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의 마지막 경제모델 변화여야만 하는 EIP

in kr •  6 years ago 

@blockchainstudio님께서 EIP, HF21 그리고 SMT에서 EIP에 대한 좋은 의견을 말씀해주셨습니다. EIP보다는 SMT가 더 중요하며, EIP로는 현재 스팀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제들을 본질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저도 많은 부분 동의를 하며 추가로 EIP에 대한 제 의견을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개인적으로 본다면 저도 역시 EIP보다는 SMT가 훨씬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사실 EIP가 없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제 글을 계속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저는 SMT와 함께 STEEM으로 나오는 컨텐츠 보상을 없애자는 주장을 해왔으며, 그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습니다.

하지만 EIP에 대해서는 일단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이는 제가 EIP모델이 정말 중요하고 스팀의 희망이라 생각하기 때문이기보단 이 정도의 기회는 줘도 괜찮겠다는 생각에서입니다.

아시다시피 EIP의 핵심 골자는 약한 비선형보상(즉 제곱이 아니라 1.2승 과 같은), 저자와 큐레이터의 50:50 보상분배, 다운보팅풀입니다. 이 중 앞의 두 가지는 매우 쉽게 적용이 가능합니다. 다운보팅풀은 약간의 개발이 더 필요한데 따로 보상풀을 두기보다는 다운보팅 전용 마나바를 추가하는 정도로 해결하면(현재 이 버전으로 개발해놨습니다)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개발력이 그렇게 많이 들어가지 않는 반면에 EIP에 대한 커뮤니티의 요구는 상당히 높습니다. 특히나 50:50 리워드 분배에 대한 요구는 한국 커뮤니티에서도 예전부터 있어왔습니다. EIP의 주장대로라면 스팀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EIP가 반드시 진행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EIP를 예전부터 주장해온 @trafalgar라는 고래는 현 시스템의 맹점을 비난하듯이 열심히 셀프보팅을 해오고 있습니다.

개발에 큰 에너지가 소모되지 않으나 EIP에 대한 강력한 요구가 존재한다는 상황을 종합해봤을 때, 그래도 합리적인 선택은 기회를 주어보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EIP 이후에도 큰 변화가 없다면 또다른 경제모델 변화에 대한 요구는 더이상 받아들여져서는 안됩니다. 이것이 EIP가 마지막 경제모델 변화여야 하는 이유입니다.

EIP가 잘 된다면 좋지만 만약 그렇지 않더라도 연연하지 않고 곧바로 SMT기반의 새로운 토큰 이코노미 체계에 대해 치열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컨텐츠 보상을 분리했을 때 STEEM으로 주어지는 보상은 어떻게 배분할 것인지, SBD는 어떻게 누구에게 지급해야 할 지, SMT와 스팀으로 주어지는 보상을 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지 등 논할 것들이 산적해 있습니다. 어쩌면 가장 흥미로우면서도 어려운 시기가 우리 앞에 있을지도 모릅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글 감사합니다. 나중에 생각 좀 더 정리해서 추가하겠지만 사실 제 개인적으로는 EIP도 현 스팀잇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 즉 좋고 나쁘다를 떠나 중단기 시세 방어를 위해 할 수밖에 없게끔 내몰린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괜찮은 작가가 들어오지도 않는 마당에 까딱하단 투자자마저 다 떠나게 생겼으니까ㅠㅠ

저는 상당 부분 정치적인 결정이라고 봅니다. 커뮤니티에서 나온 의견이기에 큰 해만 되지 않으면 수용하고 가는게 향후에 더 수월한 진행이 될 것이라는 판단 같습니다.

응원합니다

전반적으로 투자자의 권리를 확대하는 것이 창작자에게도 도움이 되어 스팀잇에 글이 많이 올라오는지가 궁금하군요. 일단 SCOT을 통해서 알게 되었듯이 투자자의 권리가 증진되더라도 창작자도 늘어나는 것을 볼 수가 있어 일단은 수긍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나중에 보상이 줄어드는 시점에도 역시 창작의욕이 고취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어요.

그 부분이 굉장히 어려운 문제입니다. 결국 필요한건 보상 외에 지속적으로 창작자가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비즈니스 메카니즘(광고 등)인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