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트로
바야흐로 암호화폐의 전성시대이다. 비트코인의 Market Cap(이하 마켓캡)은 이미 $270B(billion)를 넘어섰다. 현재 2018년 1분기에 페이스북의 마켓캡이 $60B정도 된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말도안되는 천문학적인 돈이 암호화폐의 세계로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
그림1. 현재 가상화폐들의 어마무시한 마켓캡. 리플의 소유주들은 리플코인의 60% 소유하고 있는데, 이를 계산하면 이들은 현재 미국에서 가장 자산이 많은 사람들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이다.
누구나가 알듯이 암호화폐는 이제 투기성이 짙은 자산이 되었고 전세계의 거래소는 어마무시한 트래픽을 감당하지 못하고 현재 회원가입까지 막아두고 있는 상태까지 오게되었다. 투기성이라는 부정적인 단어와 함께 암호화폐의 전망 자체를 그저 도박판으로 생각할수도 있지만, 나는 한조각의 가능성만큼이라도 열어두고 여러가지 알트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모든 암호화폐. 현재 전세계에 2500종류의 알트코인이 존재한다)들을 나름의 분석을 하면서 블락체인의 미래를 탐구해보았고 이 글에서 공유해보고자 한다.
단순한 화폐를 넘어서: 블록체인 플랫폼 생태계
나 역시 암호화폐를 투자자산으로 인식하고 접근하였다. 그러나 내가 처음으로 Waves(이하 웨이브)와 그것을 베이스로 제작된 Ripto Bux(이하 립토벅스)라는 토큰을 공부하게 되면서 나는 실로 놀라움을 금치 못하였다. 그리고 암호화폐가 미래의 스몰 비즈니스 투자구조를 어떻게 재편할 것인가를 엿보게 되었다. 웨이브는 블락체인 아키텍쳐를 기반으로한 일종의 암호화폐의 한 종류이자, 그것을 만든 한 스타트업의 이름이기도 하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웨이브는 분산처리를 기반으로한 암호화폐가 아이러니하게도 중앙처리 기반의 거래소에서 거래됨으로써 해킹의 약점에 노출되게 되는 문제점에 의문을 가졌다. 그래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새로운 분산처리 기법의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 또는 DEX)를 만들었다. 더나아가, 웨이브를 사용하게 되면서 사람들은 더이상 자신의 지갑정보를 번거롭게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에 저장하지 않고, 웨이브의 블락체인 시스템에 저장해두어서 언제든지 웹, 데스크탑, 모바일에서 액세스 할수있게 하였다. 말하자면 블락체인 시스템을 다시 한번 블락체인 시스템에 넣어둔 셈이다.
그림2. 웨이브. 웨이브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가 결론적으로 중앙처리에 기반한 거래소에 거래됨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극복하고자 분산처리 거래소 플랫폼을 제작하였다. 더나아가, 개인의 암호화폐 지갑 정보 및 포트폴리오 정보를 다시 웨이브의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함으로써 더나은 암호화폐 저장 서비스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서 웨이브는 유저들로 하여금 새로운 암호화폐를 만들게 할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렇게 하나의 블락체인 플랫폼내에서 생성된 암호화폐를 Token(이하 토큰)이라고 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웨이브의 대표적은 토큰은 립토벅스이다. 처음에는 이러한 개념을 접했을때, 대체 무슨 이유로 또 다른 토큰을 만들어서 안그래도 많은 암호화폐를 더 많게 만들어서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하는 것일까라는 의문을 가졌다. 하지만, 지금 나는 이러한 토큰 시스템이 그 상위 암호화폐의 기반을 더 다지게 되고, 종래에 암호화폐 거품이 사라질때 이러한 단단한 기반을 가진 블락체인 플랫폼들많이 살아남아 시장을 재편할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림3. 웨이브 블록체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제작된 암호화폐 토큰 립토벅스. 웨이브 플랫폼 내부에서 서비스를 제작하는 개발자에게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성되었고, 실제로 웨이브 플랫폼 슬랙 채널에서 개발자들에게 티핑을 해주는 커맨드를 통해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매니저들은 개발자들에게 보상을 해줄수가 있다.
토큰에 대해서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립토벅스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설명을 하고자 한다. 립토벅스는 Slack(이하 슬랙)이라는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유명한 메신저 내부에서 매니저가 개발자들에게 암호화폐 팁을 주기위한 토큰으로 생성되었다. 슬랙 메신저의 특징은, 자신이 개발한 API를 연결시켜서 다양한 커스텀 기능을 메신저 내부에 추가할수 있는 것인데. 웨이브팀은 자신들이 만든 새로운 토큰과 API를 사용해서 자사의 개발자들에 대한 보상 프로그램으로 립토벅스를 지급하는 방식을 사용 하였다.
그림4. 웨이브 슬랙 채널에서 실제로 본인이 티핑 서비스를 시현해보고 있는 상태. 간단한 커맨드를 이용해서 사용자는 특정한 유저에게 토큰을 티핑할수 있고, 티핑시에는 0.003 웨이브를 수수료로 내야한다. 현재 누구나가 채널에 가입할수있고 테스트 해볼수있다.
단순한 화폐를 넘어서: 크라우드펀딩/스몰비즈니스 투자로서의 암호화폐
언뜻보면, 가치가 전혀 없는 처음 들어보는 토큰을 왜 개발자들한테 주는지 이해가 가지 않지만, 그것이 웨이브라는 상위 코인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였다는 것에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것은 스타트업 회사들이 주로 하는 스톡옵션과 굉장히 유사하다. 스타트업이 상장되기 이전에 주식들은 마치 그저 텅텅빈 종이에 불과하다. 하지만, 그 가치가 없었던 종이들은 상장을 함과 동시에 가치가 급등하게 되고 상장전에 주식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은 마치 벼락부자가 되는 것과 비슷하다. 허나 스톡옵션에는 몇가지 문제점 아닌 문제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첫째는, 상장하기 전에 회사를 떠나게 된다면 모든 스톡옵션을 잃게되는 것이다. 스톱옵션은 말하자면 주식을 살수있는 권리를 할당해주는 것이므로, 상장 전에 회사를 떠나게 되면 그 권리 역시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 둘째로, 무분별한 스톡옵션의 남발은 회사가 상장한 이후에 창업자의 입지를 상당히 떨어뜨리게 할수있고 결국에는 스티브잡이 애플에서 쫓겨났던 것처럼, 이사회의 압력에 못이겨 창업자가 자신의 회사로부터 짤리게 되는 상황이 올수도 있게된다.
- 셋째로, 스톡옵션은 이해가기가 그렇게 쉽지가 않다. 그래서 실제로 고용주와 고용인간에 제대로된 이해를 바탕으로 하지 못한 스톡옵션으로세금문제로 더 골치아픈 상황도 있게 되는 경우가 종종있다.
나는 이러한 스톡옵션의 한계점을 암호화폐가 상당부분 대체할수 있을 것이라도 생각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웨이브는 결국 개발자들에게 토큰을 지급함으로써, 개발자들에게 좀더 미래지향적인 자산을 제공할수있다.
- 동시에 창업자는 토큰의 분배때문에 자신의 이사회에서의 입지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토큰을 경제적인 보상으로 한정할수 있기 때문이다.
- 토큰은 상장 이전에도 역시 환전을 할수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원하는 시기에 구매/판매를 할수 있다.
- 토큰은 세금문제에 있어서 스톡옵션보다 더 간결하다.
- 또한, 비상장회사임에도 불구하고 대중들로부터 투명하게 토큰을 팔아서 펀딩을 만들수 있고, 그 토큰의 가치증가로 인해서 투자자들 역시 금전적인 보상을 얻을수 있게 된다.
5번같은 경우, 여러가지 스타트업에서 이미 전에 크라우드펀딩이라는 서비스를 만든 것을 목격했으나, 이때까지 큰성장을 이룬 서비스는 아직까지 보지 못했다. 왜냐하면, 만약에 기본의 화폐를 이용하게 되면 그때당시 내가 투자한 금액으로 펀딩은 끝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크라우드펀딩을 토큰으로 대체한다면, 펀딩을 하는 입장에서 내가 투자한 만큼 나는 암호화폐를 마치 주식처럼 받고, 그 서비스가 성장함과 동시에 가치 상승한 암호화폐는 펀딩 투자자에게 미래에 더 큰 금전적인 보상을 해줄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이러한 블록체인 플랫폼 구조에서 하위 토큰은 먼저 상위 암호화폐로 교환후에 기존의 화폐로 팔수있는데, 이때 수수료를 상위 암호화폐로 지불을 하게 되있다. 예를 들면, 내가 1000 립토벅스를 받아서 이것을 현금으로 환전하려 한다면, 먼저 이것은 웨이브로 환전한후에 그것을 현금으로 환전하여야 한다. 이때 수수료를 웨이브를 내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웨이브와 립토벅스는 상생의 생태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한번 궤도에 오른 블록체인 플랫폼은 하위 토큰들의 성장들을 통해서 더욱 강력한 기반을 형성함을 의미한다. 현재 웨이브를 예로 들었지만, 이러한 시스템을 최초로 도입한 화폐이자 플랫폼은 이더리움이다. 이러한 플랫폼식 서비스는 이더리움의 안정적이고도 강력한 성장세를 증명한다고 생각한다.
그림. 5 이더리움은 알트코인중에 가장 큰 마켓캡을 가지고 있는 알트코인중에 하나이다. 비트코인과 다르게 블록체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최초의 암호화폐이다. 이로인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암호화폐를 만들고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역시 만들수 있다.
이더리움의 토큰중 가장 유명한 토큰으로는 Golem(이하 골렘)이 있다. 골렘은 블록체인 시스템을 기반으로해서 수퍼컴퓨팅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수퍼컴퓨팅은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하나의 컴퓨터의 퍼포먼스를 극대화함으로써 만드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여러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하나의 일을 병렬처리하여 분산시켜서 하는 것이다. 골렘에서는 전세계에 뿔뿔히 흩어져있는 사용자들의 컴퓨터들을 이러한 블록체인 시스템에 등록하여 병렬처리를 하여 일을 끝내고 그에대한 댓가로 골렘 토큰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그림 6. 골렘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슈퍼컴퓨팅 서비스이자 암호화폐 토큰이다. 유저들은 자신의 컴퓨터를 골렘 블록체인 시스템에 등록하고 컴퓨터 리소스를 대여해준다. 이를 대가로 골렘은 골렘 토큰을 유저에게 지불한다.
결론
앞서 이야기 한것처럼, 나는 암호화폐를 그저 나의 투자수단으로 인지하고 접근하였으나, 블록체인 아키텍쳐와 비즈니스 유즈케이스들을 보면서 나는 정말 오랜만에 밤을 꼴딱새가며 공부하며 즐거움을 느꼇다. 또한 기발한 아이디어로 블록체인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있는 서비스들을 보면서 블로체인이 대중화되있을 미래가 멀지 않았다고 느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 기술은 아직까지도 대중에게는 멀다. 오로지 감정과 초단기적인 마켓 엔지니어링적인 관점들로인해 암호화폐 시장은 위태위태하다.
하지만, 나는 그래도 이번 리서치를 통해서 암호화폐가 가져올 가능성과 미래를 보았다. 어쩌면, 지금의 이 비정상적이고 거대한 암호화폐 시장이 크라우드펀딩의 위력을 말해주는 것이 아닐까?라고 나는 생각해본다. 언제나 평범한 개인, 학생들에게 멀게만 느껴졋던 주식시장이나 투자들. 그러나, 현재 나이를 불문하고 사람들은 암호화폐를 통해서 여러 비상장 스타트업과 스몰비즈니스들은 간접적으로 투자하고 있었다. 그것은 이름도 없던 조그마한 결재수단 스타트업의 소유주를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개인으로 등극시켰다.
결론적으로, 암호화폐에 관심이 있고 투기가 아닌 진정으로 투자를 해보고 싶다면, 암호화폐 자체에 투자를 하여 매일매일 급등/급락을 바라보며 일희일비 하는 것을 금하길 권한다. 대신에 이더리움이나 웨이브와 같은 블록체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생태계와 그안에서 개발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서비스들을 둘러보길 권한다. 그리고 만약 그 애플리케이션/서비스들이 정말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된다면, 장기적인 관점으로 그들이 발행하는 토큰을 구매함으로써 투자하고 남은 시간에는 자신의 본연의 일로 돌아가 평범한 일상을 누리라고 권하고 싶다.
마지막으로, 다양하고 재미있는 블록체인 서비스들 링크를 공유하며 마무리 하겠다.
이더리움: https://www.ethereum.org/
골렘: https://golem.network/
웨이브: https://wavesplatform.com/
립토벅스: http://riptobux.com/
게임크레딧: https://gamecredits.com/
뮤지코인: https://www.musicoin.org/
IOTA: https://iota.org/
Congratulations @supergentle!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Click here to view your Board
Do not miss the last post from @steemitboard: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Congratulations @supergentle!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