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는 공부를 할 수록
신기한 것 같다.
public class Test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i1");
System.out.println("Hi2");
System.out.println("Hi3");
System.out.println("Hi4");
System.out.println("Hi5");
}
}
상당히 기본적인 코드이다.
Hi1~Hi5라는 내용을 출력을 한다.
print 와 println의 차이는
line을 통해 한 줄을 띄우냐 띄우지 않느냐의 차이이다.
Console 창에 출력되는 내용은
Hi1
Hi2
Hi3
Hi4
Hi5
라는 내용이 출력이 될 것이다.
하지만, Java의 기능이 이런 식으로 간단한 작업만 가능하다면
여러가지 프로그램은 등장하지 않았을 것이다.
- 변수를 배워보자!
신기한 개념이 등장한다. 바로 "변 수"
코드를 보면서 이해하는 게 빠르다.
다음과 같이 간단한 코드를 작성해보면
3번째 줄에서
1차 방정식
2차 방정식 등 고등학교에서 많이 봤던 친구들이 등장한다.
x와 y.. 이 친구들을 이용해서 원하는 값을 얻어내고 싶다.
public class Test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x, y, sum; //변수 선언
x = 50; // x 변수에 50이라는 값 대입
y = 30; // y 변수에 30이라는 값 대입
sum = x + y; // x와 y의 합을 sum 변수에 대입
System.out.println(sum); // sum 값을 출력
}
}
int x; 라고 코딩을 하면
데이터형이 integer(정수형)인 x라는 변수를 선언하는 것이다.
데이터형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 데이터형은 추후에 다루도록 한다.
1, 2, 3은 정수이다.
하지만! 1.1, 2.2 등은 실수형이므로
오류가 발생한다.
(못 믿는 사람은 해봐도 된다.)
코드를 다시 보면
x 변수에는 50이 들어가 있고
y 변수에는 30이 들어가 있다.
sum은 특이하게 숫자가 들어가 있지 않고
x + y 가 우측에 위치한다.
Java에서
=은 같다라는 등호가 아니다.
a = b라고 하면
a는 b와 같다가 아니고
b에 있는 값을 a에 대입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sum = x + y; 를 보면
x와 y의 합을 sum이라는 변수에 대입을 하는 것이다.
그러면 sum에는 50과 30의 합인
80이 대입된다.
마지막으로 sum을 출력하면
80이라는 값이 출력된다.
- 연산자 대신에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 등의 연산자도 사용가능하다.
나누기와 나머지의 차이도 추후에 다루려고 한다.
puyol0420!! Thank you, your Post.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I appreciate your comment, Thank you.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외부 이모티콘 사용은 후에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지우심이 좋아보입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피드백 감사합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