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던 사회에서의 럭셔리 시장

in kr •  7 years ago 

A4C016BC-7A91-426B-B578-59BF6C58C2E7.jpeg

예전에 종종 보던 동아비즈니스리뷰(DBR)를 오랜만에 다시 구매했다. 그 중에서 <럭셔리 시장의 변화와 4차산업혁명>에 대해 설명한걸 보고 오...이런 변화도 있구나 해서 적어본다!
-출처: 동아비즈니스리뷰 2018년 1월판 p86-107

지금은 포스트모던 사회

모던 사회를 지나서, 지금은 포스트모던 사회이다. 한 때 미니멀리즘이 광풍을 일으킨걸 다들 기억하시는지? 이 사회의 특징은, “심플함”을 좀 더 중시한다는거다. 굳이 물건을 통해 남에게 입증할 필요가 있나?그것보다는 기술이 나의 삶을 1)얼마나 개선시키고 2)단순하게 만드는지에 관심이 많다.

그래서 달라지는, 달라져야만 하는 럭셔리 컨셉

1) 진정성 있는 럭셔리
더이상 과잉이 아니라, 진정성 있고, 순수한 럭셔리 제품들을 원한다.

2)퍼포먼스 럭셔리
알아서 다 해주는 컨셉이 아니라, 직접 소비자가 체험하게 해주는 것. 요가 하고싶으면 요가학원에 가는게 아니라, 아예 인도에 가서 직접 요가를 하고 오는거다!ㅋㅋ

3)저스트인타임 럭셔리
이건 한마디로 정의할 수 있겠다. 그들에게 부족한 것은 돈이 아니라, 시간이다 그러니 당연히 적시에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한다.

2AA9D174-8B9E-4C14-9460-D57156E889F1.jpeg

넷플릭스 빌리언스에서.

4)자기개발 럭셔리
정신건강 역시 중요시여기는 것.

5)책임감 있는 럭셔리
요즘 사회에 물의를 일으키면, 다들 불매하지 않는가. 소셜미디어의 무서움이자, 올바른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중!

6)지속가능한 럭셔리
글라스 하우스라고 해서, 이제 기업들은 다들 항상 관찰당하고 감시당한다. 제대로 하지 않으면 소비자들은 언제든 돌아설 수 있다.

그리고...이 산업에 다가오는 아마존과 알리바바 제국

아마존이 가장 잘 팔리는 카테고리가 3개 있는데, 바로 책. 가전제품. 그리고 의류다. 의류는 심지어 미국 전체내에서 19%를 차지한다고 한다.

아마존이 이번에 코웨이랑 합작해서 알렉사를 공기청정기 형태로 만들었다고 하는데, 아마존은 이제 우리가 언제 공기가 켜져야하는지까지에 대한 정보도 가져간다...ㄷ ㄷ

하드웨어가 아니라 소프트웨어 기술로 단단히 무장한 아마존이 이제 럭셔리 산업에까지 진출하게 된다면 그 파장은 정말 엄청나지 않을까...?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럭셔리의 의미가 달라지겠는걸요 ? 럭셔리한 사람이 되겠습니다 ㅎㅎ
좋은글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