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기병의 흉갑에서 기원한 코르셋
사실 브래지어뿐만 아니라 상당수의 현대 여성 속옷 및 의상들은 고대와 중세 갑옷에서 착안해 나왔습니다. 20세기 초·중반까지 여성들의 필수 속옷이었던 ‘코르셋(corset)’ 역시 갑옷 중 가슴과 배를 보호하는 ‘흉갑’의 개념을 본떠 만들어졌습니다. 17세기 이후 총기가 유행하면서 은폐와 엄폐가 어렵고 활동성을 저하하는 전신갑옷은 대부분 전장에서 퇴출됐지만, 심장과 내장 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흉갑은 오랫동안 유지됐다. 특히 전장의 선봉에 서는 기병대에서는 흉갑을 중요시 여겼다. 이 흉갑을 철갑에서 직물로 바꿔 만든 것이 코르셋의 효시가 됐다고 한다.
프랑스의 낭만주의 화가 테오도르 제리코(1791-1824)가 그린 <기병의 초상화>를 보면, 흉갑을 착용한 기병의 상반신이 자세히 묘사돼 있다.
이 작품 말고도 제리코는 기병의 모습을 담은 그림을 여럿 그렸는데, 그 가운데 유명한 것이 <부상당한 흉갑기병>이다. 그림의 제호로 알 수 있듯이 제리코는 부상당한 기병의 모습을 그렸다. 실제로 그림 속 기병을 자세히 살펴보면, 귀 뒤로 피를 흘리고 있다. 나폴레옹 군대의 일원인 그림 속 기병은, 러시아 원정 이후 거듭된 패전에서 부상을 입고 고향으로 돌아온 수많은 프랑스 군인들을 상징한다.
물론 화가 제리코는 이 그림에서 군인의 몸을 완벽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흉갑의 효용가치를 폄하하지 않았다. 다만 이 그림을 전쟁사적 관점으로 살펴보건대, 아무리 견고하게 만든 흉갑이라도 군인의 몸 전체를 완벽하게 방어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흉갑은 그 당시 군인들 사이에서 안전성에 의문이 제기됐었다고 한다. 특히 총기류가 발전할수록 흉갑의 군사적 효용가치는 더욱 떨어졌다.
한편 흉갑은 어깨가 벌어져 보이고 허리는 잘록해 보이게 하는, 이른바 ‘역삼각형 몸매’를 유지시켜 준다는 새로운 효용성이 강조됐다. 고대부터 장교들이 역삼각형 몸매를 유지하지 못하는 것은 나태한 군인이란 의미로 여겨졌고, 그만큼 죄악시되었기 때문이다.
허리를 조금이라도 더 가늘어 보이게 하기 위해 고통을 감내하며 코르셋을 조였던 여성들과 동병상련이 아니었을까. 이 대목에서 코르셋을 조이며 거울 앞에 서 있는 여인의 모습을 그린 에두아르 마네(1832-1883)의 그림이 겹쳐진다.
흥미로운 사실은 제2차 세계 대전 때까지도 각 군의 장교들이 코르셋을 입어 허리를 잘록하게 보이려고 노력했다고 하니, 군인들 사이에서도 외모에 대한 관심이 적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결국 코르셋 역시 처음부터 여성들의 전유물은 아니었던 셈이다.
미술관에서 만난 전쟁사, 이현우 지음, 어바웃어북, 페이지 22-24
실제 단단한 철제 흉갑 갑옷을 입는다고 해도 대포나 기관총등 화력이 세짐에 따라 관통이 당해 무용지물이 된다. 그런데 0.1mm정도에 불과한 사람이 피부중 표피는 연약함에 있어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일반적인 상처가 나면 갑옷과 같은 흉터가 생기며 점차 아물어간다. 문제는 심한 3도 화상이나 수술로 원래 피부로 회복이 불가한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흉갑 胸甲이 나중에 군사적 가치가 떨어져 점차 없어졌지만 흉터는 계속 되는 문제로 강남역 4번출구 www.imagediet.co.kr 자향미한의원의 흉터침으로 치료할 수 있는 차이가 있다.
Warning! This user is on my black list, likely as a known plagiarist, spammer or ID thief. Please be cautious with this post!
If you believe this is an error, please chat with us in the #cheetah-appeals channel in our discord.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