한다는것은 자기 언어와 한글을 모두
잘 알고 있지않다면 굉장히 어려운 일이죠
그런데 저 번역가는 그런걸 해낸것이기도 하고...
그리고 그 역시 꽤 좋은 작가이기도 하기에 그게 가능했던 것이죠
번역은 제2의 창작이라고 하니까요
우리나라의 많은 작품들이 더 많이 알려지게 하려면 번역은
정말 중요한 일이죠
요즘 AI번역이나 기계 번역이 많이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미묘한 느낌까지 전달할수는 없으니까요
문학작품의 번역은 역시 번역가의 실력이 중요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