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it English Grammar for Koreans (1) - 오늘도 치타는 쫓아 오려나? ^^

in kr •  8 years ago  (edited)

 그 동안 너무 제가 바빴나 보네요.. 글이 많이 밀려 있네요. 마지막 쓴 글이 벌써 몇 일 전...

방학 특강 준비하고, 선생님들과 회식하고, 운동도 좀 하고, 이것저것 하느라 조금 바빴습니다.

오늘 특강 첫 수업을 하고, 12시부터 10시까지, 그러니까 어제 토요일이죠... 열심히 일하고 오니...이런...

우리 엄니, 아버지가 또 싸우셨네. 아버지 삐져서 고향으로 내려 가시고... 고향은 청주입니다~

엄니 달래드리고, 그리고 오랫만에 친척 동생이 열심히 일하고 와서 함께 맥주 한잔 하고..

드라마 군주 보고, 그러고 이제 쓰고 싶은 일기를 씁니다.

오늘은 글을 두 편 정도만 쓰려고 합니다. 우선은...

지난 번 '동물농장' 시리즈는 글로 쓰려니 너무 어려워서 포기입니다... ㅠㅠ 

반응도 별로 없고, 반응이 없을 땐 빠르게 접어야죠..

물론 응원해 주신 분들을 위해 다른 시리즈를 기획해야죠...

토종 영어강사로서 가장 자신있고, 뛰어난 상품을 내놓을 수 있다면 영문법이겠죠.

그래서 과거에 썼던 글을 조금 다듬으면서 

오늘부터 Steemit Grammar (스티밋 영문법 시리즈) 1강을 쓰려고 합니다. 

블로그에 이미 쓴 글이라 치타가 금방 쫓아올 것 같긴 한데, 오늘은 얼마만에 쫓아 오나 한 번 봐야죠..

우리 표절잡기 보안관님은 @marginshort님이 kr-teachers 태그를 좀 활용하라고 하시길래..

처음 활용해 보려고 합니다. 

영문법을 배울 때 조심해야 할 부분에 대한 이야기부터 아래 글을 읽어보시면서 시작하시면 좋을 듯 해서 먼저 올립니다. 

그럼, 전 또 다음 글 써야 하니 행간 맞추고 편집해서 올린 후 10분 후에 다시 뵐께요..~~!! ^^

http://blog.naver.com/tutorcho/220565975957

영문법은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문법의 원리를 알아야 문장구조가 보이고, 문장구조가 보여야 긴 문장을 봐도 주눅들지 않고 하나씩 해결해 나갈 수가 있다. 다만, 독해라고 하는 것은 단어의 뜻을 그저 꿰어 맞춘다고 이해가 되는 것이 아니라 그 문장이 가진 숨은 의미까지 파악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기반지식이 있어야 해석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문법 공부 자체만으로 독해실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지는 않는다. 독해는 그야말로 여러 가지 다양한 글을 계속 읽어 나갈 때만 그 실력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의 예문을 한번 살펴보자.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defines portraiture as "a representation or delineation of a person, especially of the face made from life, by drawing, painting, photography, engraving; a likeness." However, this simple definition ignores the complexities of portraiture. Portraits are not just likenesses but works of art that engage with ideas of identity as they are perceived, represented, and understood in different times and places. Identity can encompass the character, personality, relationships, profession, age, and gender of the portrait subject.

<번역>
옥스포드 영어사전에서는 초상화를 "어떤 사람을 나타내거나 그린 것, 특히 실물에서 얼굴부분을 그리거나, 칠하거나, 사진, 조각을 한 것; 유사한 것"으로 정의내리고 있다. 그러나 이런 단순한 정의는 초상화가 가진 복합적인 면을 보지 못하는 것이다. 초상화는 단순히 어떤 것을 유사하게 표현한 것일 뿐만 아나리 정체성이라는 개념과 결부되어 시대와 장소에 따라 인식과 표현, 해석이 달라지는 예술 작품이다. 정체성은 초상화의 대상이 되는 이의 인격, 성격, 관계, 직업, 연령, 그리고 성별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 문장을 처음 읽을 때 필자가 번역한 것처럼 이해할 수 있었는지 스스로 물어보자. 아마 대부분의 독자들은 그리 이해하지 못했을 것이다. 이는 이와 유사한 다소 복잡하고 추상적인 구문을 경험적으로 많이 접해야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인데, 단순한 문법지식의 추구가 아니라 문장을 만드는 원리를 이해하면서 영문법을 공부할 때, 위와 같은 문장을 번역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영작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필자가 우선 말하고자 하는 것은 영문법을 너무 어렵게 생각할 필요도 없지만, 그렇다고 단순하게 외우려 들면, 그 원리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암기도 잘 안되고, 독해에 접목을 시키기도 힘들다는 점이다. 그래서 항상 Why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하고, 그에 대한 답을 구해나간다면 독학으로도 훌륭한 영문법 실력을 쌓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지금은 독자층이 줄어든 블로그지만, 필자가 단과수업을 다시 시작하면서, 학생들이 혼자서 깊이 있게 공부할 수 있는 문법이론서가 거의 없다는 데 착안해서 너무 길지 않게 차근차근 영문법을 이야기 식으로 풀어보고자 한다. 

오늘은 그 첫 시간으로 단어와 품사, 그리고 문장성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영어의 기본단위는 단어이다. 단어를 비슷한 성격에 따라 분류한 개념을 품사라고 하며, 이 품사가 문장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하는 개념을 문장성분(문장요소)라고 한다. 

이 개념들을 공부할 때는 우선 영어는 다의어라는 데 주목을 해야 한다. 하나의 단어가 여러가지 뜻을 가지고 있고, 여러가지 품사로 쓰이기 때문에 사실상 어떤 단어를 공부할 때는 그 단어의 철자와 발음, 의미를 익히는 것 뿐만 아니라 그 단어의 쓰임새(usage)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단어로 function(기능)을 생각해 보자. 이 단어는 명사와 동사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 문장에서의 위치에 따라 그 역할이 달라지는 데, 이와 같이 문장에서 어떤 단어가 하는 역할을 문장성분(문장요소)라고 지칭하는 것이다. 

영어단어는 8가지 품사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렇게 8개의 품사로 분류하는 이유는 그 품사들이 문장에서 하는 역할이 정해져 있기에 그 역할을 더 쉽게 익히도록 해서 그 쓰임새를 더 쉽게 익히도록 하는 데 있다. 

문장성분과의 관계를 염두에 두고 8품사는 다음과 같이 분류해볼 수 있다. 

8품사

명사(Noun): 주어, 목적어, 보어

대명사(Pronoun): 명사에 준하는 기능

동사(Verb): 문장의 전체 구조를 결정짓는 요소로 동사의 종류에 따라 문형이 결정됨

형용사(Adjective): 명사를 직접 수식하거나 간접적으로 수식(보어)하는 역할을 함

부사(Adverb): 대체적으로 명사 외의 다른 품사를 수식

전치사(Preposition): 명사 상당어구와 결합하여 형용사 역할을 하거나 부사 역할을 함

접속사(Conjunction): 주로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며, 그 관계를 정하는 역할을 함

감탄사(Interjection): 구어체에서 주로 사용하며, 문법적으로는 특별한 용법은 없음 


문장성분(문장요소) 

주어(Subject): 문장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대상

동사(Verb): 주어의 행동이나 상태를 설명하는 말로 그 뒤에 나오는 낱말의 순서와 구조를 결정짓는 요소로 품사이기도 하고, 문장성분이기도 하다.

목적어(Object): 동사나 전치사 뒤에 나오는 명사, 대명사와 같은 명사 상당어구

보어(Complement):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설명하는 명사(구) 또는 형용사(구)수식어(Modifier): 형용사(구) or 부사(구)

여기서 구와 절의 개념도 미리 익혀둘 필요가 있다.

<구와 절>

구(phrase): 두 개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하나의 품사 역할을 하는 경우를 지칭

절(clause): 한 문장이 하나의 품사 역할을 하는 경우를 지칭


결국 영문법은 지금 소개한 기본개념들이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전부이다. 그래서 앞으로는 각각의 품사가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면서 구체적인 의미를 지니는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어지는지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쉽고 명쾌한 강의 이군요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주말인데 일찍 일어나셨네요..~~!! ^^ 창 밖이 시원하니 좋네요...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