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쓴 글줄 맞춤 — 정렬과 줄바꿈 이야기를 통해 문단 정렬과 줄바꿈을 소개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CSS로 줄바꿈 속성을 웹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합니다.
![문단 왼쪽 정렬 (왼끝 맞춤)](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78.media.tumblr.com/5309c5058f0c317c5e58ac537f9b6f9e/tumblr_inline_p4vajtaypR1sxbjtp_540.jpg)
대부분의 디지털 환경에서 기본적인 줄바꿈은 영어는 어절 단위로, CJK(중국, 일본, 한국) 문자는 어절과 관계 없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word-break: normal;
이나 word-break: break-word;
와 유사한 형태입니다.
![문단 왼쪽 정렬 (왼끝 맞춤), 어절 단위 줄바꿈](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78.media.tumblr.com/b4d9e61dc91e6433de7690dd97f1beac/tumblr_inline_p4vak5JIY51sxbjtp_540.jpg)
CJK 문자도 어절에 맞추어 줄을 바꾸려면 word-break: keep-all;
을 사용합니다. 이때 문자가 틀을 벗어난다면 word-wrap: break-word;
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단 양쪽 정렬 (양끝 맞춤)](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78.media.tumblr.com/bf030d236162c1c28bc5fe4aa7f58da3/tumblr_inline_p4vajxUnM61sxbjtp_540.jpg)
양쪽 정렬을 위해서는 text-align: justify;
와 함께 word-break: break-all;
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CJK 문자에 더해 영어도 어절과 관계 없이 줄을 바꾸게 합니다. word-break: break-all;
을 함께 사용하지 않으면 ‘흰 강’이 나타나게 됩니다.
보다 상세한 정보는 MDN Web Docs 등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블로그에 앞서 올라간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