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알려준 것들: 대기만성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대기만성 [大器晩成]
큰 그릇은 만드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는 말로, 큰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는 뜻.
大 : 큰 대
器 : 그릇 기
晩 : 늦을 만
成 : 이룰 성
《노자(老子)》 41장에서 나온 말이다. 노자는 이 장에서 옛 글을 인용하여 도(道)를 설명하였는데 "매우 밝은 도는 어둡게 보이고, 앞으로 빠르게 나아가는 도는 뒤로 물러나는 것 같다. 가장 평탄한 도는 굽은 것 같고, 가장 높은 덕은 낮은 것 같다. 몹시 흰 빛은 검은 것 같고, 매우 넓은 덕은 한쪽이 이지러진 것 같다. 아주 건실한 도는 빈약한 것 같고, 매우 질박한 도는 어리석은 것 같다.”라고 말하였다.
또 "그러므로 아주 큰 사각형은 귀가 없고 (大方無隅),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 (大器晩成). 아주 큰 소리는 들을 수 없고 (大音希聲), 아주 큰 형상은 모양이 없다 (大象無形). 왜냐하면 도는 항상 사물의 배후에 숨어 있는 것이므로 무엇이라고 긍정할 수도, 또 부정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하였다.
여기에서 보듯 만성 (晩成)이란 본래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말로, 거의 이루어질 수 없다는 뜻이 강하다. 그런데 후일 이 말이 늦게 이룬다는 뜻으로 쓰이게 된 것은 다음과 같은 일화에서 비롯된 듯하다.
삼국시대 위(魏)나라에 최염(崔琰)이라는 이름난 장군이 있었다. 그에게는 최림(崔林)이라는 사촌동생이 있었는데, 외모도 빈약하고 출세가 늦어 친척들로부터 멸시를 당하였다. 하지만 최염만은 그의 재능을 꿰뚫어 보고 이렇게 말하였다. "큰 종이나 큰 솥은 그렇게 쉽사리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큰 인물도 성공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법이다. 내가 보기에 너도 그처럼 대기만성형이다. 좌절하지 말고 열심히 노력해라. 그러면 틀림없이 네가 큰 인물이 될 것이다." 과연 그의 말대로 최림은 후일 천자를 보좌하는 삼공(三公)에 이르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나이 들어 성공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네이버 펌
상을 만들지 말아라
대기만성을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큰 그릇은 시간이 걸려서 만들어진다고 이해 할 수 있지만 41장을 읽으면 아주 큰 형상은 모양이 없다’는 뜻을 읽게 됩니다.
큰 그릇은 혼자서 만들 수가 없을겁니다. 아무리 현명하고 똑똑한 사람도 한계가 있어 큰 그릇이 될 수는 없을 겁니다. 큰 그릇이 되기 위해서는 사람들을 품을 수 있어야 하는데 자신과 만나고 품을 수 있는 사람을 선택하기가 쉽지는 않기에 자신이 만나는 사람들을 품다 보니 큰 그릇은 형체가 다양할 겁니다.
큰 그릇이란 자신의 형체를 정해놓지 않고 자신의 상황에서 적응을 할겁니다. 그래서 우리가 알고 있는 현자들의 그릇은 모양이 다 다릅니다.
인디아의 간디는 적극적인 비폭력을 사용했던 이유는 인디아의 처한 상황을 이용했을 겁니다. 자신들의 종교인 힌두교의 교리와 영국의 민주주의를 고려했을 겁니다.
만인에 간디가 다른 나라에서 태어났다면 다른 방법을 사용했을 겁니다.
노자가 오래 열심히 노력하면 큰 그릇이 될 것이라는 당연한 말을 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모순과 역설의 대가인 노자는 배후의 숨어있는 진실을 알지 못하면 큰 그릇이 될 수 없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을 겁니다.
비슷한 사장성어가 떠오르네요 :)
마부작침.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