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셉션, 크리스토퍼 놀란식 꿈의 해석

in kr •  7 years ago  (edited)

F9D13C27-9BBE-4942-9CA6-26B4A3D2D63D.jpeg

인셉션 중, 디카프리오....<3

영화보는 내내, '이야....' 와우.. 어떻게 이런생각을 할 수가 있지? 꿈이라는 소재가 무척 신선했고 감독이 프로이트의 꿈의해석을 읽은 게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난 읽지 않았지만, 고등학교 때 비문학 문제 풀면서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서 어떤 '방어 기제'라는 것이 작용한다는 글을 봤던 게 기억이 났다. 피셔의 꿈에서 등장했던 총든 무셔운 사람들은 그 방어기제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인다. 아님 말구...

이 영화는 토템처럼 상징적인 요소들이 많이 등장하는 것 같았다. 음..사실 내가 찾은 상징적인 요소는 무의식 속의 배우들을 쫓는 사람들과, 토템 뿐이므로 '많다'라고 표현할 수는 없지만..ㅠ.ㅠ

1주일, 10시간, 50년... 이런 식으로 꿈 속의 꿈 속의 꿈.. 1단계 2단계 3단계를 거칠 때마다 시간의 격차가 벌어지도록 설정해놓은 감독의 아이디어가 참 신선했다.

'생각해봐. 우리가 어떻게 까페에 오게 되었지?' '꿈은 과정을 생략해. 중간부분 부터 시작하지.'

참 이부분이 공감 되었다.
맨 첫장면에 나온 할아버님이 림보에 빠져버린 사이토의 모습이란 걸 후반부에 가서 알게되자...와....조금 소름돋았었다.

맨 마지막에 코브가 토템을 돌리고 나서 토템이 멈추는지 확인하지 못하고 아이들에게 달려가는데, 토템이 거의 멈출 것 같을 때 쯤 감독은 끊어버렸다

내 생각엔, 늙어버린 사이토를 코브가 만났을 때 '돌아가요' 이 한마디 하고 바로 화면이 전환되면서 현실로 돌아온 것 같이 느껴지게 하는데 이 때 과정이 생략된다. '킥'이라는 요소도 없이.

이 때부터 감독의 의도가 반영된 게 아닐까. 관객마다 해석이 다를 수 있도록, 만약 사이토와 함께 킥을 통해 현실로 돌아오는 과정을 넣게 되면 '열린 결말'이라는 건 없이 '정해진 결말' ,'행복한 결말'이 될 테니까.

맨 마지막에 토템이 계속 돌아갈 때, 관객들이 안타깝다는 듯 '아...ㅠㅠㅠㅠㅠ' 이런 소리가 곳곳에서 들린게 생각난다 ㅠ.ㅠ 나도 안타까웠음
영화는 해석하기 나름이니까..굉장히 신선했던 영화라서 종종 다시본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인셉션은 저도 정말 감명깊게 본 영화중 하나입니다.
몇개 영화를 추천해보라했을때 몇개 안에드는 영화이지요^^
며칠전에도 잠을자다 알람소리에 깼는데.
그때 뭐때문인지는 잘 모르겟지만 인셉션의 음악소리가 생각났어요.
이렇게 리뷰를 볼때마다 기가막힌 영화라는걸 다시한번 느낍니다.

맞아요 ㅋㅋ 봐도 봐도, 정말 재밌고 그 구도가 세련되엇달까...아무튼 크리스토퍼 놀란은 천재입니다

다시봐도 재밌는 명작이죠 티비를 돌리다 영화채널에서 나오면 항상멈춰서 보게된답니다. 리뷰 잘봤습니다 !

맞아요 ㅋㅋㅋ 채널에 나오면 한번 보게된다는...ㅋㅋㅋ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