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주화입마에 빠진 거시다!!!"

in kr •  7 years ago 

나를 되돌아보는 글쓰기

기자라는 직함이 괜히 거창해서 내 이름 뒤에 잘 안 붙이지만 어쨌든 하루 상당부분을 저 직함으로 살아가야 한다. 그래서 얻게 되는 좋은 점은 아까 적었다. 내가 경계해야 할 점도 함께 정리해보자.

크게 지금까지 크게 두 가지를 경계해야 한다고 느낀다. 하나는 내가 다 알았다는 자만. 나름 여기저기서 지식을 주워섬기고 좋은 분들께 열심히 설명을 청하다보면 머리에 뭐가 많이 들어오긴 한다. 그래서 진짜 많이 알게 된 기분이다.

근데 ㄹㅇ '앎'을 얻은 사람은 도리어 '모른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알수록 모른다.

반대로 말하자면 적당히 알면 다 안다고 느끼게 된다. 기자로서 가끔 겪는 자만심이다. 괜-시리 내가 블로쿠체인 마스터가 된 키분에 빠진다. 풍월 들은 개가 서너 번 짖는다고 훈수두고 싶어진다. 입 근질근질해짐.

그때마다 스스로 돌이켜야 한다. 나는 정말 '그걸 아는가'? 다 안다고 착각하면 안된다. 또한 다 안다고 느껴버리면 갑자기 내가 하던 일이 시시해진다. 그건 그동안 노력해온 나에 대한 예의도 아니다.

머리에 자료만 많이 들어가서 들떠버리면 안 된다. 그렇게 들뜨다가 훅 가버리는 수가 있다(흑흑) 머 어차피 가끔 또 자기 발에 걸려 넘어지겠지만..허헛 일단 첫째로 경계해야 하는 점이다.

둘째로 경계할 점은 자격지심이다. 어쨌든 내가 업을 통해 만나는 분들은 멋진 분이 많다. 진짜 똑똑하고, 게다가 그 지식을 실천하는 사람도 적잖다. 게다가 연륜과 커뮤니케이션 스킬도 뛰어나다면 ㄹㅇ 존멋이랄까.

그런 분들 앞에서 나는 젼나 조무래기일 뿐이다. 책 읽는 걸 싫어해서 기초교양이 부족하다(과거의 나를 때리고 시프네 흐규흐규) 그런다고 지금 부지런하게 읽지도, 명석하게 다 이해하지도 못한다. 나놈은 안 바뀐다 ㅂㄷㅂㄷ

그런 내가 나보다 더 많은 걸 성취하고 잘 아는 분들에게 질문을 준비한다는 건 매우매우 어려운 일이다. 내가 아무리 미리 준비한다 해도 내 밑천 개미똥구멍이다. 이럴 때 기자는 아는 척 허세부려야 한다는데 난 그게 안돼. 아오.

하여튼 좋은 분들을 자주 만나다보니 가끔 주눅들 때가 생긴다. 나님이 뭐라고 아는 체 하면서 질문을 하고 있나, 주말에 누워서 유튜브본 나를 혼내고 싶다, 그동안 나는 왜 공부를 안 했을까, 엄마 내 머리는 왜 이 모양이죠 흑흑

한없이 초라해지곤 하는데 이걸 경계해야 한다. 구차해지다보면 괜히 몸 부풀리는 데만 치중할 것 같다. 스스로 빈곤함만 가린다고 뭐가 달라지겠나. 그냥 내 부족함을 받아들이는 게 윤리적이고 덜 구리다.

열심히 질문하기를 멈추지 말아야 한다. 어쨌든 귀한 돈 받으면서 지식노동 수행하는 건데 주눅들었다고 무기력해지면 쓰나. 내가 받는 월급에 대한 예의를 갖추자. 조금 몰라서 뻔뻔하면 어떠랴. 차라리 천진하게 질문하자.

생각해보면 나 자신을 가난하게 바라볼 필요도 없다. 상대방이 타고나길 멋지다면 그대로 경탄하면 된다. 게다가 오랜 시간 그 누구보다 애써왔을텐데 난 안 그랬지 않나. 노력 없이 부러워만 하는 건 상대에게 무례할지도 몰라 :(

하여튼 최근 인생현타가 몰려와서 나 자신을 되돌아보는 글을 써본다. 나는 또 섣불리 교만했고, 내가 보고들은 게 마치 내 것인양 생각했기 때문에 지금의 내 모습을 얕잡아봤다. 정-신을 차리자. 나는 27살 김지윤일 뿐이다.

그리고 나는 27살인 김지윤이다. 이정도면 적당히, 못나지 않게 잘 살고 있다고 칭찬해줘야지. 전달자로 살다보면 가끔 나 자신을 잃게 되는 것 같다(나만 그런가 노답;;ㅠ) 주-화입마에 빠지지 않도록 나 자신을 잘 다스려보자.

그러니까 난 빨리 퇴근해서 집가서 라면 끓여먹을 테다...(??)

20180306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좋은 글 감사합니다 게임은 의천도룡기 같네요 저에 어린시절 추억이 있는^^

의천도룡기 맞습니다! 저는 어렸을 때 곁에 서서 구경하던 게임이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