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가 옳다, 도올 김용옥, 도가도비상도, 도덕경, 천하개지미지위미, 아름다움과 추함 ,도덕경, 추할오, 마녀사냥, 무명 천지지시, 유명, 만물지모, 유형유명지시, 상무욕이관기묘

in kr •  4 years ago 

노자가 옳다, 도올 김용옥, 도가도비상도, 도덕경, 천하개지미지위미, 아름다움과 추함 ,도덕경, 추할오, 마녀사냥, 무명 천지지시, 유명, 만물지모, 유형유명지시, 상무욕이관기묘

「老子」 王弼注

  1.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도라 말 할 수 있는 도는 항상된 도가 아니고, 이름 부를 수 있는 이름은 항상된 이름이 아니다.
    可道之道, 可名之名, 指事造形, 非其常也. 故不可道, 不可名也.
    말할 수 있는 도와 이름 부를 수 있는 이름은 사를 가리키고 형(같은 구체적인 사물)을 만드므로, 항상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도는 말할 수 없고 이름 붙일 수 없다.
    無, 名天地之始, 有, 名萬物之母.
    무는 천지의 시작을 이름이고, 유는 만물의 어미를 말한다.
    凡有皆始於無, 故未形無名之時, 則爲萬物之始.
    무릇 유는 모두 무에서 시작하므로, 아직 드러나지 않고 이름이 없는 때가 만물의 시작이 된다.
    及其有形有名之時, 則長之, 育之, 亭之, 毒之, 爲其母也.
    형체가 드러나고 이름이 있는 때에 이르러서는 그것을 자라게 하고, 길러주고, 형체를 드러나게 해주고, 완성시켜주니 (有는) 그 어미가 된다.
    言道以無形無名始成萬物, <萬物>以始以成而不知其所以<然>, 玄之又玄也.
    도가 무형과 무명으로 만물을 시작하고 이루어주면 만물은 그것에 의해 시작되고 이루어지되 그렇게 되는 까닭을 알지 못하니 현묘하고 또 현묘하다는 것이다.
    故常無欲, 以觀其妙,
    그러므로 항상 무욕으로 그 신묘함을 바라보고,
    妙者, 微之極也.
    묘는 미세함의 극치이다.
    萬物始於微而後成, 始於無而後生.
    만물은 미세한 데서 비롯한 후에 이루어지며, 무에서 시작한 뒤에 생겨난다.
    故常無欲空虛, 可以觀其始物之妙.
    그러므로 항상 무욕하고 공허함으로 그 사물이 시작되는 신묘함을 관찰할 수 있다.
    常有欲, 以觀其徼(구할, 훔칠, 순찰할 요; 彳-총16획; jiào,jiǎo) .
    항상 유욕으로써 그 돌아감을 본다.
    徼, 歸終也.
    요는 돌아가 마침이다.
    凡有之爲利, 必以無爲用,
    무릇 유가 이로움이 되는 것은 반드시 무를 용으로 삼기 때문이다.
    欲之所本, 適道而後濟.
    욕심이 근본을 삼은 바는 도에 이른 후에야 제도되어진다.
    故常有欲, 可以觀其終物之徼也.
    그러므로 항상 유욕으로 만물이 순환해서 마치는 것을 볼 수 있다.
    此兩者, 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衆妙之門.
    이 둘는 같이 나왔으나 이름이 다르다. 같이 현이라고 부르니, 현묘하고 또 현묘하여 모든 신묘함의 문이 된다.
    • 兩者, 始與母也.
      두 가지란 시와 모다.
      同出者, 同出於玄也.
      같이 나왔다는 것은 현묘한 데서 똑같이 나왔다는 것이다.
      異名, 所施不可同也.
      이름이 다르다는 것은 적용되는 곳이 같을 수 없다는 것이다.
      在首則爲之始, 在終則爲之母.
      첫 머리에는 시라고 이르고 끝에서는 모라고 한다.
      玄者, 冥(也)黙(然)無有也,
      현이란 어둡고 고요히 텅 빈 것이다.
      始, 母之所出也.
      시는 모가 나온 곳이다.
      不可得而名, 故不可言同名曰玄.
      얻어서 이름 붙일 수 없으므로, 같이 현이라고 할 수도 없다.
      而言<同>謂之玄者, 取於不可得而謂之然也.
      같이 현이라고 말하는 것은 얻을 수 없는 것을 취해서 어떻게 표현할 수 없어서 그렇게 부른 것이다.
      <不可得而>謂之然, 則不可以定乎一玄而已.
      어떠어떠 하다고 이를 수 없으므로 하나의 현이라고 단정할 수만도 없다.
      <若定乎一玄>, 則是名則失之遠矣.
      만약 하나의 현이라고 단정한다면 그 이름은 크게 잘못된 것이다.
      故曰 玄之又玄也.
      그래서 현묘하고 또 현묘하다고 하였다.
      衆妙皆從(同)<玄>而出, 故曰 衆妙之門也.
      모든 신묘함이 다 현을 쫓아 나오므로, 모든 신묘함의 문이다라고 하였다.
      2장.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천하가 모두 아름다운 것이 아름다운 줄 알지만 이것은 보기 흉한 것일 뿐이다.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천하가 모두 착한 것으로 여기는 선함은 착하지 않을 뿐이다.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較,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
      그러므로 유와 무는 서로를 낳고, 어려움과 쉬움은 서로를 이루며, 길고 짧음은 서로 비교하며, 높고 낮음은 서로 바뀌고, 소리와 울림은 서로 어울리고, 앞과 뒤는 서로를 따른다.
      美者, 人心之所進樂也,
      아름다움이란 사람의 마음이 (자연히) 끌려 좋아하게 되는 것이요,
      惡者, 人心之所惡疾也.
      추함이란 사람의 마음이 미워하고 싫어하게 되는 것이다.
      美惡猶喜怒也, 善不善猶是非也.
      아름답게 여기는 것과 추하게 여기는 것은 기뻐하고 성내는 것과 같고, 착하고 착하지 않는 것은 옳고 그름과 같다.
      喜怒同根, 是非同門, 故不可得而偏擧也.
      기뻐하고 성내는 것은 뿌리가 같고, 옳고 그름은 문이 같으니 그러므로 한쪽편만 들 수가 없다.
      此六者, 皆陳自然不可偏擧之(明)<名>數也.
      이 여섯가지는 모두 저절로 그렇게 된 것이니 한쪽만 들 수 없는 명수(즉 개념)이다.
      是以聖人處無爲之事,
      그러므로 성인은 무위의 일에 처하고,
      自然已足, 爲則敗也.
      스스로 그러하면 이미 족하니 인위로 하면 실패한다.
      行不言之敎, 萬物作焉而不辭, 生而不有, 爲而不恃,
      말없는 가르침을 행하나, 만물이 일어나되 말하지(혹은 간섭하지) 않으며 생겨나되 소유하지 않으며, 작위하되 뽐내지 않으며,
      智慧自備, 爲則僞也.
      지혜가 이미 갖추어져 있으니 일부러 하면 거짓이 된다.
      功成而弗居.
      공이 이루어지되 (공이 있는 곳에) 거처하지 않는다.
      因物而用, 功自彼成, 故不居也.
      사물(의 본성)에 따라서 쓰니, 공이 상대로부터 이루어지므로 (자신은 공에) 거처하지 않는다.
      夫唯弗居, 是以不去.
      다만 거처하지 않으니, 그래서 떠나지도 않는다.
    • 使功在己, 則功不可久也.
      공이 자신에게 있도록 하면 공이 오래갈 수 없다.
      3장.
      不尙賢, 使民不爭,
      현명함을 숭상하지 않음으로써 백성들이 다투지 않게 하고,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음으로써 백성들이 도둑질하지 않게 하며,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욕심낼 만한 것을 보이지 않음으로써 백성들의 마음을 어지럽지 않게 한다.
      賢, 猶能也.
      현은 능력이다.
      尙者, 嘉之名也.
      상이란 아름답게 여기는 것을 말한다.
      貴者, 隆之稱也.
      귀란 높임을 지칭한다.
      唯能是任, 尙也曷爲?.
      능력있는 이에게만 (제대로) 맡긴다면, (다른 이를) 숭상하여 무엇하리오?
      唯用是施, 貴之何爲.
      쓸모 있는 것만을 베푸는데, (굳이 다시) 귀히 여겨서 무엇하리오?
      尙賢顯名, 榮過其任, 爲而常校能相射.
      능력을 숭상해서 이름을 드러내면 영예가 자기가 맡은 것을 넘어서게 되므로 작위함으로 늘 비교하면서 능력으로 다투게 된다.
      貴貨過用, 貪者競趣, 穿窬(협문 유; 穴-총14획; yú)探篋(상자 협; 竹-총15획; qiè), 沒命而盜.
      재화를 귀하게 여기고 씀씀이를 지나치게 하면 탐욕스런 사람들이 다투어 몰려들어, 결국은 벽을 뚫고 상자를 뒤져 목숨을 잃을 때까지 도둑질할 것이다.
      故可欲不見, 則心無所亂也.
      그러므로 욕심낼 것을 보이지 않는다면 마음이 어지러울 까닭이 없다.

是以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
그러므로 성인의 다스림은 그 마음을 비우고 그 배를 채우며,
心懷智而腹懷食, 虛有智而實無知也.
마음은 꾀를 품고 배는 음식을 품는다. 그러므로 (영악스런) 꾀를 비우고 (순박한) 무지를 채운다.
弱其志, 强其骨.
그 뜻을 약하게 하고 그 뼈를 강하게 한다.
骨無知以幹, 志生事以亂.(心虛則志弱也)
뼈는 무지함으로써 줄기가 되고, 뜻은 (쓸데없이) 일거리를 일으켜서 어지러워진다. (마음을 비우면 뜻이 약해진다)
常使民無知無欲,
항상 백성들로 하여금 무지하고 무욕하게 하고,
守其眞也.
그 참을 지킨다.
使夫智者不敢爲也.
저 꾀 있는 자들로 하여금 감히 작위하지 못하게 한다.

  • 智者, 謂知爲也.
    꾀란 앎으로 작위함을 말한다.
    爲無爲, 則無不治.
    무위를 하면 다스리지 못함이 없다.

4장.
道, 沖而用之, 或不盈, 淵兮似萬物之宗.
도는 비어서 쓰니 혹 차지 않은 듯하고, 깊숙함이 만물의 근원인 것 같다.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湛兮似或存,
날카로움을 무디게 하고, 엉킴을 풀고, 번쩍거림을 부드럽게 하고, 더러움을 같이 하니, 맑고 그윽함이 혹 있는 듯하다.
吾不知誰之子, 象帝之先.
나는 도가 누구의 아들인지 알지 못하니 상제보다 앞서는 것 같다.
* 夫執一家之量者, 不能全家,
저 일가를 다스릴 만한 역량만 가지고 있는 사람은 집안을 온전하게 할 수 없고,
執一國之量者, 不能成國,
일국을 다스릴 만한 도량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나라를 편안히 할 수 없다.
窮力擧重, 不能爲用.
왜냐하면 온 힘을 다해서 무거운 것을 들고 있으면, (더 이상 다른 곳에) 쓸 수가 없기 때문이다.
故人雖知萬物治也, 治而不以二儀之道, 則不能贍也.
그러므로 사람이 비록 만물을 다스릴 줄 알더라도, 다스림에 이의의 도로써 하지 않으면 넉넉할 수 없다.
地雖形魄, 不法於天則不能全其寧,
땅은 비록 형체가 정해져 있지만 하늘을 본받지 않으면 그 편안함을 온전히 할 수 없고,
天雖精象, 不法於道, 則不能保其精.
하늘은 비록 상이 정밀하지만 도를 본받지 않으면 그 정미함을 보존할 수 없다.
沖(빌 충; 水-총7획; chōng,chòng)而用之, 用乃不能窮.
빈 채로 쓰면, 다함이 없으나
滿以造實, 實來則溢.
가득 채워서 실체를 만들면, 가득 채워진 실체는 넘치게 된다.
故沖而用之又復不盈, 其爲無窮亦已極矣.
그러므로 비워서 쓰고 또 다시 채우지 않으니 그 무궁함이 또한 이미 지극하다.
形雖大, 不能累其體, 事雖殷, 不能充其量.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