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영록, 이하 ‘농식품부’)는 생명자원정보서비스(http://www.bris.go.kr, 이하 ‘BRIS’)를 전문가용과 일반인용으로 확대․개편하여 고객 맞춤형 콘텐츠를 본격 제공한다. ㅇ BRIS는 농업․산림분야 생명자원의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2011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나, ㅇ 웹 접근성이 떨어지고,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 정보 서비스가 이용하기 불편하다는 현장의 목소리에 부응하여 메인화면을 전문가용과 일반인용으로 구분하고, ㅇ 일반인용 콘텐츠(자원백과서비스 등)를 추가하여 국민 모두가 원하는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 전문가용 서비스는 정부 기관, 연구소,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약 313만점의 학(종)명정보(식물, 동물, 미생물, 곤충 등)와 3,474점의 토종작물(벼 등 7개 작물)의 특성정보를 제공한다. * 7개 작물 : 벼, 보리, 콩, 옥수수, 기장, 조, 수수 ㅇ 또한, 연구자가 최신 특허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연구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약 51만건의 국내외 특허정보와 바이오산업 10대 분야에 대한 특허분석 보고서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 10대 분야 : 건강기능식품, 바이오화장품, 동물약품, 바이오농약 및 비료, 아미노산, 식품첨가물, 발효식품, 사료첨가제, 종자 ㅇ 아울러, 육종가가 국내에 출원된 품종에 대해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는 품종보호맵(품종흐름도, 품종특성분석, 품종분포도, 품종검색) 서비스도 제공한다. □ 일반인용 생명자원정보서비스의 경우, 이 달의 생물, 자원백과 서비스 등 일반인 눈높이에 맞는 자원정보를 제공한다. ㅇ 특히, 총 5,373건의 ‘한국 토종작물도감’, ‘농림유전자원도감’ 등 학습용 자원 정보를 이미지와 함께 제공하고, ㅇ ‘바이오산업’, ‘나고야 의정서’ 등 생명자원과 관련된 주요 상식과 최근 국내외 동향을 담은 카드뉴스도 발간한다. □ 농식품부 관계자는 “앞으로 농업생명자원 대표 포털사이트를 목표로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아갈 예정”이라면서, ㅇ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생명자원 정보를 국민들이 손쉽게 탐색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생활뉴스]“생명자원정보서비스(BRIS), 고객맞춤형 콘텐츠 본격 제공”
7 years ago by craim100 (58)
$1.27
- Past Payouts $1.27
- - Author $1.26
- - Curators $0.01
He I'm Very Liked With Your Posts Sahabatku.Dan Never Forgot Me Next Time To My Place yes
upvote and resteem. @craim100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thank you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Good post freinds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thank you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