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서에서 경제 분야를 기록한 부분이 식화지(食貨志)다. 반고(班固)의 『한서(漢書)』에서 비롯되었다. 『한서』 ‘식화지’는 홍범(洪範) 팔정(八政)을 설명하면서 첫 번째는 식(食)이고 두 번째는 재화(貨)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만큼 고대에도 경제 문제를 중시했다는 뜻이다.
『한서』의 이런 서술 체제를 본떠 ‘식화지’를 둔 역사서가 『고려사(高麗史)』다. 세종~문종 연간에 편찬된 『고려사』 ‘식화지’에는 고려 말의 토지제도를 비난하는 대목이 많다. “요즈음 들어 간악한 도당들이 남의 토지를 겸병함이 매우 심하다. 그 규모가 한 주(州)보다 크며, 군(郡) 전체를 포함하여 산천(山川)으로 경계를 삼는다”는 대목도 있다. 한 집안 소유 농지가 한 주보다 크다는 것이다. 소수가 거대한 토지를 과점(寡占)하면 대다수 농민은 몰락할 수밖에 없다.
『고려사』 ‘식화지’에는 간관(諫官) 이행(李行) 등이 호강(豪强)한 무리들은 끝도 없는 농지를 차지했지만 “소민(小民)들은 일찍이 송곳 꽂을 땅도 없어서(曾無立錐之地) 부모와 처자가 다 굶주리고 서로 헤어졌으니 신 등이 심히 애통합니다”라고 상소한 내용도 있다. 『고려사』 ‘신돈(辛旽)열전’은 “(노비로 전락한) 백성들이 병들고 나라가 여위게 되었으며, 그 원한이 하늘을 움직여 수해와 가뭄이 끊이지 않고 질병도 그치지 않았다”고 비판하고 있다.
고려 전체의 재화(財貨) 생산량은 이전과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소수 권세가가 재화를 과점(寡占)하면서 백성들의 원한이 하늘을 움직여 나라가 망할 지경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판도판서(版圖判書) 황순상(黃順常) 등이 상소를 올려 “식량을 족하게 해서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방도는(足食安民之道) 토지제도를 바로잡는 데 있을 뿐입니다”라고 주장하고, 우왕(禑王)이 재위 14년(1388) “근래 호강한 무리들이 남의 땅을 겸병해 토지제도(田法)가 크게 무너졌다”면서 그 폐단을 구하는 법을 반포한 것도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왕조가 붕괴될 위기임을 감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려 왕실은 끝내 이 문제를 바로잡지 못해 요즘 말로 양극화는 더욱 심해졌다. 정도전(鄭道傳)과 조준(趙浚) 같은 역성혁명파 지식인들은 토지 문제 해결을 신왕조 개창의 명분으로 삼았다. 그렇게 고려는 개국 474년 만에 멸망하고 조선이 들어섰다. 동양학에서 양극(兩極)은 남극과 북극을 뜻하는데 둘은 지구 맞은편에 따로 존재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 나라 안의 양극은 따로 떨어져 존재할 수 없다. 선거전이 한창인데 이번 선거뿐만 아니라 앞으로 양극화를 해결하려는 진정한 의지와 능력을 가진 세력들이 미래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덕일의 고금통의 2 내일을 살아갈 통찰, 김영사, 이덕일 지음, 페이지 272-273
장자(莊子)란 책의 도척(盜蹠)에 “요 임금과 순 임금은 천하를 소유하였지만, 자손들은 송곳 꽂을 땅도 없었다.[堯舜有天下 子孫無置錐之地 요순유천하 자손무치추지지]”라는 말이 나온다.
향엄적빈(香嚴赤貧)의 화두는 다음과 같다. 당대의 승려 향엄 지한(香嚴智閑)의 일화에서 유래한 화두이다. 향엄 지한이 돌이 대나무에 부딪히는 소리에 깨달았다고 알려지자, 앙산 혜적(仰山慧寂)이 향엄 지한을 찾아가 ‘사형의 마음 상태가 어떻소?’하고 물었다. 향엄 지한이 게송을 읊어 ‘去年貧 未是貧작년의 가난은 가난이 아니었네. 今年貧 是始貧금년의 가난이 비로소 가난이다. 去年貧 無卓錐地 작년에는 송곳 꽂을 땅이 없더니, 今年貧 錐也無금년에는 송곳도 없도다.’라고 대답하였다.
이에 앙산 혜적이 ‘사형이 여래선(如來禪)은 알았다 해도 조사선(祖師禪)은 꿈에도 보지 못하였다.’라고 평하자, 향엄이 다시 게송을 읊어 ‘嚴云 我有一機 하야 瞬目視伊 어든 若人不會 하면 別喚沙彌 하리라; 나에게 한 기개가 있다. 눈을 깜박여 보여서 알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면, 달리 사미를 부르리라.’하였다. 이 말을 듣고 앙산은 ‘사형이 조사선을 알게 되니 반갑소.’라고 말하였다고 한다. 《선문염송》과 《조당집》에 나온다.
살송곳과 풀무,사랑은 이루어지고-
가장 유명한 송곳 이야기는 송강 정철의 야한 일화이다. 평양에 眞玉이라는 유명한 기생이 있었는데 松江 정철이 어느 날 평양에 갔다가 그만 眞玉에게 홀딱 반해버렸다. 술에 얼근해진 정철은 진옥에게 시조를한 수 읊었다.
"옥이 옥이라거늘 번옥(燔玉)만 여겼더니. 인제 보아하니 진옥일시 분명하다. 나에게 살 송곳 있으니 꾀어 볼까 하노라"
정철은 그 관직으로 보나 문장으로 보나 당대의 쟁쟁한 인물이었으므로 기생들이 서로가 은근히 사모하고 있던 차에 정철이 이렇게 나오니. 기생 진옥은 얼씨구나 싶어 즉시 화답을 했다.
"철이 철이라거늘 주철(鑄鐵)만 여겼더니
이제 보아하니 정철이지 분명하다.
내 여기 골풀무 있으니 녹여볼까 하노라."
송곳에 대한 표현은 사람이 운집하고 많아 송곳 꽂을 곳이 없다는 ‘立錐입추의 餘地여지가 없다.’가 가장 많이 표현된다.
송곳은 유용한 도구이나 뾰족하기 때문에 찔리면 깊은 상처를 유발하고 특히 눈에 찔리면 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만약 깊은 찔린 상처는 진피를 깊숙이 손상하면 흉터를 유발할수 있다. 송곳처럼 점찍은 흉터모양으로는 여드름 흉터, 점뺀 흉터, 수두 흉터, 대상 포진 흉터 등이 있다. 한의학적으로 파인 흉터는 튀어나온 흉터에 비교하여 치료가 잘된다.
얼굴에 있는 성형흉터도 흉터를 남길수도 있는데 서울 서초구 서초동 1320 윤빌딩 4층 전화02-3482-0075 www.jahyangmi.co.kr 지하철 2호선 강남역 8번출구 자향미 한의원에서 흉터침으로 흉터를 제거하고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도와주게 만들어줄 수 있다. 화상흉터로 자가 피부 이식수술을 받는 경우에도 화상후 흉터침인 BT침이 수술 가장자리 부위에 남은 흉터까지 치료가 가능하게 한다.
This post recieved an upvote from minnowpond. If you would like to recieve upvotes from minnowpond on all your posts, simply FOLLOW @minnowpond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