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동파(蘇東坡) 시인이 말하길 오징어가 물위에 떠 있는 것을 까마귀가 보면 죽은 물고기가 물 위에 떠있는 줄 알고 쪼아 먹으려고 할 때 오징어는 잽싸게 두 수염으로 까마귀를 칭칭 감아서 물속으로 끌고 들어가서 잡아 먹는다고 했다. 그해서 오징어가 오적어(烏賊魚)란 이름을 얻었다. 오(烏)는 "까마귀" 를 일컬으며 적(賊)은 "도둑" 또는 "죽인다" 는 뜻이다.
오징어와 비슷한 동물로 문어가 있는데 이는 둘 다 비늘이 없고 공격을 받을 때 먹물을 뿜는 공통점이 있다. 문어 먹물과 오징어의 먹물은 성분으로는 같은 성분인 단백질로 만들어진 멜라닌 색소로 되어 있다. 문어의 먹물은 매끈하기 때문에 물에서 더욱 확산이 잘되기 때문에 적의 시야를 가린 뒤 안 보이는 틈을 타 도망간다. 오징어의 먹물은 점착력이 강해서 바다 속에서 덩어리가 지는 특성을 갖고, 그 뭉쳐진 먹물 덩어리가 실제 오징어처럼 보이게 하여, 그 먹물로 만들어진 오징어가 자기 대신 공격을 받고, 실제 오징어는 유유히 도망간다. 약간 차이가 있고 성분은 단백질로 만들어진 멜라닌 색소로 별 차이는 없다.
여기에 나오는 멜라닌 색소도 우리 몸의 피부에 존재한다.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과 진피에 존재하며 멜라닌 세포에서 만들어진다. 튼살 치료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이미지한의원의 튼살의 침치료 중에는 염증이 발생하여 처음에는 시술부위가 붉게 되었다가 나중에는 점점 검거나 갈색이 된다. 이런 반응을 의학적으로 염증 후 색소침착(PIH, post 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이라고 한다. 색소침착은 자극정도에 따라 유지되는 기간이 달라질 수 있는데 침 치료 후 2~3주 정도 지속되는 경우가 보통이고 피부에 따라서 몇 개월 유지되기도 한다. 그리고 색소침착이 빠지고 정상 피부로 돌아오게 된다. 이 염증 후 색소침착을 만드는 것도 멜라닌 색소로 실제 자외선을 받을 때 기미가 끼는 것도 멜라닌 색소의 작용이다. 이 멜라닌 색소는 나쁜 물질이 아니라 문어나 오징어가 적을 향해서 방어하는 것처럼 외부의 자극에 대항하기 위한 유익한 물질이다. 단지 미관상 검은 색소침착이 나빠 보일 뿐이며 정상적인 생리적 반응이므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 염증 후 색소침착은 시간이 지나면 해결되며 비타민C를 먹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Warning! This user is on our black list, likely as a known plagiarist, spammer or ID thief. Please be cautious with this post!
If you believe this is an error, please chat with us in the #appeals channel in our discord.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