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ypto Currency] 에듀쿠프(Educoop, WEDU) - 블록체인 교육 콘텐츠 플랫폼
교육은 국가의 백년대계를 결정한다는 의미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2명의 부총리는 사회부총리와 경제부총리로 나누어져 있고, 사회부총리는 교육부 장관이 겸임하게 되어있는데, 이는 그만큼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한다고 보아도 좋을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교육 제도는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교권이 땅에 떨어졌다는 평가와 함께 대학교를 가기 위해 학교를 다니는 학생들의 현실, 그리고 취업을 위해 대학을 졸업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와중에 자녀들을 선진국에 유학이나 이민을 보내려고 하는 부모들도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교육 콘텐츠 역시 공교육과 사교육으로 나뉘어져 통합적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그 질적 차이 또한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혹은 새로운 교육 콘텐츠나 시도가 기록되지도 못하고 무너지는 경우가 매우 많이 있습니다.
Educoop는 이러한 교육계의 문제를 타파하고, 교육에 관련된 데이터를 종합해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평생에 걸친 교육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교육 설계자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Educoop가 추진하는 방식은 빅 데이터로 정립되고 분류된 교육 콘텐츠와 분석을 Educoop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등록 후 평생 기록하고 관리하도록 등록하도록 합니다.
API와 SDK를 통해 교육단체들에 제공해 콘텐츠와 데이터를 연계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사용자를 분석해 이를 기록하고 분석하며, 이를 A.I를 이용해 정립해내어 사용자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 및 교육에 대한 조언을 해주도록 합니다.
Educoop의 목적은 세계에서 교육적 격차를 발생하지 않으며, Educoop의 사용자는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교육을 복지와 같이 제공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블록체인을 통해서 보안성이 높으며, 신뢰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우선 교육열로 이름 높은 대한민국 시장을 시작으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로의 확장과, 미주 시장으로의 진출을 꾀하며 최종적으로는 전세계 시장의 교육 시장에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사회적 협동을 통한 상생을 이루어내고, 대한민국 뿐 아니라 전 세계 사람들이 교육에 대한 접근을 평등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입니다.
접근하는 콘텐츠는 공교육과 사교육을 가리지 않으며, Udacity라는 미국 공교육, EBS라는 한국 공교육을 섭렵하여 학습자 중심의 Illich learning Web을 구축하고 기존 교육 사업에 들어가던 비용들을 끌어들여 새로운 형태의 공증받는 교육 구조를 만들고자 합니다.
Educoop의 수익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들과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관들을 스마트 컨트랙트로 연결하며, 이 과정을 지원하는 수수료를 받습니다. 이는 Saramin의 수익 구조와 동일하여 자체제작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해줄 경우에도 이러한 구조를 적용 시킵니다.
사용자에게 교육에 대한 상담을 진행하고 비용을 지급받습니다. 해당 비용은 상황 및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Educoop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할 것입니다.
Educoop의 콘텐츠는 Educoop에서 생산된 콘텐츠와 제공된 콘텐츠로 나뉘게 되는데 저작권 및 유지비용의 절감을 통해 제공된 콘텐츠가 얻게되는 수익은 지급해주면서 비용을 낮추어 수입을 극대화할 예정입니다.
제휴 및 광고를 통해서도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에 여러 기업 및 기관들이 얻는 수익의 구조와 동일한 형태입니다.
Educoop는 사용자를 하나의 계정, 평생교육을 제공할 생활기록부를 만들어 진학, 진로를 비롯한 전체적인 교육의 틀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개인이 입력한 주관적인 자료 뿐 아니라, 공공기관, 사설학원 등에서 정보를 받아와 분석을 하게 됩니다.
Educoop 내에서 사용자는 멘토이자 멘티가 될 수 있습니다. 멘토들은 50%의 보상과 50%의 기부를 시행하는데, 멘토가 생성된 정보가 인정받으면 이를 가져갈 수 있고, 기부는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비용으로 쓰이게 됩니다.
플랫폼 내부의 콘텐츠는 학업 교육, 취미 생활로 구분하여 운영하며, 저작권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영화 및 만화 등 콘텐츠 일체를 허용하며, 직성, 심리 검사, 적성 검사, 이력서 등도 취급하며, 사용 및 구매에 WEDU를 사용합니다.
Educoop는 WEDU라는 토큰과 WEDUPO 라는 토큰이 존재하는데, WEDU는 서비스 사용자 및 토큰 소유자와 투자자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WEDUPO는 Educoop 플랫폼 내에서만 사용되며, 콘텐츠 소비 및 부가 서비스 사용과 보상으로 제공되며, 고정된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Educoop의 사업 진행을 살펴보면 개인이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며, 그를 위한 콘텐츠 확보가 핵심이 되는 구조입니다. 그리고 다루는 사업 분야를 세분화하여 수집된 빅데이터 별로 최적화된 교육을 제공해주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은 사교육이 굉장히 발달되고 시장도 형성되어 있는 국가입니다. Educoop의 노량진 빌딩 건축을 시작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해나갈 것이며, 이를 위해 한국 사교육 시장에 종사하는 인물들이 팀에 구성되어 있습니다.
공무원을 지원하는 고시 지원자들, 취업을 위하는 구직자들, 대학입시를 원하는 학생들, 영어 교육을 원하는 유아교육시장 등을 타겟으로 삼아 해당 교육시장을 점령하는 학원과 기업들의 인수 및 제휴를 통한 데이터 확보 및 콘텐츠 확보를 실시하고, 이 데이터들을 빅데이터화하여 적합한 사용자에게 제공해주게 됩니다.
해외 시장은 한국에서의 사업을 바탕으로 진출할 예정이며, ST UNITAS의 협업으로 중국, 베트남을 우선 진출하며, 해외 기업들의 콘텐츠 제휴를 통해 시장 확보를 해나갈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Educoop의 사업적 흐름을 따라간다면 사용자가 개인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서비스에서 사용자에게 교육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진로 설계를 해줄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추천과 평가를 받게 되면서 내부 콘텐츠의 질을 높이게 되며, 취업자들을 위한 매칭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까지 목표로 합니다.
Educoop는 Ethereum을 기반으로 구축하여 ERC20이면서, EVM을 통해서 구축되어 EOS 등 다른 플랫폼에서도 토큰이 호환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와 블록체인, 분산 저장소 등의 3가지로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어플리케이션은 Educoop의 사용을 위한 핵심 부분이며, 사용자, 제공자, 교육 기관, 프로슈머의 4종류로 계정을 분리하고 계정에 따라 사용가능한 권한과 영역을 구분합니다.
Educoop의 교육 콘텐츠, 사용자 개인정보 등의 자료는 블록체인의 공간의 한계가 있어 블록체인과 더불어서 분산된 저장공간을 사용하여 저장될 예정입니다. 서비스와 블록체인은 연결되어 있으며, EVM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블록체인에 적용되고, 분산 저장소의 입출력은 블록체인의 해쉬값을 사용해 외부와의 연동과 데이터 최소화를 구축합니다.
Educoop의 로드맵입니다.
2017년 9월 블록체인 기술과 빅데이터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2018년 1월 노량진을 중심으로 한 공무원 시장과 대입 시장, 유아교육 및 해외 교육 콘텐츠 업체와 제휴를 합니다.
2018년 2월 Eudcoop 의 콘텐츠를 담당할 전문가 그룹과 데이터를 관리할 데이터 팀을 출범합니다.
2018년 3월 홍보 및 피드백을 할 커뮤니티를 운영합니다.
2018년 5월부터 6월까지 판매 및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2018년 9월 Educoop 베타 서비스와 시범 서비스를 진행합니다.
2018년 9월 교육 관련 기업들을 선정해 M&A를 진행합니다.
2018년 12월 시범 서비스 데이터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합니다.
2019년 2월 메인 서비스를 시행합니다.
2019년 3월부터 한국에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행합니다.
2019년 9월 중국, 대만, 베트남 등 해외 시장을 진출합니다.
2019년 9월 미국, 일본 등으로 시장 확대를 실시힙니다.
Educoop의 팀원들입니다.
Head Director는 법대를 졸업한 경력 외에는 밝혀진게 없습니다.
CEO는 교사를 맡다가 Educoop에 참여하였습니다.
Chairman인 Youngjin Tak은 숙명여대 교수와 고시학원 이사장을 역임했었습니다.
CTO는 안드로이드 앱과 서버 개발을 했었습니다. OrangeRose에서 1년간 CTO로 근무했습니다.
Main Developtor Peter는 10여년간 종사한 경력이 있다고 하지만 어디서 어떤 경력을 가졌는지 공개하진 않았습니다.
Steve Kim은 Ethereum의 응용 개발자이자 15년차 IT 엔지니어지만, 어떤 개발을 했는지는 밝혀진게 없습니다.
Educoop 어드바이저진입니다.
Bon-Choel Koo는 인천에서 국회의원에서 당선되었던 사람이며, KT 상무이사, U-City 국장, 모바일 통신 기업 Telnetware 회장직을 역임했습니다.
Kihyun Kim은 법무법인 광장의 어드바이저이자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의 부은행장을 했었습니다.
Dr. Yeonok Kim은 한경닷컴콤파스 뉴스 대표를 맡고 있고, 청와대 정무수석실, 연설기록 등을 담당했었던 사람이라고 합니다.
Eudcoop의 파트너사입니다.
교육 콘텐츠 업체와 블록체인 업체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교육업체는 VitaEDU, 고시마당, 고려직업전문학교, 해커스임용 등 대한민국에서 이름있고 유명한 교육 사기업들이 제휴 업체로 추가되어져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거래소인 Zeniex와 저작권 관련인 Nper가 있고, TRAUM과 Block Pirates가 블록체인 제휴업체로 되어있습니다.
Educoop는 고등교육에 대한 욕구가 만들어낸 교육 시장을 향한 블록체인 교육 시스템입니다.
블록체인의 기술이 가진 특징과 빅데이터를 접목해 사용자에게 가장 필요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공무원 시험, 대학입학에서 시작해서 취업준비, 영유아 교육으로도 확대해 나가 교육이 포함할 수 있는 모든 영역을 Educoop의 서비스 안에 담으려고 한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교육 콘텐츠입니다. 사실 사용자의 중요성은 어떤 코인에서든 마찬가지겠지만, 교육 콘텐츠는 확실한 결과물을 내어놓는다면 손님을 모으기 매우 쉬운 시장입니다.
반대로, 그런 시장이기 때문에, Educoop가 아니더라도 기존의 사교육 기업들이 Educoop에 참여할 요인이 있는 것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 할 듯 합니다.
Educoop가 현재는 제휴를 통해 교육 콘텐츠를 제공받고 연계해주는 역할을 하지만, 만약 직접적인 콘텐츠 생산을 추구한다면, 현재 구축중인 생태계가 깨질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모두가 경쟁자가 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오프라인 시장과 온라인 시장을 구분지어서 영역을 나눈다면, 최적의 분업 환경이 조성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세계적으로 교육 콘텐츠를 연결해줄 수 있는 중개자이자 경쟁하는 사교육 기업들의 중개 플랫폼으로서 역할 한다면 Eudcoop는 현재의 경쟁적으로 나누어진 교육시장에서 생존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해낼 가능성도 있어보이지만, 이는 현재 Educoop가 원하는 방향과 맞아 보이진 않습니다.
Educoop의 팀원과 어드바이저는 법조관계자, 교육종사자들이 주로 이루어져 있고, 전직 국회의원같은 정계와 연결된 사람도 있습니다. 우선 공략 시장으로 선정한 대한민국 내에서는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겠지만, 블록체인 개발자들이 현재 공개된 정보로 살펴볼 때 개발 역량은 조금 미지수로 보여집니다.
Educoop : http://www.educo-op.io/?lang=en
Kakaotalk : https://open.kakao.com/o/gwkQy4F
Telegram : https://t.me/educo_op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lab.educoop.5
Medium : https://medium.com/@educoop.lab
백서와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확인이 불가능한 정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이 좀 더 분석을 해보시고 본인의 판단으로 투자를 진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저는 개인에게 투자를 권유하지 않으며, 참고를 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하고 있을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