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비유해서 적어보는 EOS.IO의 미래

in kr •  7 years ago  (edited)

많은 분들이 이해라도 하시고 제 생각이 맞는지 확인하려고 글을 쓰는데 이해하기 어려우신 듯 합니다. ㅠㅠ

이전 글 주소 : https://steemit.com/kr/@riverh/eos-token-coin

그래서 이해하기 쉽도록 완벽하진 못하더라도 비유를 해서 글을 한 번더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이더리움과 비교를 하겠습니다.

블락원에서는 새로운 "땅"을 만들었습니다. 그 "땅"의 이름은 EOS.IO라는 이름의 땅입니다. 땅의 소유권은 EOS Coin(=현재의 Eos Token)으로 지금 ICO를 통해 분양을 하고 있습니다. (분양 받은 사람들은 땅값이 비싸지기를 가장 원하고 있습니다.)

이 땅에는 좋은 기술력 덕분에 도로와 기본 시설들이 잘 마련되어있습니다.

그리고 DPOS 방식을 채택한 땅에서는 21명의 국회의원을 뽑아야 합니다. 국회의원 후보의 조건으로는 일정 양 이상의 땅(EOS코인)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뽑는 방식은 투표를 통해서 뽑고 1인 1투표제가 아닌 1코인 1투표제입니다. 즉 코인을 많이 가질 수록 투표를 많이 할 수 있는 것이죠.

국회의원들이 하는 일은 우선 땅이 더 잘 형성되게 노력을 합니다.(어떠한 노력일지는 6월 이후 자세히 나올 듯 합니다., 참고로 스팀잇에서는 스팀달러 가격을 조정하는 역할과 커뮤니티가 잘 돌아가도록 만드는 역할 등이 있죠.) 그리고 땅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일을 하고 땅을 조금 씩 넓혀 가는 일을 합니다.(CPU, RAM, STORAGE를 이용해 블록을 유지시키고 인플레이션 시키죠.)

국회의원들이 힘들여 넓힌 땅의 일부분을 자신들의 봉급으로 받게 됩니다. 100% 모두 받지 않고 일부는 땅 값이 오르게 노력을 해줬다고 땅 주인들의 투표를 통해 인정받은 가게(dapp) 주인들에게 돌아가게 됩니다.

땅 위에 빌딩을 세우려고 하는 사람들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서 빌딩은 플랫폼 코인이라 볼 수 있습니다. A빌딩(A회사의 코인과 블록체인)과 B빌딩(B회사의 코인과 블록체인)들이 만들어졌고(이 부분이 현실적이지는 못합니다.) EOS.IO 땅에 세워지고 싶어 합니다.

땅에 세워지기 위해서는 땅의 주인(EOS Coin 소지자)의 15% 이상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빌딩이 세워지기 위해서는 EOS 코인이 필요합니다. 빌딩을 세울 땅이 필요한 것이죠. 빌딩이 크면 클 수록 더 많은 코인을 필요로 합니다.

땅 위 또는 빌딩 안에 가게를 세우려는 사람들도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서 가게는 dapp이라 볼 수 있습니다.

가게를 세우기 위해서도 EOS 코인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가게 주인이 코인을 살 돈이 없네요. 그 때 땅을 만들 때 지원 받은 돈을 가진 블락원이 도와줍니다.(현재 VC와 파트너십을 맺는 과정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가게가 잘 된다면 블락원 입장에서는 땅 값이 올라 좋고, 가게의 입장에서는 지원 받아서 좋은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상황이 연출됩니다.

이 과정에서 가게는 자신의 장사가 잘 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땅 소유자들에게 자신의 포인트(에브리피디아의 경우 iq토큰)를 에어드랍 해줄 수 있는 것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나중에 한 번더 알기 쉽도록 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블락원이 VC와의 계속되는 파트너십은 더 좋은 가게를 발굴해서 땅 값을 올리겠다는 의지입니다. 처음에는 구멍가게인줄 알았지만 그 가게가 파리바게트가 될지 베스킨라빈스가 될지 모르기 때문에 투자를 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만약 그런 가게들이 에어드랍을 해준다면 에어드랍 만으로도 상당한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땅이 좋다는 것을 알면 빌딩(플랫폼)을 짓기 위해 기업들이 들어 올 수 있겠지요. 그리고 그 빌딩(플랫폼)이 좋다면 그 안에 가게(dapp)를 만들 것이고 빌딩(플랫폼)의 가격이 상승 되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오픈 소스기 때문에 이와 똑 같은 땅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땅은 똑같더라도 그 곳에는 빌딩과 가게는 없겠지요.

유저들은 빌딩(플랫폼)과 가게(dapp)을 하나의 땅위에 지어져있다는 이유만으로 하나의 계정으로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POS방식과 비교를 하면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POS를 이용한 빌딩은 빌딩 속에 가게를 만들 때 가게 주인의 돈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시민이 가게를 이용하려면 입장료가 필요하죠.

DPOS를 이용한 회사 빌딩은 가게를 만들 때 가게 주인이 돈을 내야하지만 시민들은 가게를 이용하기 위한 입장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어느 빌딩이 더 많은 고객을 불러올까요. 저는 이 것이 DPOS방식 즉 EOS의 강점이라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다음에는 발그림일지라도 그림으로 보기 쉽도록 적어보겠습니다.)

잘못된 비유나 잘못된 정보에 대해서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흥미로운 글 잘 봣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보팅 리스팀 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당!!

이오스 저도 관심많아요~^^

토지에 빗대어 설명해주시니 이해가 잘되네요. 감사합니다.

불금이 기다립니다!
짱짱한 불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