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다] 소설 <채식주의자>를 통해 본 폭력의 역사

in kr •  7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GoYou입니다.

추석 연휴 잘 보내고 계신가요?

첫 포스트 자기과잉(Big Me)의 시대를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 에 이은 두번째 [읽다] 입니다.

오늘 같이 읽을 책은 소설가 한강의 <채식주의자>입니다. 이 소설은 한국 최초의 영국 맨부커상(Man Booker International Award) 수상작으로 유명세를 치뤘던 소설입니다. 하지만 독자들의 평이 극단적으로 갈리는 소설이기도 한데요, 한번 같이 읽어보겠습니다.

Screen Shot 2017-10-04 at 16.07.41.png

한강(지은이) / 창비 / 2007년

채식주의자란?

[명사] 고기류를 피하고 주로 채소, 과일, 해초 따위의 식물성 음식 위주로 식생활을 하는 사람 (네이버 국어사전)

<채식주의자>를 본격적으로 읽기 전에 채식주의자의 정의부터 찾아봤습니다. 문학 전공자로서 갖게 된 오랜 습관 중 하나. 바로 어떤 단어를 접하든 간에 사전적 정의부터 정리하는 것입니다. 네이버 국어사전에 따르면, 채식주의자는 '식물성 음식 위주로 식생활을 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그렇다면, 왜 작가는 '채식주의자'란 제목을 택했고, 실제로 소설 속 주인공 영혜는 왜 '채식주의자'가 되었을까요? (아니, 적어도 그렇게 독자들의 눈에 보였을까요?)

스스로를 '-주의자(-ist)'라 정의하는 것


잠깐 책을 떠나 제 개인적인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한때 제 친구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말이 있습니다. 바로 스스로를 '-주의자(-ist)'로 지칭하는 것이었습니다.

가령 '육식주의자' 같은 싱거운 농담부터, '먹고사니스트' 같은 짠내 나는 자조에 이르기까지. '-주의자'의 세계는 넓고 깊고 때로는 우스꽝스러웠습니다. 당시 저와 제 친구들은 그 순간의 정체성을 담아, 스스로를 '-주의자'로 정의내리고, 또 불리길 바랐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뒤늦게 깨달았습니다. 우리들의 싱거운 장난과 달리 '-주의자'가 생각보다 무서운 단어란 사실을요.

내가 어떤 인간으로 정의되는 순간이 늘 찾아오기 마련입니다. 가까운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저 사람은 참 부지런한 친구야' 같은 인물평 역시 특정한 틀에 한 사람을 규정 짓는 말입니다. 좀 더 깊게 들어가 볼까요? '이 사람은 친북좌파입니다' 단순한 정의 또는 사실처럼 말하지만, 그 문장이 사용되는 사회적 맥락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이미 부정적인 평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모든 종류의 정의 내리기는 필연적으로 나와 / 그 밖의 사람들로 보이지 않는 경계를 만들게 됩니다.

경계(border) 와 질서(order)


나를 제외한 타자를 특정한 틀에 맞춰 정의내리는 순간, 나와 타자 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경계가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한국처럼 사회적 동류 집단 압력이 거센 곳에서 나와 다른 사람간의 경계(border)는 곧 바로 잡아야 할 질서(order)가 되기 마련입니다.

내가 스스로 질서가 되는 순간, 나를 제외한 타자들에게 스스로가 부여한 질서를 알게 모르게 강요하는 일이 생기기 십상입니다. 이미 우리는 지난 역사 속에서 이 같은 장면은 끊임없이 목격한 바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치독일의 인종청소가 그랬습니다. 게르만 민족의 순수한 혈통을 보존하기 위한 위대한 국가사업은 그 외 민족을 학살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누군가에게 폭력의 역사는 곧 또 다른 누군가에게 질서의 역사였습니다. 그 질서의 역사는 바로 나와 다른 무언가: 곧 경계(border)에 대한 인식에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정상과 비정상, 비채식주의자와 채식주의자


다시 소설로 돌아와서, 그렇다면 소설 속 주인공인 영혜가 <채식주의자>란 사실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사실 총 3편의 연작소설을 끝까지 읽어보면, 영혜는 채식주의자라기 보다 일체의 먹는 행위를 거부하는 극단적인 생태주의자처럼 보입니다)

제가 읽은 소설 <채식주의자>는 아래와 같은 틀을 갖습니다.

인간이 한 생명체로서 갖는 기본적인 '먹는' 행위를 '정상 / 비정상''비채식주의자 / 채식주의자' 로 대립시킵니다. 그 대립항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용인되는 정상과 그렇지 못한 비정상간의 폭력적인 경계짓기를 드러냅니다.

가령, 소설 속 영혜의 남편은 '갑자기 다른 사람이 되버린 듯한' 아내를 원망합니다. 그녀를 원래대로, 아니 '정상적인 상태'로 되돌리려고 합니다. 애초 그가 영혜를 단 한순간도 사랑한 적이 없었다는 사실은 제외하구요.

또 영혜의 가족들은 어떤가요? 영혜의 유년시절 완전한 분노와 공포의 추체험을 하게 만든 폭력적인 아버지의 모습. 또 그녀를 자신의 욕망을 위해 이용하려는 형부의 태도 역시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이처럼 평범한 사람들이 영혜 한 사람에게 가한 폭력의 원인은 그녀가 채식주의자여서가 아닐 겁니다. 그녀가 '우리와 다른 무언가'란 의심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나와 전혀 다른 누군가, 아니 무언가. 경계를 곧 질서가 되고, 질서는 곧 폭력이 됩니다.

너는 어느 쪽이냐고 묻는 말들에 대하여


'내가 믿는 건 내 가슴 뿐이야. 난 내 젖가슴이 좋아. 젖가슴으론 아무도 죽일 수 없으니까. 손도, 발도, 이빨과 세치 혀도, 시선마저도 무엇이든 > 죽이고 해칠 수 있는 무기잖아. 하지만 가슴은 아니야. 이 둥근 가슴이 있는 한 난 괜찮아.
(책 <채식주의자> 중)

한강의 <채식주의자>는 한때 평범했던 여자가 알 수 없는 꿈을 꾼 뒤, 먹는 행위의 변화에서 시작되어 결국에는 모든 관계를 파탄으로 맞이하는 일종의 수난극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소설이 빛나는 이유는 바로 여기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 내재된 일상적 폭력의 징후를 스스로를 식물로 여긴 - 종국에 식물인간과 다를 바 없게 되는 - 한 여자를 통해 처연한 아름다움으로 드러낸 것입니다.

언제부턴가 우리 사회에서 '너는 어느 쪽이냐'고 묻는 말들이 출몰하는 빈도수가 부쩍 잦아진 것 같습니다. 물론, 그 뒤에 꼭 따라붙는 '니가 내 편인지 아님 다른 편인지' 경계 짓기의 사고 과정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비단 정치적 당파성뿐만 아니라, 너와 나의 다름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사회적 규범의 폭이 보다 넉넉한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와 좋은글 잘읽고갑니당. 무언가의 정체성을 쉽게 단정할수록 그 사회의 다양성이 줄어드는것 같습니다. 마지막 말씀이 인상깊네요.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잘 읽었습니다 뉴비입니다 잘 부탁드릴게용 ^^

Congratulations @jaekij! You have received a personal award!

1 Year on Steemit
Click on the badge to view your Board of Honor.

Do not miss the last post from @steemitboard:

SteemitBoard - Witness Update
SteemFest³ - SteemitBoard support the Travel Reimbursement Fund.

Support SteemitBoard's project! Vote for its witness and get one more award!

Congratulations @jaekij!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2 years!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